DOI QR코드

DOI QR Code

Phytosociological Studies of Pinus densiflora Forest in Islets of Southwestern Coast, Korea

한국 서남해 도서의 소나무(Pinus densiflora S. et Z.)림에 대찬 식물사회학적 연구

  • Yang, Hyo-Sik (Department of Biology, Mokpo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2.06.30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Pinus densiflora forest in islets of southwest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by the phytosociological methods.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of 26 quadrats, the pine forest was classified two communities and six subcommunities : Ardisia japonica-Pinus densiflora community and Isodon japonicus-Pinus densiflora community, and Farfugium japonicum subcommunity, Quercus serrata subcommunity, Typical subcommunity of Ardisia japonica-P. densiflora community, Juniperus rigida subcommunity, Pourthiaea villosa subcommunity and Typical subcommunity of Isodon japonicus-P. densiflora community. The subsidiary knowledges from this study provide practical information to clarify the syntaxonomy of natural pine forest of the Korean peninsula by the phytosociological methods.

본 연구는 1997년 3월부터 1998년 10월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한반도 서남해 도서의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식물사회학적인 방법에 의해 군락의 유형을 분류하였다. 26개의 방형구를 선정하여 조사한 결과 본 조사 지역의 소나무림은 자금우-소나무군락과 방아풀-소나무군락으로 분류되었고, 각각의 군락은 털머위하위군락, 졸참나무하위군락 및 전형하위군락과 노간주나무하위군락, 윤노리나무하위군락 및 전형하위군락으로 구분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기상청. 1861-1998. 기상연보
  2. 김정언, 임양재. 1993. 모악산 도립공원 식물군집의 분류와 다차원분석. 한국생태학회지 16 : 1-15
  3. 김철수. 1986. 홍도의 식물상과 식생에 관한 연구. 목포대학 연안생물연구 1: 1-11
  4. 김철수, 양효식. 1989. 안마군도의 식생. 자연실태종합조사보고서 9: 119-162
  5. 김철수, 장윤석. 1989. 대흑산도 식생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12: 145-160
  6. 김철수, 오장근. 1990. 다도해 해상국립공원내의 상록활엽수림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조도군도의 식생을 중심으로-. 한국생태학회지 13: 181-190
  7. 김철수, 장윤석, 오장근. 1987a. 오동도 식생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10: 165-173
  8. 김철수, 장윤석, 오장근. 1987b. 홍도의 식물상과 식생에 관한 연구. 홍도 천연보호구역학술 조사보고서 pp. 89-115
  9. 김철수, 박연우, 中越信和. 1989. 보길도의 식물상과 식생에 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목포대학교 연안생물연구 6: 65-96
  10. 배병호, 이호준. 1999. 식생보전을 위한 소나무림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22 : 21-29
  11. 이우철, 이철환. 1989. 한국산 소나무림의 식물사회학적연구. 한국생태학회지 12 : 257-284
  12. 이일구. 1959. 홍도의 식물상. 高鳳誌 3(2): 58-74
  13. 이일구. 1976. 우리나라 소나무의 분포와 실태. 자연보존 13 :5-8
  14. 이일구. 1979. 서남해의 수개도서내 식물상의 생태학적 조사보고. 한국자연보존협회보고서 16: 67-78
  15. 이일구. 1980. 보길도 식물상에 대한 분류생태학적 연구. 건국대학교 학술지 24(2): 13-33
  16. 이창복. 1985.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17. 임경빈, 김진수. 1974. 홍도의 적송집단. 한림학지 24 : 53-61
  18. 전영문. 2001. 한국소나무림의 식물사회학적연구. 건국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서울. 171p
  19. 赤松英雄. 1950. 吳島灘 潮流と 海流について. 海上と氣象 4:65-72
  20. 吉吉良龍夫.1948. 溫量指數による 垂直的 氣候帶のわかちかたについて. 寒地農學 2: 143-173
  21. 吉剛邦ニ. 1958. 日本松林の 生態學約硏究. 日本林業技術協會198p
  22. 宮脇昭. 1978. 日本植生便覽. 至支堂
  23. 鎌田磨人,中越信和,金喆株. 1987.韓國全羅南道の里山における 人間活動とマツ林. 廣島大學 生物學會誌 53 : 3-10
  24. 鈴木兵ニ. 1966. 森林立地. 8 : 1-12.
  25. 鈴木兵ニ,伊藤秀三, 農原源太郎. 1985. 植生調査法 ll-植物生態學約 硏究法-. 共立出版株式會社, 東京. 190 pp
  26. 植木秀幹. 1941. 朝鮮常線闊葉樹林帶の 北郞. 植物分類及地理10: 89-93
  27.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3rd ed, Springer-Verlag. Wien, New York. 865 p
  28. Ellenberg, H. 1956. Grundlagen der Vegetationsglieaerung I. Aufgaben und Methoden der Vegetationskunde. Eugen Ulmer, Stuttgart. 136 p
  29. Mirov, N.T. 1967. The genus Pinus. The Ronald Press Company, New York
  30. Mueller-Dombois, D. and H, Ellenberg. 1974. Aims and methods of vegetation ecology.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547 p
  31. Yim, Y.J. 1977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climate in the Korean peninsula. IV. Zonal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in relation to thermal climate. Jpn. J. Ecol. 27: 269-278

Cited by

  1. Community Structure of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mongolica forest in Jochimryeong to Shinbaeryeong of the Baekdudaegan vol.103, pp.3, 2014, https://doi.org/10.14578/jkfs.2014.103.3.3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