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ytoplankton size

검색결과 121건 처리시간 0.028초

임진강 수계의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적 변화 (Seasonal Changes of the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Imjin River)

  • 윤숙경;이경
    • 생태와환경
    • /
    • 제35권2호통권98호
    • /
    • pp.111-122
    • /
    • 2002
  • 임진강 수계의 5개 정점을 대상으로 이화학적 환경요인 및 식물플랑크톤에 대한 조사가 2000년 7월부터2001년 4월까지 4회 계절별로 실시되었다. 총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은 5문에 속하는 145종, 28변증, 1품종, 19미동정종으로 총 193종류였다. 조사 시기 전반에 걸쳐 돌말류와 녹조류의 출현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은 2001년 4월 정점 3에서 $8,825{\times}10^3\;cells/l$의 최고치를 나타내었으며 2000년 10월 정점 1에서 $89{\times}10^3\;cells/l$의 최저치를 나타내었다. 정점 1에서는 전조사기간 동안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크기가 전반적으로 낮았다. 한편 정점 2,정점 3및 정점 4에서는 7월에 최고치를 보이다가 점차 감소하여 1월에 최저치를 나타내었다가 4월에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정점 3에서는 4월에 다른 정점과는 달리 예외적으로 매우 높은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크기를 볼 수 있었다. 정점 5에서는 정점 2,정점 3및 정점 4에서의 계절별 변이 양상과는 약간의 차이를 나타내었으나 대체로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주요 우점종으로는 Achnanthes minutissima, Anabaena sp., Aulacoseira ambigua, A. granulata, A. granulata v. angustissima, Coscinodiscus joneasianus, Cymbella affinis, Cylindrotheca closterium, Diatoma vulgare, Merismopedia glauca, Stephnodiscus hantzschiif. tenuis 등을 볼 수 있었다.

韓國 東南 海域의 플랑크톤 硏究(I) -1981年 9月의 植物플랑크톤 分布- (PLANKTON STUDY IN THE SOUTHEASTERN SEA OF KOREA(I) - Phytoplankton Distribution in September, 1981-)

  • 심재형;이원호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91-103
    • /
    • 1983
  • 1981년 9월에 한국동남해역의 연안역, 대륙붕역 및 대륙사연역에 이르는 각 수역에서 수심 별로 채집된 식물 플랑크톤의 정성 및 정량시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85종류의 식물 플랑크톤을 동정하였으며, 이는 규조류 124종류, 쌍편모조류 56종류, 규질편모류 3종류 및 각 1종류씩의 갈색편모조류와 유글레나류 로 구성되어 있다. 식물 플랑크톤 군집을 분석한 결과 연구해역은 2개의 식생역 으로 구분됨을 알게 되었고, 해수의 물리적 특성에 의하여 이들 식생역의 범위가 크게 좌우됨이 밝혀졌다. 동남 연안역의 경우 식생은 매우 풍부하였으며 소형 규조류와 미세 편모류가 주종이었고 연구 해역의 북부 수역에서는 여러 종류의 규류조 및 쌍편모조류가 다량 출현하였다. 식물 플랑크톤 현존량을 해수의 물리적 특성, 식물 플랑크톤의 종조성과 비교하였다. 연구 해역의 북부 수역에서는 식물 플랑크톤의 현존량분포에 있어서 대마난류수와 북한한류 계수의 혼합이 특히 중요함을 알게 되었다.

  • PDF

수온에 따른 영산강 식물플랑크톤군집 변동 (Water Temperature and Community of Phytoplankton in Youngsan River, Korea)

  • 정은정;나정은;김규만;심성순;이학영
    • 환경생물
    • /
    • 제28권2호
    • /
    • pp.56-63
    • /
    • 2010
  • 영산강의 7 조사지점에서 식물플랑크톤의 크기별 분포양상을 수온과 관련하여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조사대 상지역에서 1년간의 조사를 통해 동정된 식물플랑크톤은 녹조류가 48속의 123종(46%), 규조류가 27속의 89종(34%) 그리고 남조류가 12속의 25종(9%) 등으로 총 265종이었다. 식물플랑크톤의 크기별 구분은 Fenchel (1987)이 제시한 2~20 ${\mu}m$m의 미소식물플랑크톤, 20~200${\mu}m$의 소형식물플랑크톤, 200 이상의 중형식물플랑크톤으로 하여 각각의 크기그룹의 분포양상을 조사한 결과 클로로필 a의 농도는 미소식물플랑크톤의 개체수와 상관성이 높게 나타나 영산강의 식물플랑크톤으로 미소식물플랑크톤이 중요한 구성원임을 알 수 있었고, 수온과의 상관성 분석에서 모든 크기의 식물플랑크톤의 분포가 수온과 상관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미소식물플랑크톤은 상대적으로 더 높은 상관도를 보여주었다. 소형식물플랑크톤은 수온이 낮은 시기에 개체수가 많았으며 중형식물플랑크톤은 수온과 상관성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을철 한국주변해역의 Microplankton 및 Nannoplankton의 클로로필함량과 분포 (Chlorophyll-a Concentrations of Microplankton and Nannoplankton in the Coastal Seas of Korea in Fall)

  • 조창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63-66
    • /
    • 1985
  • 동해와 남해 동부연안에서 1983년 가을 중 식물플랑크톤이 함유한 클로로필-a 양을 세포의 크기 별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1. 가을철 동해 해수중의 세포의 크기 $300{\mu}m$이하 전체의 식물플랑크톤이 함유한 클로로필-a 양은 $0.202{\sim}1.350mg/m^3$(평균과 표준편차는 $0.597{\pm}0.287\;mg/m^3$)이었다. 표층수중에 포함된 양이 심층수 50m층까지)에서의 양에 비해 약간 많았다. 그리고, 수표면 $1m^2$하 수주의 클로로필-a 양은 St.에 따라 큰 차이 없이 평균 $17.013\;mg/m^2$이었다. 2. 세포의 크기 $60{\mu}m$이하의 미세플랑크톤이 함유한 클로로필-a 양은 $0.100{\sim}0.855\;mg/m^3$(평균 및 표준편차는 $0.372{\pm}0.201\;mg/m^3$)로서 표층수에서의 양이 심층수에 비해 약간 많았다. 이를 미세플랑크톤이 전체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에 차지하는 율은 클로로필-a 양으로 $25.4{\sim}83.3\%$로써 평균 $62.2\%$이었고 이 율 역시 표층수에서 약간 높았다.

  • PDF

Fisheries in Lake Tinishu Abaya (Ethiopia) could be managed using dietary nature of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L. 1757)

  • Yirga Enawgaw Anteneh;Solomon Wagaw Mamo;Minichil Addis Tilahu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6권8호
    • /
    • pp.491-499
    • /
    • 2023
  • Lake Tinisu Abaya is home to some fish species. The lake's native fish species include Barbus and Tilapia zilli. Tilapia fish (Oreochromis niloticus L.) were stocked in Lake Tinishu Aabaya in 1997.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feeding behaviors of O. niloticus in Lake Tinishu Abaya to develop an appropriate fisheries management approach in the lake. 428 O. niloticus fish samples (2.5 to 30.9 cm and 1.1 to 475 g) were collected to calculate the diet composition. Out of the total of 428 gut contents examined, 55 (12.85%) were found to be empty and 373 (87.15%) to be containing one or more food items. The diet behavior of the stocked fish in the study lake revealed that phytoplankton (39.5% by volume) and macrophytes (25.81% by volume) were the most noteworthy food items followed by detritus (14.39%) and zooplankton (12.95%). With increasing fish size, the importance of phytoplankton, macrophytes, and detritus increased while the contribution of zooplankton, insects, and other foods with an animal origin decreased. Seasonal variation in the diet composition of fish was evident (t-test; p < 0.05). Macrophytes, zooplankton, and detritus were the dominating food items during the wet season, while phytoplankton predominated during the dry season.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O. niloticus had phytoplanktivores that primarily consumed phytoplankton and that the seasons and fish siz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feeding preferences. The diet of O. niloticus in Lake Tinishu Abaya comprised foods with both plant and animal origins. It concludes that the dietary habit of O. niloticus in the lake is, generally, the omnivorous type.

팔당호 생태계에서 동물플랑크톤과 식물플랑크톤의 섭식관계 (Grazing Relationship between Phytoplankton and Zooplankton in Lake Paldang Ecosystem)

  • 엄성화;황순진
    • 생태와환경
    • /
    • 제39권3호통권117호
    • /
    • pp.390-401
    • /
    • 2006
  • 2005년 4월부터 12월까지 팔당호 생태계에서 식물플랑크톤 동물플랑크톤 간의 영양적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플랑크톤 구조 분석과 섭식실험을 실시하였다. 동물플랑크톤은 소형 (MICZ: 60{\sim}20\;{\mu}m$)과 대형동물플랑크톤 (MACZ: >$200\;{\mu}m$)으로 구분하며 각기 식물플랑크톤에 대한 여과율과 탄소전달율을 측정하였다. 섭식실험은 현장 동물플랑크톤의 0, 2, 4, 8배로 농도 차이를 두어 2회 반복 실험을 실시하였다. 두 지점에서 식물플랑크톤 군집은 규조류 (Aulacoseira, Cyclotella )가 수적으로 우점하였으나, 탄소생물량은 편모조류 (Cryptomonas ovata)가 높았다. 두 지점 모두 동물플랑크톤 군집 내에서 윤충류 (Brachionus, Keratella, Polyathra)가 수적으로 크게 우점하였으나, 탄소생물량은 지각류 (Daphnia)가 가장 높았다. 동물플랑크톤은 봄에 높은 밀도와 탄소생물량을 보였고 여름철 집중강우 시기를 기점으로 크게 감소하였다. 지점별로는 경안천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탄소생물량이 나타났다. 동물플랑크톤 여과율과 탄소전달율은 두 지점 모두 봄 동안에 높았으나 여름 이후에 낮아졌으며, 탄소전달율의 변화는 동물플랑크톤 생물량의 변화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군집여과율과 식물플랑크톤에 대한 탄소전달율은 MACZ가 MICZ보다 높았고, 그 정도는 경안천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여름철의 집중강우로 인한 짧은 체류시간과 수체의 교란이 동물플랑크톤의 섭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영산강.섬진강 수계 호소의 규모에 따른 식물플랑크톤 분포 (Relationships between Phytoplankton Community and Sizes of Reservoirs in Yeongsan and Seomjin River Basins, Korea)

  • 나정은;정명화;박종환;김상돈;임병진;김현우;이학영
    • 환경생물
    • /
    • 제29권2호
    • /
    • pp.107-112
    • /
    • 2011
  • 2010년 영산강 섬진강 수계의 29개 호소 45개 지점의 환경조사에서 동정된 식물플랑크톤은 총 371종으로 규조강과 녹조강이 주를 이루었다. 호소의 규모와 식물플랑크톤의 분포 양상 사이에 상관성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호소의 유역면적과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은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고, 유역면적과 출현종수 사이에도 상관성이 매우 낮았다. 수표면적과 식물플랑크톤 출현종수와 현존량 사이에는 낮은 상관성이 나타났다. 본 조사 호소들에서 호소의 규모와 식물플랑크톤 군집 사이에 상관성이 높지 않은 것은 호소의 규모가 작고 수량의 연중 변동이 크며 먹이망과 인위적인 간섭이 식물플랑크톤의 자연적인 분포를 왜곡하였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호소의 축조연대와 식물플랑크톤의 분포 사이에도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물플랑크톤의 출현 현존량은 호소의 형성연대와 상관관계가 없는 분포를 보여주었다. 축조연대와 클로로필 a의 농도 사이에는 더 낮은 상관성을 보여주었다. 본 조사가 이루어진 호소들에서는 생성연대의 차이에 따른 부영양화 정도에 차이가 있지만 다른 요소들(체류시간, 수심, 생물상)에 의한 효과로 호소 생성연대의 영향을 찾을 수 없었다.

천수만 일차생산자의 생물량 -식물플랑크톤 탄소량과 세포개체수 및 클로로필과의 관계- (Biomass of Primary Producer in the Ch$\check{o}$nsu Bay -Relationships between Phytoplankton Carbon, Cell Number and chlorophyll-)

  • 심재형;신윤근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94-205
    • /
    • 1989
  • 일차생산자의 생물량을 연구하기 위해 천수만에서 1985년 9월부터 1986년 8월까지 월별로 채집된 식물플랑크톤의 체적으로부터 계산한 식물플랑크톤의 탄소량은 $26.7-960.7{\mu}gC/l$의 분포를 보이며 월 평균 탄소량은 $58.6-684.7{\mu}gC/l$(연 평균 $208.5{\mu}gC/l$) 범위의 변화를 보인다. 식물플랑크톤 탄소량과 세포 개체수 및 클로로필 농도의 상호 관계를 분석한 결과, net plankton(> $20{\mu}m$)에서는 탄소량, 개체수 및 클로로필 상호간의 상관 관계가 밀접하게 나타나 이들 상호 관계가 주로 net plankton에 의해 좌우됨을 보여주고 있으며, nanoplankton(< $20{\mu}m$)의 경우, 상관 관계가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nano-fraction이 제거하지 않은 picoplankton(< $2{\mu}m$)을 상당량 포함하고 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중회귀 분석 결과 또한 식물플랑크톤 탄소량, 개체수 및 클로로필 상관 관계가 주로 net plankton에 의해 좌우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C/Chl-a 비율은 9.1-100.5의 범위로 변화폭이 큰데 net plankton의 C/Chl-a 평균 비율은 111, nanoplankton의 비율은 6.4로 나타났다. Net plankton의 비율은 높은 시기에는 C/Chl-a값이 높은 반면 nanoplankton비율이 높은 시기에는 기 값이 낮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C/Chl-a 비율을 변화시키는 주요인은 식물플랑크톤의 크기인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 결과 C/Chl-a값의 변화 폭이 크기 때문에 클로로필에 일정 비율을 적용하여 탄소량을 추정하는 방법은 연안생태계에서 적절치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with Size Fraction Results at Southwestern East/Japan Sea

  • Park, Mi-Ok
    • Ocean Science Journal
    • /
    • 제41권4호
    • /
    • pp.301-313
    • /
    • 2006
  • Abundance and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in seawater at southwestern East/Japan Sea near Gampo were investigated by HPLC analysis of photosynthetic pigments during summer of 1999. Detected photosynthetic pigments were chlorophyll a, b, $c_{1+2}$ (Chl a, Chl b, Chl $c_{1+2}$), fucoxanthin (Fuco), prasinoxanthin (Pras), zeaxanthin (Zea), 19'-butanoyloxyfucoxanthin (But-fuco) and beta-carotene (B-Car). Major carotenoid was fucoxanthin (bacillariophyte) and minor carotenoids were Pras (prasinophyte), Zea (cyanophyte) and But-fuco (chrysophyte). Chl a concentrations were in the range of $0.16-8.3\;{\mu}g/land$ subsurface chlorophyll maxima were observed at 0-10m at inshore and 30-50 m at offshore. Thermocline and nutricline tilted to the offshore direction showed a mild upwelling condition. Results from size-fraction showed that contribution from nano+picoplankton at Chl a maximum layer was increased from 18% at inshore to 69% at offshore on average. The maximum contribution from nano+picoplankton was found as 87% at St. E4. It was noteworthy that contribution from nano+picoplanktonic crysophytes and green algae to total biomass of phytoplankton was significant at offshore. Satellite images of sea surface temperature indicated that an extensive area of the East/Japan Sea showed lower temperature ($<18\;^{\circ}C$) but the enhanced Chi a patch was confined to a narrow coastal region in summer, 1999. Exceptionally high flux of low saline water from the Korea/Tsushima Strait seemed to make upwelling weak in summer of 1999 in the study area. Results of comparisons among Chi a from SeaWiFS, HPLC and fluorometric analysis showed that presence of Chi b cause underestimation of Chi a about 30% by fluorometric analysis but overestimation by satellite data about 30-75% compared to HPLC d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