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ysiological dormancy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27초

황산처리를 이용한 개싸리 종자의 물리적 휴면 타파 (Breaking Physical Dormancy with Sulfuric Acid in Seeds of Lespedeza tomentosa (Thunb.) Siebold ex Maxim)

  • 이용하;최한;이수광;이정호;이기철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36-142
    • /
    • 2016
  • 싸리속(Lespedeza)식물은 가축사료, 제방 녹화용 등으로 활용되는 자원식물이다. 이들 종자는 산지의 화재 이후에 발아, 출현하는 fire species로 알려져 있다. 선행연구에서 이런 점을 착안하여 인위적으로 열을 가했을 때 발아가 되었으나 발아율이 낮고 처리가 용이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개싸리 종자를 황산처리하여 화학적으로 종피처리하여 발아율을 높이기 위해 수행되었다. 개싸리 종자를 98% 황산에 0, 1, 3, 6, 12, 24, 48, 96, 192, 384분 동안 침지시키고 흐르는 물에 24시간 동안 씻었다. 황산처리를 하지 않은 대조구의 경우 거의 발아가 되지 않았지만, 황산처리 기간이 길어질수록 개싸리의 발아율이 증가하였다. 황산 24, 48, 92분 처리에서 90% 이상 발아가 되었다. 그러나 장기간 황산처리시 발아된 유근에 황산피해가 관찰되었다. 기외 실험에서 황산처리 후 건전묘 출현을 알아보기 위해 황산 30, 60, 90, 120, 150, 180, 300분을 처리한 원예상토가 충진된 트레이에 파종하고 비닐온실에서 발아율을 측정하였다. 황산 90분, 150분 처리에서 발아율은 각각 92%, 84%였으나 이보다 더 긴 기간 동안 처리하였을 때 출현율이 떨어졌다. 따라서 개싸리의 발아를 위한 황산 최적시간은 1~2시간으로 판단된다. 개싸리는 종피처리 이후 바로 발아가 시작되어 대부분 1달 이내에 발아가 완료되었으며, 이는 개싸리 종자는 생리적 휴면은 없는 물리적 휴면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저장 및 저장후 유통조건에 따른 마늘(Allium sativum L.)의 생리적 특성 변화 (Changes in Physiologcal Properties of Garlic (Allium sativum L.) by Storage and Marketing Condition after Storage)

  • 최선태;장규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05-110
    • /
    • 1998
  • To find out suitable storage and marketing condition, northern type 'seosan' garlic was stored for 3 months at controlled atmosphere(CA), modified atmosphere(MA), low(0~1$^{\circ}C$) and room temperature(20$\pm$5$^{\circ}C$), and then marketed at low(2~3$^{\circ}C$) and room temperature (20$\pm$5$^{\circ}C$)after storage. The physiological properties of garlic were investigated among treatments. The garlic respiration increased after 2 months at room temperature storage, which seem to be dormancy break time. During storage of garlic by CA, MA condition, sprouting and weight loss were prevented effectively by suppress of respiration, and hardness was maintained higher then those of the others. Decay rate occurred 8.1% at room temperature storage, 2% at MA storage but didn't occurred at CA and low temperature storages. When marketed at room and low temperature after storage, increment of respiration and sprouting were delayed, and changes of weight and hardness were low in garlics stored at CA and MA. Decay rate occurred high in garlics stored at MA and room temperature.

  • PDF

A High Yield and Processing Potato Cultivar 'Taedong Valley'

  • Dhital, Shambhu P.;Lian, Yu J.;Hwang, Won N.;Lim, Hak T.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07-211
    • /
    • 2010
  • 'Taedong Valley' is a high yielding and processing potato cultivar, which is a clonal selection resulting from a cross between 'W870' and 'A88431-1'. It is a medium maturating cultivar with medium plant height and light green foliage. 'Taedong Valley' has profuse flowering habit and light purple flowers. Tubers are smooth, round, and with yellow skin, light yellow flesh, medium eye depth. Tubers have medium dormancy and good keeping quality. 'Taedong Valley' has stable yield under wide range of climatic conditions. It is resistant to common scab and potato virus Y, but moderately susceptible to late blight. It is also resistant to most of the disorders, particularly dehiscence, hollow heart and internal brown spots. This cultivar has high level of tuber uniformity and capable of yielding 43.6 t/ha which is about 9.0% higher than the control potato cultivar 'Atlantic' under optimum agronomical practices.

신고 배의 개화기 결정에 미치는 온도영향의 정량화 (Quantification of Temperature Effects on Flowering Date Determination in Niitaka Pear)

  • 김수옥;김진희;정유란;김승희;박건환;윤진일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61-71
    • /
    • 2009
  • 최근 우리나라의 춥지 않은 겨울은 온대낙엽과수의 휴면타파에 필요한 저온기간을 충분히 갖지 못하게 함으로서 개화시기를 앞당기거나 불균일하게 함으로써 수확량을 감소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기후변화시나리오에 의하면 이러한 피해가 앞으로 더욱 심해질 것으로 전망되므로 과수산업의 대응전략마련을 위해 정확한 개화기 예측이 필수적이다. 기존의 개화기 예측은 이른 봄부터 나타나는 기온의 영향만을 적용한 것으로써 겨울 동안 눈의 휴면상태와 봄철 발아로 인한 개화시기의 변동은 반영할 수가 없었다. 본 연구는 휴면기간 동안 시간과 기온의 조합인 온도시간에 근거하여 내생휴면해제일, 발아, 개화를 예측할 수 있는 휴면시계모형을 배 품종 '신고'에 맞게 조정하고자 수행하였다. 매일의 기온 자료만으로 내생휴면해제일을 찾아내기 위해 수확이 끝난 포장에서 매주 신고 가지를 채취하여 발아실험을 수행하였으며 포장에서 관측된 일 최고 및 최저기온을 이용하여 내생휴면해제일까지 온도시간을 계산하고 적산하였다. 기준온도를 $4^{\circ}C$에서 $10^{\circ}C$ 범위로 설정하고 $0.1^{\circ}C$ 단위까지 세분화하여 휴면시계모형을 반복 구동함으로써 출력된 예상 발아기와 실측 발아기가 일치하는 조건에 해당하는 기준온도와 저온요구도를 도출하였다. 장기 생물계절 관측자료에 근거하여 발아 이후 개화에 이르는 기간의 온도시간을 계산하여 휴면시계모형에 추가함으로써 배 품종 신고의 만개기를 예측할 수 있도록 수정하였다. 이 모형에 의해 최근 9년간 개화기를 추정한 결과 RMSE가 1.9일로서 신고의 만개기 예측에 실용화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논 잡초(雜草) 가막사리(Bidens tripartita L.) 생태종(生態種)의 분화(分化)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Differentiation of a Paddy Weed, Bur Beggarticks(Bidens tripartita L.))

  • 김명현;노영덕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03-309
    • /
    • 1997
  • 가막사리 50개 수집종을 대상으로 여러 가지 형태적(形態的), 생리적(生理的)특성의 변이를 조사하고, 초형(草形), 열엽편수(裂葉片數), 수과(瘦果)길이, 개화소요일수(開花所要日數)를 기준(基準)으로 Ward의 최소분산법(最小分散法)으로 군집분석(群集分析)을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막사리 수집종은 초형, 경장, 개화소요일수, 엽장폭비, 열엽편수, 엽록소함량, 엽색, 경색, 수과색, 수과길이, 수과장폭비 에서 다양한 변이를 보였으며, 수집종에 따라 약간의 변이가 있으나 대부분 상당한 휴면성과 광발아성이 있었다. 초형은 직립형(I)에서 삼각형(V)까지 다양했는데, 마름모형(III)이 가장 많았고, 경장과는 5% 수준에서 부(負)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엽편수는 3개인 것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5개의 순으로 나타났는데 열엽(裂葉)되지 않는 수집종도 있었다. 수과길이 및 엽록소함량과는 5% 수준에서 엽장폭비와는 1% 수준에서 부(負)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개화소요일수는 94-141 일 범위였다. 수과길이와는 1% 수준에서, 엽장폭비와는 5% 수준에서 정(正)의 상관관계, 그리고 수과색과는 1% 수준에서 부(負)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수과길이는 6.5-14.0mm의 범위로, 평균 10.0mm, 표준편차 1.7로 9.0-12.0mm 사이가 60%를 차지했다. 수과장폭비, 경장, 개화소요일수와는 1% 수준에서, 엽장폭비와는 5% 수준에서 정(正)의 상관관계를, 그리고 엽색, 경색, 수과색, 열엽편수와는 5% 수준에서 부(負)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Ward의 최소분산법을 이용한 군집분석 결과 거리 0.06에서 식물학적으로 특성이 각기 다른 6개 군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 PDF

스트레스 내성 식물 호르몬인 앱시스산의 산업적 활용 전망 (Future Prospects for Industrial Application of Abscisic acid, a Stress-resistant Phytohormone)

  • 이정호;김승희;유하영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8권4호
    • /
    • pp.514-523
    • /
    • 2020
  • 이동성이 없는 식물은 주위 환경에서 다양한 형태의 스트레스를 받게 되는데 이를 대응하기 위한 방어 기작으로 스트레스 저항성 단백질과 조절 단백질이 생성된다. 앱시스산은 이러한 신호전달 역할을 하는 호르몬 분자로 잘 알려져 있으며, 잎의 노화, 종자의 휴면 등 식물의 생리적 반응에도 관여한다. 특히 식물이 아닌 동물, 조류(algae) 등 다른 생물계에서도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총설에서는 앱시스산의 생합성 및 신호전달 과정 그리고 그 기능에 대하여 조사하였고, 농생명공학, 의생명공학, 산업생명공학을 포함한 다양한 생명공학분야에서 앱시스산을 활용한 작물량 증대, 질병 치료제 개발, 바이오에너지 생산 등 최신 응용 연구 및 산업적 활용에 대한 동향을 살펴보았다.

인삼의 광환경과 생리반응 I.자생지. 임간 및 일복 재배에서 광경험과 광조절 방법의 변천 (Light environment and physiological response of Panax ginseng I. Experience on light in natural habitat,through cultivation under forest and artificial shade, and change of light control technique)

  • 박훈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7권2호
    • /
    • pp.172-192
    • /
    • 1983
  • Light environment and growth of Panax ginseng In habitat and cultivation under natural shade were renewed. Grower's experiences on ginseng stand In relation to light environment were assessed. Change of shading method and grower's concepts on light requirement of ginseng plant in Korea, Manchuria and Japan was counted. Growth of wild ginseng was better under rich light. Optimum crown density index appeared to be 0.7 In natural habitat and 0.4 to 0.7 for the cultivation in forest. Change of light Intensity in forest was greatest in May and reached near to constant value (from 40% to 3% for broad leaf deciduous forest and loom 4% to 2% for pine forest). Insufficient light condition induced long and thin stem, poor flowering and seed bearing, and sequent dormancy. Relation between light and ginseng strand was not clear but light Interception with cool weather was effective. Topography and orientation of bed have been deeply considered for light environment. Panel or bark of won were used for shading in deep forest manly In Manchuria while reed blind and straw thatch were used in Korea. Kinds and number of shades material and seasonal or daily schedule have been simplified probably by labor pressure due to eulargement of plantation. Post height has been greater while width of roof, bed and ditch has changed lisle. Scientific survey in the past omitted important light control methods (complete light hardening etc) which has been practiced in specific areas. The concept and technique of light control in the past in Korea were delicate and intensive including the control of temperature and moisture. For the application of old concept in modem cultivation precise Investigation of the technique including the measurement of light, temperature and moisture is needed.

  • PDF

저장온도 및 종자 처리가 봄파종 인삼 출아와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torage Temperature and Seed Treatment on Emergence and Growth Properties of Panax ginseng at Spring-sowing)

  • 서수정;유진;장인복;문지원;이성우;장인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401-407
    • /
    • 2018
  • Background: In Korea, seeds of Panax ginseng C. A. Meyer need to be stored under cold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condition for months to break physiological dormancy, making storage difficult until spring-sowing.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est the effects of seed storage conditions and seed treatment on the emergence of seedling after spring-sowing in a nursery greenhouse. Methods and Results: After dehiscence, endocarp dried seeds in mild or completely, and wet seeds were stored in $2^{\circ}C$ and $-3.5^{\circ}C$ during winter. Storage at $-3.5^{\circ}C$ resulted in a lower emergence rate (ER) than that at $2^{\circ}C$, and additional cold ($2^{\circ}C$) treatment before or after storage at $-3.5^{\circ}C$ increased the ER. Endocarp dehydration prevented pre-germination at $2^{\circ}C$ storage and increased the ER of seeds stored at $-3.5^{\circ}C$. ER was also dependent on the batch of seeds. However, seed treatments before sowing had only limited effects on ER. Root loss was the main reason for damping-off; prolonged cold storage of seeds increased damping-off, as the detection of pathogens was not high.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that storage conditions such as temperature and moisture content of seeds, affect the ER after spring-sowing and vitality of seedlings, suggesting further attention on seed control for secure seedling stands after spring-sowing.

피속(屬) 잡초(雜草) 수집종(蒐集種)의 외부형태적(外部形態的) 변이(變異)와 제초제(除草劑)에 대한 내성차이(耐性差異) (Gross Morphological and Herbicide Susceptibility Variation in Collections of Echinochloa Species)

  • 김재철;신현승;김종석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9-14
    • /
    • 1988
  • 논 포장(圃場)(전북(全北) 완주군(完州郡) 소양면(所陽面) 죽절리(竹節里))에서 발생(發生)되는 피속(屬) 3변종(變種)과 이와 형태적(形態的)으로 구분(區分)이 되는 5종(種)의 피를 수집(蒐集)하여 이들의 생리생태적(生理生態的) 형질(形質)을 비교(比較) 검토(檢討)하였다. 8종(種)의 수집종(蒐集種)들은 종자(種子) 휴면성(休眠性), 상대생장율(相對生長率), 출수(出穗)에 요(要)하는 일수(日數), 수(穗) 형태(形態) 등에서 변이(變異)를 보였으며 이들 형질(形質)은 중심(中心)으로 한 cluster 분석(分析) 결과(結果) 피와 이의 생태형(生態型) 2종(種), 돌피와 이의 생태형(生態型) 1종(種) 및 물피와 이의 생태형(生態型) 2종(種)으로 구분(區分)지어졌다. 피속(屬) 3 변종(變種)과 이의 생태형(生態型)들은 butachlor에 대하여 발아(發芽) 및 유묘(幼苗) 생장(生長)에 있어서 서로 다른 내성(耐性) 차이(差異)를 보였다.

  • PDF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Xanthomonas arboricola pv. juglandis Causing Bacterial Blight of Walnuts in Korea

  • Kim, Hyun Sup;Cheon, Wonsu;Lee, Younmi;Kwon, Hyeok-Tae;Seo, Sang-Tae;Balaraju, Kotnala;Jeon, Yongho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7권2호
    • /
    • pp.137-151
    • /
    • 2021
  • The present study describes the bacterial blight of walnut, caused by Xanthomonas arboricola pv. juglandis (Xaj) in the northern Gyeongbuk province, Korea. Disease symptoms that appear very similar to anthracnose symptoms were observed in walnut trees in June 2016. Pathogens were isolated from disease infected leaves, fruits, shoots, bud, flower bud of walnut, and cultured onto yeast dextrose carbonate agar plates. Isolated bacteria with bacterial blight symptoms were characterized for their nutrient utilization profiles using Biolog GN2 and Vitek 2. In addition, isolates were subjected to physiological, biochemical, and morphological characterizations. Furthermore, isolates were identified using 16S rDNA sequence analysis, and multi-locus sequence analysis using atpD, dnaK, efp, and rpoD. To confirm pathogenicity, leaves, fruits, and stems of 3-year-old walnut plants were inoculated with bacterial pathogen suspensions as a foliar spray. One week after inoculation, the gray spots on leaves and yellow halos around the spots were developed. Fruits and stems showed browning symptoms. The pathogen Xaj was re-isolated from all symptomatic tissues to fulfill Koch's postulates, while symptoms were not appeared on control plants. On the other hand, the symptoms were very similar to the symptoms of anthracnose caused by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When walnut plants were inoculated with combined pathogens of Xaj and C. gloeosporioides, disease symptoms were greater in comparison with when inoculated alone. Xaj population size was more in the month of April than March due to their dormancy in March, and sensitive to antibiotics such as oxytetracycline and streptomycin, while resistant to copper sulf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