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ysicochemical quality

검색결과 1,789건 처리시간 0.027초

산림유역의 계류수질 현황 및 계절적 변동 특성 (Characteristics on Seasonal Variation of Stream Water Quality on Upland Headwater Streams in Forested Catchments)

  • 남수연;임홍근;이기문;최형태;양현제;김재훈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220-230
    • /
    • 2022
  • Seasonal variability of water quality in the upland headwater streams in ten forested catchments (37.0~209.0 ha) was examined from April to November 2021. Here, seven physicochemical parameters were analyzed including pH, electrical conductivity (EC), biochemical oxygen demand (BOD), chemical oxygen demand (COD), total nitrogen (T-N), total phosphorous (T-P), and BOD/TOC. The parameter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lowerland rivers as middle and lower reaches within a watershed. The pH showed was low (6.4~6.9) during all the seasons, however, BOD and BOD/TOC in the fall season were 2-fold higher than in the spring and summer seasons. Based on environmental standards, the water quality level revealed that the upland headwater streams maintained the purity and cleanliness of water except for pH in the summer season. BOD/TOC of all the seasons and BOD of the fall season in the upland headwater streams were higher than that in the lowerland rivers, whereas the rest of the physicochemical parameters in the upland headwater streams were lower than that in the lowerland rivers. Additionally, the water quality level maintained the purity and cleanliness of water as "Good" in two reaches. The unique aspects of our study design enabled us to draw inferences about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with temporal and spatial analysis in upland headwater streams. This design will be useful for the long-term strategy of effective water quality management for integrated upland headwater streams and lowerland rivers within a watershed.

Effects of Dietary Energy Level on Growth Efficiency and Carcass Quality Traits of Finishing Pigs

  • Ha, Duck-Min;Kim, Gap-Don;Han, Jeong-Cheol;Jeong, Jin-Yeun;Park, Man-Jong;Park, Byung-Chul;Joo, Seon-Tea;Lee, C.-Young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2권3호
    • /
    • pp.191-198
    • /
    • 2010
  • A total of 96 non-lean-type (Yorkshire $\times$ Landrace) $\times$ Duroc gilts and barrows weighing approximately 80 kg were randomly allocated to 24 pens under a 2 (sex) $\times$ 3 [diet; 3.4, 3.2, and 3.0 Mcal DE/kg {'high'-, 'medium'-, and 'low'-energy diets (HE, ME, and LE), respectively}] factorial arrangement of treatments. All animals were slaughtered approximately at 115 kg, after which carcass quality traits and grades and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e loin related to meat quality were analyzed. The ADG and gain:feed were not affected by the sex or dietary treatment, whereas ADFI was greater in the ME vs HE group. Backfat thickness was greater in barrows vs gilts and also in ME and HE vs LE only in barrows. Enumerated carcass marbling and quality grade, which were highly correlated (r=0.56; P<0.01), were greater in barrows vs gilts.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including the color, pH, drip loss and contents of moisture, protein, and fat of fresh loin, as well as sensory characteristics of fresh and cooked loin, were not affected by the sex or dietary treatment, except for shear force for cooked loin which was greater (P<0.05) in LE and ME vs HE. In conclusion, it is thought that ME is comparable to HE in terms of the effect on growth and carcass quality of finishing pigs, but that the relative effect of LE vs ME needs to be further studied.

발아와 볶음처리에 따른 콩가루 품질 및 이화학 특성 (Quality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ybean flours after germination and roasting)

  • 우관식;김현주;이지혜;이병원;이유영;이병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43-151
    • /
    • 2018
  • 용도별 콩가루 품질기준 설정을 위한 일환으로 발아와 볶음처리 후 콩가루의 품질과 이화학 특성을 분석한 결과 발아와 볶음처리에 따른 콩가루의 수분 함량은 볶음온도와 시간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조회분, 조단백질 및 조지방 함량은 유의적으로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큰 차이가 없었다. 수분결합력은 발아시키지 않은 볶음 콩가루와 발아시킨 볶음 콩가루에서 각각 $220^{\circ}C$에서 20분(241.48%)과 $240^{\circ}C$에서 20분(251.22%)에서 높게 나타났고 용해도와 팽윤력은 볶음온도와 시간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볶음 콩가루의 명도는 볶음온도와 시간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발아시키지 않은 볶음 콩가루와 발아시킨 볶음 콩가루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4.79-7.60 및 5.33-6.50 mg GAE/g,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2.20-2.88 및 2.31-2.78 mg CE/g으로 볶음온도와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각각 141.07-214.80 및 180.49-296.63 mg TE/100 g,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각각 380.88-537.32 및 419.34-587.99 mg TE/100 g으로 발아 후 볶은 콩가루가 전체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볶음조건에 따라 품질 및 이화학 성분의 변화가 있으므로, 콩가루의 품질 및 항산화 특성을 고려하여 콩가루가 많이 이용되고 있는 고물이나 앙금 등 용도별 품질기준 설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ssessment of growth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of finishing pigs raised on the low plane of nutrition

  • Choi, Jung Seok;Jin, Sang-Keun;Lee, C. Young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7권10호
    • /
    • pp.37.1-37.9
    • /
    • 2015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low plane of nutrition on growth and meat quality of finishing pigs. A total of 136 crossbred barrows and gilts weighing approximately 55 kg were allotted to 8 pens, with 17 animals housed per pen, in a 2 (sex) ${\times}$ 2 (nutrition) factorial arrangement of treatments. The animals allotted to a medium plane of nutrition (MPN) received a finisher phase 1 (P1) diet containing 3.47 Mcal DE/kg and 0.92 % lysine and a P2 diet containing 3.40 Mcal DE/kg and 0.78 % lysine for 35 d and 36/43 d, respectively; the animals allotted to the low plane of nutrition (LPN) received only a P2 diet containing 3.00 Mcal DE/kg and 0.68 % lysine 7 d longer than MPN. The animals were slaughtered following the feeding trial, after which the loin, ham, Boston butt, and belly were taken from a total of 24 animals, with the average live weight being 120 kg, and their physicochemical and sensory quality traits were analyzed. Average daily gain did not differ between MPN and LPN during either P1 or P2. Average daily feed intake was greater (P < 0.05) in LPN vs. MPN during both phases whereas the opposite was true for the gain:feed ratio. Backfat thickness (BFT) was less in LPN vs. MPN (21.7 vs. 24.1 mm at 115 kg). The plane of nutrition influenced no effect on any of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fresh loin, ham, or Boston butt analyzed in the present study. Fresh hams from LPN exhibited superior aroma and odor scores than those from MPN; however, sensory quality traits were not influenced by the plane of nutrition in other fresh primal cuts or cooked meat. Instead, fresh primal cuts and cooked meat from gilts rendered superior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sensory scores, respectively, than those from barrows. Results suggest that the low plane of nutrition may be useful to increase the slaughter weight of finishing pigs with a moderately high BFT by virtue of its BFT-lowering effect with or without exerting a slightly positive influence on pork quality.

국내 자동차용 엔진오일의 물리·화학적 특성연구 (The study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vehicle Engine Oil in Korea)

  • 김신;김재곤;임의순;임윤성;나병기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94-201
    • /
    • 2015
  • 자동차용 엔진오일은 특성향상을 목적으로 꾸준히 발전되어 왔으며 특히, 극악조건에서 사용되는 엔진오일의 경우, 보다 높은 효과를 발휘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경제적 측면에서 윤활기유의 개발에는 한계가 있었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한 방안으로 다양한 첨가제가 개발 되어왔다. 하지만 무차별적인 첨가제 사용은 환경적 측면에 많은 문제점을 발생시켰으며 이를 제도화하기 위하여 국가별 품질기준을 제정하였다. 따라서 국내 자동차용 엔진오일의 물리 화학적 특성 분석을 통하여 다양한 환경적 영향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북한산국립공원(北漢山國立公園) 북동사면(北東斜面) 일대(一帶) 계류수질(溪流水質) 특성(特性)(II) -이화학적(理化學的) 특성(特性)을 중심(中心)으로- (Characteristics on Stream Water Quality in the Northeastern Part of Puk'ansan National Park(II) - With a Special Reference to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 박재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2호
    • /
    • pp.241-248
    • /
    • 2000
  • 북한산국립공원(北漢山國立公園) 북동사면(北東斜面) 일대(一帶) 계류수(溪流水)의 이화학적(理化學的) 수질특성(水質特性)을 파악함으로써 국립공원내(國立公園內) 계류수질(溪流水質) 보전(保全)을 위한 과학적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1998년 7월부터 1999년 11월까지 매월 4개 지점의 계류수질을 분석한 결과, 이 지역 계류수의 평균pH는 6.65, 평균용존산소량은 $10.7mg/{\ell}$로 하천수질환경기준에 의한 상수원수 1급수의 범위 내였다. 또한, 이 지역 계류수(溪流水)는 연수(軟水)이었으며, 평균용존산소포화도(平均溶存酸素飽和度)는 96.7%로 포화상태이었다. 북한산 국립공원을 이용하는 탐방객수(探訪客數)의 증가(增加)는 계류수의 용존이온량을 증가시켜 계류수의 전기전도도(電氣傳導度)를 상승시키고 계류수질오염(溪流水質汚染)에 영향(影響)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分析)되었으며, 직선회귀분석결과(直線回歸分析結果) 1% 수준에서 유의(有意)하였다. 북한산 북동사면 일대 계류수에서 전기전도도(電氣傳導度)와 용존음이온량($Cl^-$, $NO{_3}^-$, $SO{_4}^{2-}$)은 상류(上流)보다는 하류(下流)에셔 증가(增加)하였다.

  • PDF

기체 치환 포장(Modified Atmosphere Packaging)에 의한 생굴(Crassostrea gigas)의 저장성 연장 (Effect of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on Shelf-Life Extension of Raw Oysters Crassostrea gigas)

  • 조두민;이도하;박슬기;오도경;조경진;원동훈;박건우;송미루;장예빈;노소연;김영목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512-519
    • /
    • 2023
  • Pacific oysters Crassostrea gigas are a popular shellfish in the Republic of Korea. However, due to their abundant moisture and nutrient content, oysters are susceptible to microbiological growth and biochemical changes, which lead to quality degradation. Therefore,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MAP) in maintaining the quality of raw oysters during storage. Microbiological and physicochemical parameters such as pH, glycogen content, soluble protein, turbidity, and volatile basic nitrogen (VBN) were analyzed for oysters stored under various gas compositions and storage period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increase in viable cell count in MAP oysters after six days in MAP oysters. Moreover, the physicochemical quality of non-MAP oysters deteriorated rapidly, whereas the quality of MAP oysters were maintained during storage. This study suggests that MAP can be an effective technique for maintaining the freshness of raw oysters during distribution and storage, and may also be useful for extending the shelf-life and maintaining the quality of other seafood products.

이화학적·관능적 품질 특성에 기반한 참외의 소비자 기호도 예측 (Prediction of Consumer Acceptance of Oriental Melon based on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 이다움;배정미;임정호;최정희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5권4호
    • /
    • pp.446-455
    • /
    • 2017
  • 본 연구는 참외의 소비자 기반 품질 지표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화학적 특성 및 관능 특성을 조사하였다. 참외는 착과 후 20일, 25일, 그리고 30일에 수확하였으며, 각 수확 시기에 따라 부피별로 소, 중, 대를 구분하여 총 9그룹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착과 후 25일 및 30일에 수확된 그룹은 20일에 수확된 그룹에 비하여 CIE $a^*$$b^*$값, 그리고 가용성 고형분 함량(SSC)이 높았으며, CIE $L^*$값과 경도는 낮았다. 또한 착과 후 25일 및 30일에 수확된 그룹은 전반적인 기호도가 높았다. 특성간 상관성 분석결과 이화학적 특성(CIE 값, SSC, 산도, 그리고 경도)과 전반적인 기호도는 1% 유의수준에서 상관성이 있었다. 관능 특성 평가결과 수확 시기가 늦을수록 당도와 황색도는 높고 경도는 낮았으며, 이러한 특성은 전반적인 기호도의 증가와 연관이 있었다. 주성분 분석결과 제 1주성분과 제 2주성분은 각각 62.16%와 17.91%의 설명력을 보여주었으며 전체 설명력은 80.07%였다. 제 1주성분 점수의 변화 경향을 활용하여 전반적인 기호도와 직선회귀식을 산출한 결과 $r^2$은 0.87이었다. 본 실험결과 이화학적 특성인 CIE 값과 SSC, pH, SSC/적정 산도(TA) 및 경도와 관능적 품질 특성인 과피의 황색도, 향, 풍미, 단맛, 조직감, 이미, 그리고 태좌부의 상태를 참외의 품질지표로 활용하여 소비자 기호도 예측이 가능하였다.

단기 숙성 생햄의 저온 및 실온저장 과정 중 물리화학 및 관능학적 품질 특성 변화 (Physicochemical and Sensory Evaluation of Cured and Short-Ripened Raw Hams During Storage at 10 and 25°C)

  • 이근택;이연규;이정표;이정우;손세광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6-21
    • /
    • 2007
  • 20개의 돼지 등심육을 각각 1주일씩 건염과 습염을 한 다음 2주일간 숙성하여 생햄을 제조한 후 진공포장하여 10과 $25^{\circ}C$에서 90일간 저장하면서 물리화학적 및 관능학적 품질을 조사하였다. 생햄의 10과 $25^{\circ}C$에서 저장 중 식염 함량은 모두 약 5.1% 수준을 유지하였다. 그리고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및 회분 등 일반성분의 함량에 있어서 저장 온도와 기간에 따른 시료 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TBA와 VBN값은 저장기간 중 계속 증가함으로써 지방과 단백질의 분해가 진공포장한 상태에서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pH, 수분활성도, 물성, TBA와 VBN값, 그리고 관능학적 품질 변화는 $10^{\circ}C$에서보다 $25^{\circ}C$에 저장된 시료에서 더 크게 일어나는 경향을 보였다. 저장 기간이 연장될수록 경도, 부서짐성, 탄성, 응집성, 검성 및 점착성 등과 같은 조직감에서의 유의적인 품질 저하가 관찰되었다(p<0.05). 색은 10과 $25^{\circ}C$ 시료 간, 그리고 저장구간별 큰 차이가 없었다. 관능검사 결과에 따른 생햄의 저장수명은 10과 $25^{\circ}C$에서 각각 75와 45일로 추정되었다.

초고압 기술이 자작나무 수액의 저장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helf-life extension of birch sap using high pressure processing)

  • 최경화;김순임;이동욱;전정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43-350
    • /
    • 2017
  • 초고압 공정(HPP)은 비가열 공정 중 하나로 식품 중의 세균 증식을 억제하는 방법으로 근래 들어 상업적으로 각광 받고 있다. 자작나무 수액은 여과 및 UV 살균과정을 거쳐 유통되지만 상업적으로 사용하기에는 식품공전 미생물 규격에 적합하지 않아 추가 살균처리 없이 유통을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그 단점을 보완하고 저장유통기한을 연장하기 위해 비가열가공 살균법으로 최근 주목받고 있는 HPP를 적용하고자 하였다. 최적 조건을 설정하기 위해 HPP 조건을 달리 하여 63일 동안 저장하여 변화를 관찰하였고, 그 결과 압력이 높고 처리시간이 길어질수록 미생물제어에 효과적이였다. 설정된 550 MPa, 120 sec의 조건으로 HPP 처리한 후 $5^{\circ}C$$10^{\circ}C$에 저장하며 미생물 및 품질변화를 관찰하였다. HPP 미처리군의 경우에는 4-7일차에 급격한 미생물 증식 및 이화학 변화가 일어났지만 HPP 처리군의 경우 $5^{\circ}C$에서 45일, $10^{\circ}C$에서 28일간 저장하는 동안 일반세균, 대장균, 대장균군, 진균 모두 증식이 없어 미생물학적으로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pH, 산도, 당도, 탁도 및 갈변도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5^{\circ}C$에서는 45일까지 변화가 없었고, $10^{\circ}C$에서는 28일 차에서 pH 감소, 산도, 갈변도, 탁도의 증가로 급격한 변화로 24일 저장하는 것이 이화학적으로도 안정하다고 평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자작나무 수액은 효과적인 살균처리를 하지 않으면 미생물증식, 탁도 및 갈변도 변화, 산도증가로 유통기한이 4일 이하로 저장성이 많이 낮지만, HPP 처리함으로 인해 미생물 증식을 막고 그에 따른 수액의 이화학적 안정성을 확보하여 수액의 품질수명을 기존 미처리군에 비해 6배 연장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