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ysico-chemical changes

검색결과 277건 처리시간 0.025초

연시(軟枾) 및 감 퓨레의 냉동저장 중 이화학적 특성변화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ft Persimmon and Puree during Frozen Storage)

  • 양형석;이영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335-340
    • /
    • 2000
  • 연시 및 puree의 냉동저장중 품질변화와 puree의 갈변방지를 위한 ascorbic acid첨가 및 데치기 처리효과에 관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총 carotenoid, 환원당 및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저장 중 별다른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ascorbic acid함량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청도반시의 경우 저장 중 저온 및 microwave oven을 사용해 해동할 경우, 해동 방법에 따른 품질 특성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한편, puree의 점도는 해동 후 급격히 저하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Hunter L, a, b값은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모든 시료에서 갈변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ascorbic acid를 첨가함으로써 갈변현상이 지연되었다. 반면, puree를 데치기 하였을 때 변색과 gel화에 따른 급격한 점도의 증가를 유발함에 따라 갈변 억제 수단으로써 실용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휴경답에서의 토양의 이화확적 특성, 주요 영양분 및 잡초종의 변화 (Changes of Physico-chemical Soil Properties, Major Soil Nutrient Contents, and Weed Vegetation in Paddy Fields during Fallow Period)

  • 한성욱;정갑채;천상욱;이희재;구자옥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11-214
    • /
    • 1998
  • 휴경답에서의 휴경년한에 따른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과 주요 영양분의 변화 및 잡초종의 식생 변화를 조사하였다. 휴경년한이 경과할수록 휴경답 토양의 유기물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pH는 휴경후 3년까지는 변화가 없었으나 이후로는 다소 증가하였다. 토양의 양이온치환용량 및 치환성 N, K, Ca, Mg의 함량은 휴경후 3년까지는 감소하였으나 휴경년한이 길어지면서 증가하였다. 유효 $P_2O_5$의 함량은 휴경년한이 길어지면서 지속적으로 감소한 반면 유효 $SiO_2$의 함량은 3년까지는 변화가 없었으나 그이후로는 증가하였다. 휴경답에서의 잡초종 구성은 초기에는 화본과, 사초과 및 국화과가 주종을 이루었으며 휴경년한이 경과할수록 마디풀과와 골풀과의 잡초 발생이 증가하는 반면 콩과, 물옥잠과, 닭의장풀과, 바늘꽃과의 잡초 발생이 점차 감소하였다. 그러나 화본과의 사초과의 잡초종은 휴경년한의 경과와는 관계없이 항상 우점종으로 발생하였다. 일반적으로 휴경화가 진전될수록 일년생 잡초종에 비해 다년생 잡초종의 발생 비율이, 또한 논 잡초종에 비해 밭 잡초종의 발생 비율이 높아지는 경향이 뚜렷하였다.

  • PDF

포장 방법이 냉장 광어육의 물리$\cdot$화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ackaging Method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hilled Plaice Muscle)

  • 신완철;송재철;최석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68-174
    • /
    • 2005
  • 본 연구는 신선 어육의 유통기한을 증진시키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서 함기포장과 진공포장한 신선 광어육의 물리화학적 변화를 저장기일에 따라 연구한 결과이다. 신선 광어육의 색소 변화에 있어서 명도(L), 적색도(a), 황색도(b)모두 저장기간에 따라 약간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나 포장방법에 따른 현저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경도는 즉살 바로 후 $2,232\;dyne/cm^2$이었으나 저장기일이 지나면서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특히 진공포장육과 함기포장육 둘 다 저장 7일까지는 급격히 낮아졌다가 그 후 14일까지는 매우 서서히 낮아졌으며, 이와 같은 경도의 감소의 폭은 함기포장육의 4일째의 경도가 진공포장육 14일째의 경도와 비슷한 값을 나타낼 정도로 함기포장육이 진공포장육에 비해 상당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전단력가도 경도의 변화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소편화도는 진공포장육의 경우 저장4일까지는 급격히 증가하였으나 그 이상의 저장기일 동안에는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반면 함기포장육의 경우는 저장 초기에 급격히 일어난 다음 7일 이후부터는 오히려 상당히 감소하는 상반된 현상을 나타내었다. Myosin, actin을 포함한 조절단백질의 추출 정도 내지는 구조에 의해 차이를 나타내는 염농도에 따른 Mg-ATPase 활성은 포장방법에 관계없이 저장기일이 길어짐에 따라 ATP의 분해능력이 커짐을 보였으며, 함기포장이 진공포장에 비해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온도별 저장중 축육 소시지의 이화학적 변화 (The Physico-chemical Changes of Meat Sausage during Storage at Different Temperature)

  • 김수민;성삼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83-288
    • /
    • 1989
  • 저장온도가 축육소시지의 품질에 미지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저장온도별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변화를 비교, 검토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저장 온도별 VBN 함량의 변화는 온도의 영향에 민감한 반응을 나타내었는데 $10^{\circ}C$, $20^{\circ}C$에 비해 $40^{\circ}C$ 저장이 VBN 함량이 급격한 증가현상을 나타내었다. 또한, 변온저장 $(10/40^{\circ}C)$인 경우에는 $10^{\circ}C$$20^{\circ}C$에 비해 VBN 함량변화가 빠르나 $40^{\circ}C$에 비해서는 변화가 느린 경향이었다. 저장온도별 VBN 함량, 총균수의 변화는 저장기간의 경과와 저장온도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TBA 값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그 변화 경향은 일정하지 않았지만, 전반적으로 $40^{\circ}C$$10^{\circ}C$, $20^{\circ}C$ 및 변온저장에 비해 높은 경향이었다. Aw와 수분함량은 저장온도별 큰 변화는 없었지만 저장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약간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소시지 색깔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어두워지는 경향이었다. 전반적인 slime형성의 기준인 관능평가 2.0을 기준으로 저장기간을 예측해 본 결과 $10^{\circ}C$는 40일 이상, $20^{\circ}C$는 40일 미만, $40^{\circ}C$는 30일 미만, 변온저장의 경우는 20일 정도로 산출되었다.

  • PDF

조리방법에 따른 삼겹살의 물리화학적 특성 변화 (Physico-Chemical Changes in Pork Bellies with Different Cooking Methods)

  • 양종범;고명수;김광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87-93
    • /
    • 2009
  • 삼겹살을 먹을 때, 동물성 지방의 섭취를 줄일 수 있는 효과적인 조리방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삼겹살을 삶기, 찌기, 굽기 및 튀기기의 방법으로 가열조리한 후, 물리화학적 특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가열조리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수분 양은 감소하고 지질 양은 증가하였는데, 이에 따른 가열감량, 탈수량 및 탈유량은 튀기기와 삶기 처리구에서 높았다. 시료의 pH는 삶기 처리구에서 가장 많이 증가하였고, 시료로부터 추출한 지질의 산가와 굴절율은 튀기기 처리구에서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 경도, 점착성 및 저작성은 삶기에 의하여 크게 증가하였으나 튀기기 처리구에서는 크게 감소하였고, 탄력성은 삶기 처리구에서 가장 많이 감소하였으며, 응집성은 찌기 처리구에서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 CIE $L^*$값은 찌기 처리구에서는 크게 증가하였지만 튀기기 처리구에서는 크게 감소하였고, CIE $a^*$값은 전체적으로 감소하였는데 삶기 처리구에서 가장 많이 감소하였으며, CIE $b^*$값은 삶기와 찌기 처리구에서는 감소하였지만 굽기와 튀기기 처리구에서는 증가하였다. 생 삼겹살 지방을 구성하는 지방산에는 oleic acid(42.4%), palmitic acid(23.9%)와 linoleic acid(16.1%)가 많았으며, 포화지방산에 대한 단일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은 1.190 그리고 포화지방산에 대한 고도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은 0.466 이었다. 가열조리 방법에 따른 시료의 지방산 조성은 튀기기 처리구를 제외하고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따라서 삼겹살을 먹을 때 동물성 지방의 섭취를 줄일 수 있는 효과적인 조리방법은 삶기라고 판단된다.

마쇄처리 고추의 냉동저장중 이화학적 성분의 변화 (The Physico-Chemical Changes of the Mashed Red Pepper During Frozen Storage)

  • 설민숙;이현자;박소희;김종군;황성연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09-216
    • /
    • 2004
  • 마쇄처리 고추를 냉동 저장하면서 그 이화학적 변화 및 이용 방법을 연구하기 위하여 포청천을 태양건조후 고춧가루로 만든 것과 마쇄한 다음 브렌칭, 비타민 C 첨가, NaCl 첨가, aging 처리 등을 하고 냉동저장하면서 품질변화를 비교하였다. L, a, b값 가운데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이 포청천의 경우 기존 고춧가루의 31.51에 비하여 마쇄처리 고추는 모두 $33.53{\sim}33.84$로 마쇄처리한 것이 적색도가 좋았다. Capsanthin 함량은 마쇄 냉동저장시 비타민 C 첨가구가 1.8% 감소하여 비타민 C 첨가가 capsanthin 함량유지에 도움이 됨을 알 수 있었다. 매운맛 성분인 capsaicin과 dihydrocapsaicin은 냉동저장중 고춧가루의 경우 11.9%, 18.32% 감소하여 dihydrocapsaicin이 capsaicin 보다 빠르게 감소되었으며 전반적으로 마쇄 냉동저장한 것이 고춧가루보다 신미성분의 감소가 적었다. 마쇄처리 고추에서는 비타민 C를 첨가한 것이 capsaicin과 dihydrocapsaicin의 감소가 가장 적게 나타났다. 비타민 C는 마쇄고추를 브렌칭할 때 잔존량이 12.0 mg/100 g으로 마쇄고추의 44.0 mg/100 g에 비하여 파괴가 가장 많이 일어났으며 NaCl 첨가구의 경우도 13.2 mg/100 g으로 비슷하였다. 그러나 비타민 C를 첨가한 경우는 52.0 mg/100 g이 잔존하였고 냉동저장시 마쇄고추의 69.0%에 비하여 32.9%가 감소하여 비타민 C 첨가가 고추에 함유된 비타민 C 유지에 도움이 되었다.

우리나라에서의 신농약 개발전망 (Feasibility of New Pesticide Development in Korea)

  • 박영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84-97
    • /
    • 1983
  • Under the limited arable land, the enhancement of agricultural productivity is indispensable to provide the food demand which is concomitant with the rapid increase in population. From this viewpoint, the upbringing and dissemination of high-yielding varieties has been promoted continuously and several modifications in cultural practices, including heavy fertilization, dense planting, and early transplanting, also have been gradually developed. However these changes in cultivation have led to the increased outbreak of insect pests and diseases. And this unexpected results have accelerated the number and complexity of pesticides employed as well as their consumption. Even though pesticides are essential materials contributing to the steady production of agricultural crops, large scale consumption of them has given rise to several adverse impacts, such as mammalian hazard and/or environmental contamination. In this respect, recent development of new pesticides has been concentrated on 'safe pesticide', as it were, that has the highly selective properties without unfavorable side influences on other ecosystem. According to literature cited up to now, feasibilities of safe pesticide development would be summarized as two categories. One of them is the development of chemical pesticides, which include the molecular structure modification of established pesticides for increased safety and synthesis of new safe chemicals which can attack the vulnerable point of physio-ecological characteristics in insect pests and diseases. The other is the biological pesticides which comprise natural enemies and microorganisms to act selectively on confined insect pests and diseases, In addition, improvement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available pesticide formulations would be one of the desirable means for safe pesticide development in view of efficacy enhancement and minimization of hazardous properties or safe pesticide development, various approaches are feasible and needed to study, however, long period and much financial outlay are necessary to develop a new item. And under the present situation in Korea, there are many difficulties for performing research on all the possible routes. Therefore, combined pesticides by the reasonable combination of already registered resticides evaluated as the fairly safe pesticides and safe formulation based on their physico-chemical properties would be developed primarily. And many efforts would be given gradually for the development of new chemical and biological pesticides.

  • PDF

황 및 가황 촉진제의 함량에 따른 NR/BR 블렌드의 가황과 물리적·기계적 특성의 변화 (The Changes of Vulcanization and Physico-Mechanical Properties of NR/BR Blend with the Content of Sulfur and Accelerator)

  • 김완영;이대수;김윤섭;김형순;라창운
    • 공업화학
    • /
    • 제2권4호
    • /
    • pp.356-362
    • /
    • 1991
  • 가황계에 따른 NR/BR 블렌드의 물리적 기계적 특성의 변화를 가교밀도의 차이로 해석하였다. 경화제의 비율 및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가황속도 및 최대 토오크는 증가를 보였으며, 가교밀도도 증가하였다. 가교밀도의 증가에 따라 경도, 300% 모듈러스, 반발탄성 및 마모특성은 증가를 보인 반면에 발열에 의한 온도 상승 및 $60^{\circ}C$에서의 tan $\delta$는 감소를 보였다. 따라서 높은 하중이 가해지는 트럭/버스 타이어의 트레드 부위에 사용하는 경우 회전저항이 적은 semi-EV 가황계가 가장 적절한 가황 시스템으로 판단되었다.

  • PDF

Instrumental Analysis of the Human Hair Damaged by Bleaching Treatments - Focused on ATR FT-IRM -

  • Ha, Byung-Jo
    • 패션비즈니스
    • /
    • 제12권6호
    • /
    • pp.23-33
    • /
    • 2008
  •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by bleaching treatments were assessed by several instrumental analyses such as surface morphology, chemical structural change, color change as well as tensile strength. The change o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 was observed through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EM). The observation of the fine structure on hair surface by SEM showed the bleached hair had much damaged to hair cuticle, and some of cuticle surface were worn away. To investigate the chemical structural changes in hair keratin, the cross-sections of hair samples were directly analysed using Fourier transform infrared microspectroscopy(FT-IRM). The results showed the cysteic acid S=O band intensity was distinctively increased by performing the bleaching treatment. The cleavage of cystine was appeared to proceed primarily through the sulfur-sulfur (-S-S-) fission whereby cysteic acid was formed as a principal oxidation products. The distribution of amide I band in hair keratin was determined by attenuated total reflectance(ATR) FT-IR mapping imag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outer side of hair cortex was more damaged than the inner side of the hair cortex. Also, during chemical bleaching of the hair with alkaline peroxide, the hair was turned to reddish yellow due to the oxidative degradation of eumelanin. This means the eumelanin is more unstable than pheomelanin in chemical oxidation. With bleaching, the tensile strength was also reduced as a results of the chemical oxidation.

냉장중 사슴육 증탕액의 이화학적 특성의 변화 (Changes of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Venison Extracts during Chilling Storage)

  • 박창일;김영직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98-304
    • /
    • 2000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pH, proximate composition, pH, VBN, TBA, minerals, and fatty acid of venison extracts, from three slaughtered deers with 180~210 kg live weight (♀, Elk deer, 28~30 months of age) at 4$^{\circ}C$. Proximate composition was not affected by storage periods. The pH, VBN, and TBA ranged from 4.60~4.62, 13.52~15.75 mg%, and 0.20~0/81mg/kg. respectively. The pH, VBN, and TBA gradually increased during storage period (p<0.050. Among minerals, K, P, Na, Mg, and Ca were major mineral contents and the Ca, mg, Na contents significantly decreased (p<0.05) according to the storage period. The major fatty acid found in venison extracts were oleic acid, palmitic acid, stearic acid, linoleic acid. Oleic acid, linolenic acid, and arachidonic acid decreased during storage, but palmitic acid, heptadeanonic acid, and stearic acid increased during the storage. U/S (unsalturated fatty acid/saturated fatty acid) ratio tended to decrease during the storag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