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otopic vision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4초

대비감도함수와 변조전달함수를 이용한 시기능 예측 (Prediction of visual performance using contrast sensitivity function and modulation transfer function)

  • 김상기;박성찬
    • 한국광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461-468
    • /
    • 2004
  • 본 논문에서 연구된 정밀모형안은 정시안에서 1.2 시력의 적정한 수차를 가진 모형안임을 확인하였다. 망막의 특성을 생략한 안광학계에 광전달함수를 사용하여 망막에서의 광세기 분포를 조사하여 자각식으로 측정한 임상자료와 비교하였다. 망막의 광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안구의 수차, 회절, 망막 대비감도, Stiles-Crawford 효과, 동공크기를 포함한 대비감도함수를 계산하였다. 모형안에 동공직경 1 mm와 8 mm의 범위에서 정시안과 비정시안에 대해 대비감도함수와 변조전달함수를 비교하여 시력을 예측하였다.

굴절이상도와 조도에 따른 써클콘택트렌즈의 색상 별 대비감도 변화 (The contrast sensitivity change of circle contact lens's color by refraction error and illuminance)

  • 김보연;정미아;이은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273-279
    • /
    • 2018
  • 본 연구는 굴절이상도와 조도가 써클콘택트렌즈 착용 시 대비감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총 16명(남5명, 여 1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비감도는 나안상태, 써클 콘택트렌즈의 색상별, 검사실의 조도에 따라 측정하였다. 조도에 따른 대비감도는 컬러콘택트렌즈를 착용했을 때 나안상태보다 감소하였고, 암소시보다 명소시일 때 대비감도가 증가하였다. 브라운과 블랙 두 가지 컬러 콘택트렌즈의 대비감도를 비교하였을 때 블랙보다는 브라운 컬러의 콘택트렌즈에서 대비감도가 높았다. 또한 굴절이상유무에 따른 정시안, 근시안, 근시성난시안 대상자의 대비감도 비교에서 정시안대상자에서 조도에 따른 대비감도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컬러콘택트렌즈 착용자들의 충분한 이해와 인식이 필요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자외선 및 고에너지 가시광 차단 기능을 갖는 눈 건강을 위한 폴리머 안경렌즈 (Polymer Eyeglass Lens with Ultraviolet & High-Energy Visible Light Blocking Function for Eye Health)

  • 김기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10-15
    • /
    • 2020
  • 파장 400 nm 이하의 자외선은 눈 건강에 매우 해롭다. 또한 고에너지 가시광도 망막 세포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이 최근에 밝혀졌다. 따라서 자외선 및 고에너지 가시광 차단 기능의 안경렌즈 개발이 시대적으로 요청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m-자일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모노머와 2,3-bis((2-mercaptoethyl)thio)-1-propanethiol 모노머 및 벤트리아졸 UV 흡수제, 알킬인산에스터 이형제, 안료혼합물(CI solvent violet 13), 이염화부틸주석 촉매제 등의 혼합물을 인젝션 몰드 방법으로 열중합 공정을 적용하여, 굴절률 1.67의 고굴절률 폴리머 안경렌즈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폴리머 안경렌즈의 양면에 전자빔 진공증착 시스템으로 다층 반사방지 코팅을 하였다. 제조된 안경렌즈의 자외선 및 고에너지 가시광 차단 기능을 UV-visible spectrophotometer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UV 흡수제를 0.5wt% 첨가한 폴리머 안경렌즈가 411 nm 파장 이하의 자외선 및 고에너지 가시광을 99 % 이상 차단하였다. 또한 460 ~ 660 nm 파장의 명소시 시각 민감도 10% 이상의 영역에서 평균 투과율이 97.9%를 나타내어 명소시에서 선명한 상을 얻을 수 있었다.

고령 운전자의 시각적 기능 분석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Elderly Driver's Visual Function)

  • 김정복;황정희;추병선
    • 대한시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05-511
    • /
    • 2018
  • 목적 : 만 65 세 이상 고령운전자와 50 ~ 65 세 이전의 예비고령 운전자의 시각적 기능을 검사하고, 일반인과 직업 운전자를 구분하여 그 차이점을 연구하고자 한다. 방법 :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만 65 세 이상 고령운전자(40 명), 만 65 세 이하 운전자(67 명)이었다. 모든 대상자들은 안과적 질환이 없고, 운전 경력은 5년 이상이었다. 기본적인 데이터(성별, 직업, 연령, 건강상태)와 함께 시각기능 데이터 (대비감도, 정적 및 동적 입체시, 시력회복시간, 눈부심 지수)등을 측정하였다. 결과 : 명소시 조건에서의 대비감도는 전반적으로 버스군에서 가장 좋은 감도를 보였으며, 12 cpd와 18 cpd의 주파수에서 일반 1.57, 버스 1.70으로 그 차이 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05). 암소시 조건에서는 65 세 이상 고령층에서는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일반군과 택시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다(p<0.05). 눈부심 후 시력회복시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다만 연령대가 증가할수록 시간이 길어지는 경향은 보였다. 눈부심 지수에 관한 결과는 65 세 이상의 일반군에서 운전에 방해가 되는 눈부심에 해당하는 지수 3에 가까운 결과를 보였고, 택시 및 화물 운전군에서는 양호한 눈부심에 해당하는 지수 5에 가까운 결과 값을 보여주었다(p<0.05). 결론 : 고령자들의 시기능을 분석한 결과, 나이가 들수록 대부분의 시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65 세 이상의 고령 운전자의 안전운전을 위해서는 현재 시행되어지고 있는 시력, 색각 검사 외에도 운전 환경과 연관되어 있는 시기능인 대비감도, 눈부심, 입체시력 등의 시각기능 검사가 추가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굴절교정수술을 받은 근시안의 각막 비구면도와 광학적 특성 평가 (Corneal Asphericity and Optical Performance after Myopic Laser Refractive Surgery)

  • 김정미;이아영;이군자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79-186
    • /
    • 2013
  • 목적: 엑시머 레이저 근시굴절교정수술을 받은 사람의 각막 비구면도, 시력, 고위수차를 정시안과 비교 평가하였다. 방법: 단안의 나안 시력이 1.0 이상인 근시 굴절교정수술을 받은 23명(나이: $23.0{\pm}2.5$세)과 20명($21.0{\pm}2.6$세)의 정시안을 대상으로 밝은 조명(photopic)과 중등도(mesopic) 조명상태에서 대비도를 가지는 시력표(100% 및 10%)를 이용하여 시력검사를 하였고, wavefront 수차 분석기(KR-1W, Topcon, Japan)를 이용하여 각막의 비구면계수와 4mm와 6 mm의 동공크기에 따른 눈 전체의 고위수차와 각막의 고위수차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굴절교정 수술안과 정시안에서 대비도에 따른 시력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안구 수차(ocular aberrations)에서 전체 고위수차, 4차수차, 구면수차는 동공크기 6 mm상태에서 굴절교정 수술안에서 높게 나타났고, 두 그룹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45, p<0.001, p<0.001). 각막의 구면 수차(corneal spherical aberrations)는 동공크기 4 mm와 6 mm상태에서 모두 굴절교정 수술 안에서 더 높게 측정되었고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p<0.001). 각막의 전체고위수차와 4차수차는 동공크기 6 mm 상태에서만 굴절교정 수술안에서 더 크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01, p<0.001). 정시안의 비구면계수와 구면수차는 동공크기 4 mm와 6 mm 상태에서 안구 수차(r=0.442, p=0.004, r=0.519, p<0.001) 와 각막수차(r=0.358, p=0.023, r=0.646, p<0.001) 모두에서 유의한 상관성을 나타내었으나, 굴절교정 수술안에서는 상관성이 없었다. 결론: 각막굴절교정 수술안의 경우 시력은 정상수준을 나타내고 있으나 동공크기가 커지면 수차가 증가하여 동공이 커지는 야간에는 시력의 질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한국관박쥐 망막 원뿔세포의 조직화학적 분석 (Histochemical Analysis of the Cone cells in the Retina of the Greater Horseshoe Bat Rhinolophus ferrumequinum)

  • 전영기;주영락;예은아;김문숙;전창진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87-191
    • /
    • 2013
  • 목적: 한국관박쥐의 망막에서 원뿔세포의 middle/long(ML) opsin cone photoreceptors의 분포를 분석하여 박쥐의 시각계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방법: 표준면역세포화학법을 이용하여 성체 한국관박쥐의 망막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4 개체의 망막 전체에서 추정된 ML opsin은 $27,336{\pm}2,130$개였으며, 평균밀도는 $7,854{\pm}268cells/mm^2$이었다. S opsin은 외핵층에 위치한 세포외절에서 일부 면역반응성을 보였다. 결론: ML opsin의 조직화된 분포와 S opsin의 발현 결과는 한국관박쥐가 밝은 빛에도 반응하며 색을 구별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동적시력과 대비감도의 상관관계 (A Relationship between Kinetic Visual Acuity and Contrast Sensitivity)

  • 심문식;강혜숙;김상현;심현석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25-229
    • /
    • 2014
  • 목적: 동적시력(Kinetic visual acuity, KVA), 대비감도(Contrast sensitivity), 정지시력(정지시각 Static visual angle, SVA) 등의 상관관계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안경광학과 재학생 99명(남 51명, 여 48명)을 대상으로 Topcon CV-3000 포롭터를 이용하여 완전교정 후 명소시($100cd/m^2$)상태에서 Vector Vision CSV-1000E를 이용하여 2.5 m 거리에서 대비감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KVA 측정장치(KOWA AS-4A)을 이용하여 동적시력을 측정하였다. KVA 정도에 따라, 0.1~0.3 L그룹, 0.31~0.60 M그룹, 0.61 이상을 H그룹으로 분류하고 대비감도, 정지시각, 굴절이상량 등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KVA와 대비감도의 상관성은 3 cpd r=0.26, 6 cpd r = 0.48, 12 cpd r=0.38, 18 cpd r=0.47로 저주파수인 3 cpd를 제외하고, 모두 KVA와 SVA의 상관성 r = -0.37 보다 높았다. 주파수별 대비감도는 3, 6, 12, 18 cpd에서 각각 L그룹은 59.41, 92.22, 38.41, 14.39, M그룹은 66.03, 108.78, 53.51, 19.20, H그룹은 70.90, 146.10, 62.90, 25.33이였다. 결론: KVA와 대비감도의 상관성이 SVA보다 높으며, KVA가 높은 경우 저주파수 이외에서는 대체로 대비감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햄스터 망막에서의 광수용체 분포 (Populations of Rod and Cone Photoreceptors in the Hamster Retina)

  • 유성희;김현진;이경필;이은실;이제영;전창진
    • Applied Microscopy
    • /
    • 제39권4호
    • /
    • pp.291-299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햄스터 망막의 추상과 간상 광수용체의 양적 분석을 하였다. 추상 광수용체를 과산화 효소로 표지된 피넛 렉틴(peroxidase-labeled peanut lectin)을 사용하여 염색한 뒤 광학 미분간섭 현미경(DIC, differential interference contrast optics)을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또한 면역세포화학적 방법으로 추상 광수용체에 위치한 M/L-옵신과 S-옵신을 염색한 뒤 공초점 형광 현미경(confocal microscope)을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추상세포의 평균 밀도는 9,307 $cells/mm^2$이며 전체 추상세포는 293,060개였다. 추상세포의 최대값(12,857 $cells/mm^2$)은 맹점(시신경 유두, optic disk)로부터 코 쪽 망막(nasal retina)으로 0.3 mm 떨어진 곳에 위치하였다. 간상세포의 평균은 300,082 $cells/mm^2$으로 전체 간상세포는 9,448,150개였다. 간상세포의 최대값(340,000 $cells/mm^2$)은 맹점으로부터 등쪽 망막(dorsal retina) 방향으로 0.3 mm 떨어진 곳에서 발견되었다. 평균적으로 전체 광수용체 중, 간상세포의 전체 분포는 96.99%이고 추상세포는 3.01%를 차지하였다. 또한 간상과 추상의 평균 비는 32.24 : 1이었다. 햄스터의 추상세포는 M/L-와 S-옵신을 가진다. 본 연구 결과는 햄스터가 일부 명소시를 가지는 강한 간상 우세 망막임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