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onological errors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25초

The Korean Fricatives in Acquisition: A Case Study

  • Kang, Kyung-Shim
    • 음성과학
    • /
    • 제11권2호
    • /
    • pp.71-87
    • /
    • 2004
  • Korean has a pair of voiceless fricatives, whose laryngeal manifestation comes in parallel to stops and affricates with a three-way lexical contrast. Prior phonetic studies by Kagaya (1974), Iverson (1983), and Kang (1999, 2000) point out /s/ is associated with multiple characteristics of the larynx shared with not only the lax but also the aspirated series, whereas /s' / carries a laryngeal distinction typical of the tense consonants. The complex dual nature of /s/ is again supported by a psycholinguistic study by Kang (2004), as /s/ was found to interact with /$c^h$/ (17% of the time) as well as /c/ (57%) in speech errors. In addition, a recent work by Cho and Lee (2003) notes an interesting chain shift case in the acquisition of the fricatives. Although they observed a significant phonological pattern between child English and Korean, Cho and Lee's description of acquiring fricatives is far from being precise from the perspective of phonetics. From a longitudinal study of recorded tapes by two children at 1;7-3;8 and 1;7-2;1 respectively, I found that /s' / was usually substituted into tense noncontinuants in young children's early production as predicted, whereas /s/ having both lax and aspirated-like glottal properties revealed a complicated pattern of substitutions into lax, tense, and aspirated noncontinuants with a varying degree of preference relative to the subjects. The current acquisition study supports the previous claims concerning fricatives in other languages, showing that their acquisition comes after stops. Besides, it also notes that Korean fricatives are subject to a series of phonological processes called stopping, affricating, tensifying and palatalizing during the transitional period of phonological development by young children. Moreover, between the two voiceless types, /s/ was acquired earlier than /s'/ as the unmarked segment.

  • PDF

범주화 과제에서의 한글단어 빈도효과 (Hangul Word-Frequency in Semantic Categorization Task)

  • 조중열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1999년도 제11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351-358
    • /
    • 1999
  • 범주화과제를 사용한 두 실험에서 단어 빈도가 단어의 의미를 처리하는데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았다. 두 실험에서 사용된 자극은 두 글자의 한글이었는데, 실험 1에서는 사례와 목표자극은 두 번째 글자의 종성에서만 달랐고(예, 범주: 관직: 사례: 시장; 목표자극: 시작), 실험 2에서는 첫 번째 글자의 종성에서만 달랐다(예, 범주: 관직: 사례: 시장; 목표자극: 심장). 실험 1에서는 통제자극보다 저빈도 목표자극의 오반응이 더 많았고, 고빈도 사례의 반응시간이 더 길었다. 실험 2에서는 고빈도 사례-저빈도 목표자극 조건이 통제조건보다 반응시간이 더 길었다. 이 결과는 이중경로모형(Jared & Seidenberg, 1991)을 지지한다고 볼 수 있다. 이 결과들은 음운 정보와 시각 정보의 사용은 단어의 빈도에 의존하며, 특히 음운정보의 활성화는 필연적인 과정이 아니라 선택적인 것을 시사한다.

  • PDF

쓰기 장애 환자와 정상 초등학교 학생의 쓰기 특성 비교 (COMPARATIVE STUDY UPON THE CHARACTERISTICS OF WRITING BETWEEN THE PATIENTS WITH WRITING DISABILITIES AND NORM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조수철;신성웅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2권1호
    • /
    • pp.51-70
    • /
    • 2001
  • 쓰기 장애를 가진 아동과 정상 초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그들의 글씨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전체적으로는 쓰기 장애 아동의 글씨가 정상 아동보다 크고, 글자 사이의 간격은 넓은 대신 단어 사이의 간격은 좁았다. 글씨의 크기는 남녀 모두 그리고 학년에 관계없이 차이를 보이고 있었고, 나이가 듦에 따라 글씨의 크기는 점점 작아졌으며 특히 여자에 있어서는 쓰기 장애 아동(r=-0.16)보다 정상 아동(r=-0.45)에서 작아지는 속도가 빨랐다. 글자 사이의 간격은 남학생의 경우 초등학교 1, 2학년 때에는 글자 사이의 획의 침범으로 인해 쓰기 장애 아동이 정상 아동보다 간격이 더 좁았는데, 이런 차이는 초등학교 3, 4, 5학년 때에는 거의 없어지고, 초등학교 6학년에 이르면 글자 사이의 간격이 정상 아동보다 더 넓어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여학생의 경우에는 쓰기 장애 아동이 정상 아동보다 글자 사이의 간격이 초등학교 1학년부터 지속적으로 넓었다. 이런 차이는 쓰기 장애의 기전이 남자와 여자가 서로 다르다는 것을 시사해주는 소견이었다. 단어 사이의 간격은 남녀 모두 그리고 모든 학년에서 쓰기 장애 아동이 정상 아동보다 좁았는데, 이는 우리말의 경우 띄어쓰기 문제가 쓰기 장애에서 상당히 중요한 부분임을 짐작하게 하는 단서였다. 글자 사이의 간격이나 단어 사이의 간격은 나이가 들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여학생의 경우 쓰기 장애와 정상 아동에서 연령과 단어 사이의 간격 사이에 의미 있는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아서 대조를 이루었다.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글씨의 크기와 글자 사이의 간격 사이에 약한 상관관계를(r=0.11-0.15)보였으나 글자 사이의 간격과 단어사이의 간격은 서로 밀접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r=0.99). 음운적 오류는 대개 종성(받침)에서 관찰되었다 특히 겹받침(ㄳ, ㄵ, ㄶ, ㄺ, ㄻ, ㄼ, ㄾ, ㄿ, ㅀ, ㅄ)을 제대로 기억해내지 못하였고, 구개음화나 음운의 동화로 인해 음가(音價)가 변하는 경우에 오류를 보였다. 의미적 오류는 두 군에서 그다지 빈도가 높지 않았다. 띄어쓰기의 오류는 음운적 오류와 상관관계가 높았고, 대체적으로 여자보다 남자에서 많았다. 이상을 종합하여 볼 때, 쓰기 장애 아동과 정상 아동 사이에는 글씨의 크기, 글자 사이의 간격, 단어 사이의 간격, 음운적 오류, 띄어쓰기 오류 등에서 분명한 차이를 보였고, 나이에 따라 변화하는데 정상 아동과 쓰기 장애 아동은 서로 발달 속도에서 질적인 차이를 보였다. 남자와 여자의 글씨는 초등학교 2, 3학년부터 명백한 차이를 보이면서 쓰기 장애의 유형도 둘 사이에 차이가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정상 노인과 알츠하이머성 치매 환자의 자발화 산출에서의 언어적 특징 (Linguistic Features of Spontaneous Speech Production in Normal Aging, Alzheimer's Disease)

  • 김정완
    • 한국노년학
    • /
    • 제32권3호
    • /
    • pp.747-758
    • /
    • 2012
  • 본 연구는 임상 현장에서 정상 노인과 변별되는 알츠하이머성 치매 환자의 자발화 과제에서의 수행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방법은 65세 이상의 정상노인 13명과 알츠하이머성 치매 환자 26명(치매 의심(questionable) 9명, 경도(mild) 치매 9명, 중도(moderate) 치매 8명)을 대상으로 대화하기 및 연속그림 설명하기 과제를 실시하였고, 전체 발화 템포, 주저시간(초단위), 조음 음운 오류, 그리고 문법적 오류를 포함한 네 가지 구어적 요소에 대해 분석,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네 가지 요소 모두에서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특히, 전체 발화 템포는 정상노인과 세 치매 환자군 각각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주저시간은 중도 치매에서만, 그리고 조음 음운 오류는 경도, 중도 치매군에서만 증가되었다. 문법적 오류는 정상노인과 비교하여 치매의심군과 중도 치매군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상기 연구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정상노인과 세 치매 환자군을 가장 변별력있게 구분할 수 있는 구어적 요소는 전체 발화 템포이다. 둘째, 조음 음운능력은 치매의심군에서는 감소하지 않지만, 경도 및 중도치매군에서는 그 수행력이 떨어진다. 셋째, 문법적 오류는 중도 치매환자군에서부터 확연히 증가한다. 향후, 자발화 과제를 통해 의료기관 외의 장소에서도 치매 선별의 용이성을 더할 수 있으며, 담화 차원의 언어능력에 대한 관찰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원인질환을 가진 치매 환자들의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아랍어권 학습자들에 의한 프랑스어 발음 오류의 유형 분류와 개선 방안: Younes의 논문을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typology of errors in French's pronunciation by Arabs and proposition for the phonetic correction: Based on the Younes's research paper)

  • 정일영
    • 비교문화연구
    • /
    • 제27권
    • /
    • pp.7-29
    • /
    • 2012
  • This study was aimed to analyze - focusing on the thesis of Younes - the pronunciation error occuring mostly for Arabian speakers to learn French pronunciation for Arabians and to suggest the effective study plan to improve such errors and provide the effective studying method. The first part is on how the Arabic and French pronunciation system are distinguished, especially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ystem of graphemes and phonemes, with which we focused on the fact that Arabian is a language centralized on consonants, while French is a verb-centered language. In the second part, we mainly discussed the cause and the types of errors occurring when Arabic speakers study French pronunciation. As of the category of mistakes, we separated them into consonants and verbs. We assumed the possible method which can be used in learning, focusing on /b/, /v/, /p/, /b/ - in case of non-verbs and consonants - and /y/, /ø/, - in case of verbs - which don't exist in Arabic pronunciation system. One of the troubles the professors in Arabian culture have in teaching French to native learners is how to solve the problem on a phonetic basis regarding speaking and reading ability, which belong to verbal skill, among the critical factors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which are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skills. In fact, the problems occuring in learning foreign language are had by not only Arabian learners but also general groups of people who learn the foreign language, the pronunciation system of which is distinctly distinguished from their mother tongue. The important fact professors should recognize regarding study of pronunciation is that they should encourage the learners to reach the acceptable level in proper communication rather than push them to have the same ability as the native speakers, Even though it cannot be said that the methods suggested in this study have absolute influence in reducing errors when learning French pronunciation system, I hope it can be at least a small help.

학습자의 오류에 대한 교사의 오류 수정: 학습자 자기 교정 유도를 중심으로 (Teacher's corrective feedback: Focus on initiations to self-repair)

  • 김영은
    • 영어어문교육
    • /
    • 제13권1호
    • /
    • pp.111-131
    • /
    • 2007
  • This study explores teacher's corrective feedback types in an error treatment sequence in Korean EFL classroom setting. Corrective feedback moves are coded as explicit correction, recast, or initiations to self-repair. The frequency and distribution of each corrective feedback type are examined. But the special focus was given on feedback types eliciting learner's self-repair (clarification request, metalinguistic feedback, elicitation, and repetition of error) because initiations to self-repair are believed to facilitate language learning more than other strategi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n overwhelming tendency for teacher to use recasts whereas initiations to self-repair were not used as much as recast (52.4% vs. 29.5%). Second, the teacher tended to select feedback types in accordance with error types: namely, recasts after phonological, lexical, and translation errors and initiations to self-repair after grammatical errors though the differences were not significant. Finally, teacher's belief and students' expectation on corrective feedback were compared with actual corrective feedback representations respectively and some mismatches were found. Though both teacher and the students acknowledged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self-repair, self-repair were not put into practice as such.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more initiations to self-repair be used for effective language learning.

  • PDF

Non-word repetition may reveal different errors in naive listeners and second language learners

  • Holliday, Jeffrey J.;Hong, Minkyoung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2권1호
    • /
    • pp.1-9
    • /
    • 2020
  • The perceptual assimilation of a nonnative phonological contrast can change with linguistic experience, resulting in naïve listeners and novice second language (L2) learners potentially assimilating the members of a nonnative contrast to different native (L1) categories. While it has been shown that this sort of change can affect the discrimination of the nonnative contrast, it has not been tested whether such a change could have consequences for the production of the contrast. In this study, L1 speakers of Mandarin Chinese who were (1) naïve to Korean, (2) novice L2 learners, or (3) advanced L2 learners participated in a Korean non-word repetition task using word-initial sibilants. The initial CVs of their repetitions were then played to L1 Korean listeners who categorized the initial consonant. The naïve talkers were more likely to repeat an initial /sha/ as an affricate, whereas the L2 learners repeated it as a fricative, in line with how these listeners have been shown to assimilate Korean sibilants to Mandarin categories. This result suggests that errors in the production of new words presented auditorily to nonnative listeners may be driven by how they perceptually assimilate the nonnative sounds, emphasizing the need to better understand what drives changes in perceptual assimilation that accompany increased linguistic experience.

대학에서의 영어 말하기 오류수정 피드백과 학습자 반응: 교사와 학습자의 태도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corrective feedback and learner uptake in college EFL class: With a focus on teachers' and learners' attitude)

  • 김나연;이은주
    • 영어어문교육
    • /
    • 제15권4호
    • /
    • pp.237-264
    • /
    • 2009
  • The present study explores patterns of teachers' corrective feedback and learners' uptake in Korean EFL undergraduate classroom setting. It also examines consistencies and discrepancies in the perception of corrective feedback by teachers and learners. Teachers' and learners' preferences and perception of corrective feedback are further analyze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ose differ from actual practices in English language learning classroom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eachers' corrective feedback type varied according to the learners' error type and English proficiency level. There was a lack of consistency between the teachers' feedback practices and the learners' error types. Second, for the phonological errors, learners' data witnessed the most frequent uptake on recast. For the other error types, however, the learners' uptake rates were high for the explicit corrective feedback. Third, the teachers' explicit knowledge of corrective feedback was rather low and the preferences differed from teacher to teacher. The teachers' feedback perception and preferences did not consistently reflect their actual practices. Finally, patterns of the learners' expectations of corrective feedback varied according to learners' proficiency level. Teachers' and learners' expectations of corrective feedback were also compared and some mismatches were detected.

  • PDF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오류에 대한 음성 신호 파라미터들의 비교 연구 - 한국어의 /ㄹ/ 발음을 중심으로 (A Comparison Study on the Speech Signal Parameters for Chinese Leaners' Korean Pronunciation Errors - Focused on Korean /ㄹ/ Sound)

  • 이강희;유광복;임하영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239-246
    • /
    • 2017
  • 본 논문은 중국인 학습자들이 많은 오류를 나타내는 한국어 /ㄹ/발음을 중심으로 중국인 학습자들의 음성 신호 파라미터들을 한국인의 것과 비교하였다. 설측음 혹은 탄설음의 변이음으로 나타나는 한국어의 /ㄹ/ 발음에 대한 중국어의 유사 발음과의 관계를 언어학적 관점에서 알아봄으로 많은 오류를 보이는 이유를 확인해 보았다. 본 논문에서는 신호의 에너지, 시간 영역에서의 파형, 주파수 성분 분석이 가능한 스펙트로그램, 자기 상관 함수를 이용해 구한 피치 (F0), 포먼트 주파수 (f1, f2, f3, 그리고 f4) 등을 사용하여서 음성학적 측면에서 비교 분석 하였다. 본 논문에서 사용한 데이터는 국어학적 분석을 통한 제시어로 구성한 것을 사용하였고 이를 시뮬레이션 하였다. 에너지와 spectrogram 분석의 결과를 보면, 중국인 학습자는 한국어 /ㄹ/ 발음에서 한국인 화자들과 많은 차이를 보인다. 이외의 다른 음성 신호 파라미터들에서도 차이가 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이 비교한 파라미터들을 이용하여서 중국인 화자가 한국어 학습시 나타나는 오류들을 상당히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발달성 읽기 장애 진단을 위한 단어/비단어 읽기 검사와 글자기호감별검사의 표준화 연구 (STANDARDIZATION OF WORD/NONWORD READING TEST AND LETTER-SYMBOL DISCRIMINATION TASK FOR THE DIAGNOSIS OF DEVELOPMENTAL READING DISABILITY)

  • 조수철;이정범;정동선;신성웅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4권1호
    • /
    • pp.81-94
    • /
    • 2003
  • 목 적:발달성 읽기 장애는 정상적인 읽기 능력의 현저한 발달 저하나 지속적인 오류를 보이는 질환이며, 학령기 아동의 $3{\sim}7$%에서 관찰된다. 기존에 사용되는 기초학습기능검사의 단점을 보완하고 발달성 읽기 장애의 진단과 평가를 위해 단어/비단어 읽기 검사와 글자기호감별검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방 법:DSM-IV의 진단 기준과 임상적인 판단에 근거하여 읽기 장애 아동 63명(평균 연령 10.48세)과 정상 아동 77명(평균 연령 10.33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에게 기초학습기능검사의 읽기 I과 II목을 실시하였고, 단어/비단어 읽기 검사와 글자기호감별검사를 시행하였다. 단어/비단어 읽기 검사는 각 100문항씩의 익숙한 단어와 의미를 갖지 않는 생소한 비단어를 각각 1.2초와 2.4초안에 읽도록 하여, 이를 통해 자동화된 음운 처리 능력과 의식적인 글자-음소 처리 능력을 평가하였다. 글자기호감별검사를 통해 읽기 장애 환자들이 오류를 일으키는 거울상 반전 글자들의 조합을 판별하는 능력을 검사하였다. 이들 검사의 내적 일치도 등의 신뢰도 검사와 공존타당도, 구성타당도, 판별타당도 등을 검증하였다. 결 과:단어/비단어 읽기 검사는 내적 일치도가 0.96으로서 신뢰할 수 있고, 기초학습기능검사와 0.94의 공존타당도를 나타내었으며, 단어와 비단어 모두 발달성 읽기 장애와 정상 아동을 통계적으로 구분할 수 있었고, 판별 분석에서 원집단에 속한 83.0%를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었다. 글자기호감별검사는 내적 일치도가 0.86으로서 신뢰할 수 있고, 기초학습기능검사와 0.86의 공존타당도를 나타내었으며, 요인 분석 결과 안구 운동 거울상 처리, 전반적 정확성, 거울상 반전 오류, 정지상 처리, 전반적 기민성 부족, 부주의-충동성 등의 여섯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글자기호감별검사의 각 항목 별로 발달성 읽기 장애와 정상 아동을 통계적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판별분석에서 원집단에 속한 대상의 87.3%를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었다. 결 론:발달성 읽기 장애 아동은 읽기 과정의 자동적인 시각-의미 연결 기전과 의식적인 형태소-음소 상응 규칙 적용 능력 모두에서 장애를 보였으며, 거울상 반전 오류 등 시각적 정보 처리 기능의 장애도 나타내었다. 이들 장애는 단어/비단어 읽기 검사와 글자기호감별검사를 통해 신뢰할 수 있고 타당성 있게 구분하고 평가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