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loroglucinol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35초

토끼풀(Trifolium repens) 추출액이 잔디(Zoysia japonica)의 발아와 생장에 미치는 알레로파시 효과 (Allelopathic Effects of Extracts of Trifolium repens on the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Zoysia japonica)

  • 이지훈;김인택;이호준;김용옥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4권3호
    • /
    • pp.125-130
    • /
    • 2001
  • 본 연구는 토끼풀 추출액이 잔디의 발아와 생장에 미치는 allelopathy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토끼풀을 잎, 줄기, 뿌리, 꽃으로 나누어 추출한 후 실험한 잔디종자의 상대 발아율은 꽃, 잎, 줄기, 뿌리의 순으로 억제되었고 75% 이상의 농도에서는 전 실험구에서 발아가 되지 않았다. 파종후 5일, 8일, 11일, 14일의 신장율과 생중량을 조사해본 결과 고농도로 갈수록 억제되었고 길이생장에 있어서 지상부보다 지하부의 생장을 더욱 저해하였으며 상대생중량은 뿌리, 줄기, 잎, 꽃의 순으로 나타났다. 토끼풀 추출액 중 phenolic compounds를 Gas chromatography에 의해 성분분석 한 결과 부위별로 차이가 있었으나 caffeic acid, p-hydroxybenzoic acid, ferulic acid, gallic acid, p-coumaric acid, vanillic acid, trans-cinnamic acid, 2,5-dihydroxybenzoic acid, syringic acid, 2-hydroxycinnamic acid, benzoic acid, salicylic acid, phloroglucinol, phenylacetic acid 등 14종류의 성분을 확인하였고, 이들 중 phloroglucinol, vanillic acid, 2-hydroxycinnamic acid, syringic acid를 제외한 10종류를 공통으로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결과 동정된 14종류의 phenolic compounds에 의한 발아와 생장실험 결과 전체적으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고농도로 갈수록 심화되었고 benzoic acid, salicylic acid, trans -cinnamic acid에서 매우 강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PET 필름용 UV 경화 플로로글루시놀계 아크릴레이트 제조 및 물성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UV Curable Phlorogulcinol Based Acrylate for PET Film)

  • 최전모;이은영;김상용;조진구;김백진;이상협;김현중
    • 접착 및 계면
    • /
    • 제11권2호
    • /
    • pp.50-56
    • /
    • 2010
  • PET 필름은 핸드폰이나 디스플레이 패널, 노트북 등과 같은 산업전반에 걸쳐 널리 사용 된다. 최근 PET 필름 표면에 부착되는 ITO 표면은 높은 연필 경도와 높은 굴절도 등을 필요로 하기에 본 연구에서는 터치패널용 소자에 쓰이는 PET 필름의 코팅소재로 사용하기 위한 코팅소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폐 TNT로부터 추출한 플로로글루시놀(phloroglucinol)을 이용하여 아크릴과 에폭시 형태의 다관능성 모노머를 합성하였다. 다관능성 모노머는 $^1H$ NMR과 FT-IR을 이용하여 구조확인을 하였으며, 다관능성 모노머의 화학구조에 따른 광굴절도, 광투과도, 그리고 표면 경도를 평가하였다. 합성된 다관능성 모노머는 연필 경도 1~3 H의 높은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광굴절도는 1.54~1.57, 광투과도는 93% 이상을 나타내었다.

페놀물질을 첨가한 Linoleic Acid의 항산화 효과측정 (Antioxidative Effectiveness of Phenolics on Linoleic Acid With Phenolics)

  • 김정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47-153
    • /
    • 1993
  • Phenolics as antioxidant were added to linoleic acid to prevent lipid oxidation. Antioxidative effectiveness of them was measured by peroxie value at each 24hour interval in order to compare with 0.02% protocatechuic acid(PRL) and phloroglucinol(PHL) in linloleic acid, contrast tube at 37$^{\circ}C$for 96 hours blowing oxygen into specimen. Perocide values of oxidized linoleic acid, PRL, PHL for 96 hours were 78, 42, 30, From that the effect is more clearly demonstrated by NMR rather than UV and that the effect was dependent on the functional group and geometric molecular structure of phenolics.

  • PDF

고려삼의 페놀성 분획의 성분연구( I ) -유리 페놀성 분획의 GLC/MS분석- (Studies on the Chemical Components of Korean Ginseng (I)-GLC/MS Analysis of Free Phenolic Fraction-)

  • 김만욱;위재준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9권1호
    • /
    • pp.54-63
    • /
    • 1985
  • The free phenolic fraction from Korean white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was studied by GLC/MS as trimethylsilyl and methyl derivative. Five phenolic compounds such as 2,6-ditert butyl p-crestal, phloroglucinol, protocatechuic acid, isoferulic acid, quinic acid were identified newly. And additionally 13 organic acids and hydrocarbons were also identified in the fraction.

  • PDF

가자(Terminalia chebula Retz)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iveness of Terminalia chebula Rets Extracts)

  • 장성준;이기동;김정숙;윤형식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10권
    • /
    • pp.11-17
    • /
    • 1992
  • 탈지 가자박으로 부터 free, soluble 및 insoluble bound phenolic acids를 추출하여 식용대두유 기질에서 항산화효과률 0.02%(w/w)의 BHA, BHT의 항산화 효과와 비교하고자 각 기질과 대조구를 $60{\pm}1^{\circ}C$에서 35일간 저장하면서 매 7일 간격으로 과산화물가, TBA가를 측갱하였다. BHA, BHT와 free, soluble 및 insoluble hound phenolic acids를 첨가한 시험구와 대조구의 과산화물가는 21일의 경우 60, 30, 14, 11, 10, 100이었다. 같은 조건하에서 추출물의 TBA가는 0.150, 0.108, 0.105, 0.073, 0.078, 0.185이었다. 이것으로 보아 phenolic acids는 식용대두유 기질에서 우수한 항산화력을 나타내었다. 분리확인된 phenolic acids는 p-coumaric acid, ferulic acid, phloroglucinol, pyrogallol, vanillic acid, caffeic acid으로 확인되었다.

  • PDF

Quinone Reductase Induction Activity of Phlorotannins Derived from Eisenia bicyclis in Hepa1c1c7 Cells

  • Yoon, Na Young;Lee, Sang-Hoon;Shim, Kil Bo;Lim, Chi-Won;Lee, Moon-Hee;Cho, Hyun-Ah;Xie, Chengliang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6권1호
    • /
    • pp.1-5
    • /
    • 2013
  • To assess the feasibility of phlorotannins from Eisenia bicyclis as cancer chemopreventative agents, we tested whether they induced quinone reductase (QR) in Hepa1c1c7 cells. The ethyl acetate (EtOAc) soluble fraction obtained from E. bicyclis exhibited a QR induction activity in Hepa1c1c7 cells. Successive column chromatography of the active EtOAc fraction resulted in the isolation of four phlorotannins. Their structures were elucidated using one- and two-dimensional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ic techniques and characterized as phloroglucinol (1), dioxinodehydroeckol (2), dieckol (3), and fucofuroeckol-A (4). Among these compounds, fucofuroeckol-A (4) showed moderate QR induction activity, and dioxinodehydroeckol (2) exhibited potent QR induction potency with $2.05{\pm}0.04$ fold induction at a concentration of $50{\mu}M$ compared to the dimethyl sulfoxide solvent-treated control cells. However, phloroglucinol (1) and dieckol (3) exerted no detectable QR induction activity in Hepa1c1c7 cel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dioxinodehydroeckol could serve as a useful cancer chemopreventive chemical.

수소결합에 의한 자기조립된 원반형 액정의 제조와 특성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Self-Assembled Discotic Liquid Crystals Formed by Hydrogen Bonding)

  • 이준협
    • 접착 및 계면
    • /
    • 제15권4호
    • /
    • pp.161-168
    • /
    • 2014
  • 페놀과 피리딘 간의 단일 수소결합을 이용하여 새로운 형태의 자기 집합된 원반형 액정을 제조하고 그 액정 특성을 조사하였다. 원반형 구조 설계를 위해 phloroglucinol을 중심부 분자로, 체계적으로 알킬사슬 길이를 변화시킨 trans-4-alkoxy-4'-stilbazole을 주변 물질로 사용하였다. 적외선 분광 분석을 통해 중심부 분자와 주변 물질 사이의 분자간 수소결합이 성공적으로 형성됨을 확인하였고, 또한 수소결합의 안정성이 분자 정렬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음을 확인하였다. 자기 집합된 원반형 액정 복합체는 원반형 메소겐 주위의 알킬 사슬 길이에 따라 다른 액정상들을 나타내었다. 긴 알킬사슬을 함유하는 액정 복합체의 경우 육방형 컬럼상이 나타났으며, 상대적으로 짧은 사슬을 갖는 다른 액정 복합체에서는 네마틱 컬럼상이 형성되었다. 이는 자기 집합된 원반형 액정 복합체의 액정상 구조가 원반형 핵 단위 주변의 알킬사슬 길이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음을 의미하였다.

은행잎에 함유된 생리활성물질의 동정 (Identification of B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from Ginkgo biloba L.)

  • 남상진;김길웅;신동현;황선주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21-430
    • /
    • 1997
  • 채취시기(採取時期)를 달리한 초록과 노란은행잎으로부터의 수용추출물(水溶抽出物)에 대한 벼, 피, 바랭이 및 상추의 제초활성검정(除草活性檢定)과 지방산(脂肪酸) 성분(成分)과 페놀성 물질(物質)을 분리(分離) 동정(同定)하여 얻어진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은행잎 수용(水溶) 추출물(抽出物)은 벼, 피, 바랭이, 상추의 발아(發芽)와 생육(生育)을 크게 억제(抑制)시켰으며, 특히 20% 수용추출액(水溶抽出液)인 경우는 억제효과(抑制效果)가 뛰어났다. 초록과 노란은행잎 수요 추출물간의 생리활성정도는 별 차이가 없었다. 2. 은행잎의 지방산(脂肪酸)을 검정(檢定)한 결과(結果), 지방산(脂肪酸)이 검정(檢定)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Linolenic acid, Palmitic acid가 많이 포함(包含)되어 있었다. 또한 계절에 따라 은행잎에 함유(含有)된 지방산(脂肪酸)의 함량(含量)이 다소 변화(變化)함을 알 수 있었다. 3. GLC로 phenolic acids를 동정(同定)한 결과(結果), 모든 fraction에서 Salicylic acid의 높은 비율(比率)을 관찰(觀察)할 수 있었으며, 또한 p-coumaric acid, phloroglucinol 등도 검정(檢定)되었다.

  • PDF

Efficient Micropropagation of Pear Germplasm Using Soot Tips and Nodal Explants

  • Yi, JungYoon;Lee, GiAn;Chung, JongWook;Lee, YoungYi;Gwag, JaeGyun;Lee, SeokYoung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690-696
    • /
    • 2015
  • We micropropagated pear (Pyrus species) using shoot tips and nodal explants from three pear genotypes. The ability to establish shoot tip cultures, proliferate shoots, induce rooting, and acclimatize the resulting plantlets are all elements of in vitro micropropagation. Shoots were induced from shoot tips on Murashige and Skoog medium (MS) with five different plant growth regulator combinations. The highest shoot formation rates were achieved for the three genotypes using MS supplemented with 1.0 mg/L N6-benzyladenine (BA) and 0.1 mg/L gibberellic acid (GA3). The maximum shoot number and shoot length for the three cultivars were recorded with 2.0 mg/L BA and 0.2 mg/L indole-3-butyric acid (IBA) in multiplication medium using nodal explants produced from microshoots. Nodal explants with one or two axillary buds cultured for three weeks initiated roots on medium supplemen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1-naphthaleneacetic acid (NAA) or/and IBA in half-strength MS medium for adventitious rooting. The highest rooting response was with the combination of 0.2 mg/L NAA and 0.2 mg/L IBA. A combination of NAA and IBA resulted in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rooting ratio over NAA or IBA alone. In this medium, the root formation rate according to ranged from 68.9% for the BaeYun No. 3 genotype to 51.8% for the Hwanggeum genotype. We also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the concentration the polyamine phloroglucinol in rooting medium. For all three genotypes, the highest rooting ratio, longest root length, and greatest root number were observed in the treatments with 75-150 mg/L phloroglucinol. Most rooted plants were acclimatized successful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