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enylacetaldehyde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9초

Styrene Oxide에서 2-Phenylethanol(PEA)를 생성하는 Pseudomonas putida Strain 2150-2의 분리 및 동정

  • 양인영;황순옥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55-159
    • /
    • 1996
  • The strain which produces 2-phenylethanol (PEA) from styrene oxide was isolated from soil samples near Ulsan PO/SM plant. The isolated strain was identified as Pseudomonas putida through its morphological,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NA G+C contents. Its metabolic pathway from styrene oxide to 2-phenylethanol was studied and it was found that styrene oxide was transformed to phenylacetaldehyde, to 2phenylethanol (PEA), and then to phenylacetic acid by this strain.

  • PDF

국내산 반발효차의 향기성분 (Volatile Aroma Components of Korean Semi-fermented Teas)

  • 최성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529-533
    • /
    • 2001
  • 사찰을 중심으로 극히 일부 제조되고 있는 반발효차를 시료로 하여 기호면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향기성분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우리 입맛에 맞는 다양한 제품개발을 하여 상품화하는데 그 기초 자료로 삼고자 하였다. 시료로는 수확시기 및 장소가 다르고 제조방법이 약간 다른 3종의 반발효차와 비교시료로서 1종의 녹차를 이용하였다. 휘발성 향기성분의 추출에는 Likens and Nickerson형 동시증류추출장치를 사용하였고 분리 및 동정에는 GC 및 GC-MSD를 사용하였다. 국내산 찻잎으로 만든 반발효차의 경우 수확시기가 아주 늦지 않고 솥에서 건조한 시료1(S1)과 시료3(S3)의 경우 특히 관능적으로도 향미나 색택이 매우 우수하였다. 반발효차의 향기성분으로는 총 47종의 화합물이 동정되었다. 공통적으로 동정된 주요 화합물은 3-methylbutanal, 2-methylbutanal, (E)-2-hexenal, phenylacetaldehyde, 2-phenyl ethanol, geraniol, ${\beta}-ionone$ 및 nerolidol 등이었다. 녹차와 비교하면 특히 phenylacetaldehyde, 2-methylbutanal등의 함량이 많은 것이 특징이었다. 향기성분의 조성으로 볼 때 3 종류와 시료 모두 비교적 우수한 편이었다. 반발효차는 녹차에 비해 수확시기가 늦은 찻잎을 이용해도 좋으며 보관기간이 녹차보다 긴 장점을 살려 다양하게 상품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되어진다.

  • PDF

Could Organic Solvents Be Used for the Alteration of Flux of Hydrophobic Intermediates through a Metabolic Pathway in Microorganisms\ulcorner

  • Zucchi, Gioia;Khan, Jeffrey-A.;Vulfson, Evgeny-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8권6호
    • /
    • pp.719-722
    • /
    • 1998
  • The addition of decane to biotransfonnation media containing Yarrowia lipolytica led to the accumulation of intennediate L-phenylacetaldehyde and L-phenethyl acetate during bioconversion of L-phenylalanine, whilst none of these products were obtained in conventional aqueous fennentations. The results obtained support an earlier hypothesis (Spinnler et al. 1996. Proc. Natl. A cad. Sci. USA 93: 3373-3376) that organic solvents, acting as "thermodynamic traps" for hydrophobic intermediates, can substantially alter metabolic fluxes.

  • PDF

산지가 다른 상황버섯의 휘발성성분 (Volatile Components of Phellinus linteus from Different Areas)

  • 장은영;임성임;정영기;최성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59-164
    • /
    • 2006
  • 산지가 다른 세 종류의 상황버섯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동시증류추출법에 의해 추출하고 GC 및 GC-MS를 이용하여 분리한 후 분석 동정하였다. 검출된 화합물 중 총 82성분을 동정 또는 추정하였으며, 관능기별로 알코올류, 알데히드류, 케톤류 및 탄호수소류 등이 검출되었다. 식용버섯에서는 보고되지 않았던 2-methylphenol, methoxy benzene, coumaran, azulene, ${\alpha}-cedrene,\;{\alpha}-longipinene,\;{\beta}-selinene,\;{\alpha}-selinene$, camphor, ${\gamma}-ionone,\;{\beta}-ionone$, phytol, borneol등 탄화수소류, 케톤류 및 알코올류의 화합물이 상황버섯에서 처음으로 검출되었다. 부산진성 상황버섯은 클로로필 유래의 Phytol과 곰팡이 냄새의 특징을 갖는 methoxy benzene이, 진주금황 상황버섯은 꽃냄새에 기여하는 phenylacetaldehyde가 많은 양 검출되었다. 반면, 제주귤림 상황버섯은 methoxy benzene 류는 소량 검출되었으나, phenylacetaldehyde는 많은 양이 검출되었다. 함류량이 세 종류의 상황버섯에서 양적인 차이는 있었지만 ${\gamma}-ionone$${\beta}-ionone$이 소량 동정되었으며, 이는 carotenoid의 분해물로 생성되는 것으로 상황버섯이 carotenoid계의 색소를 함유하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고온반응기로 제조한 구운 불고기 반응향의 향미특성 (Aroma Characterization of Roasted Bulgogi Reaction Flavor Manufactured by a High-temperature Reaction Apparatus)

  • 서원호;김영권;장성호;백형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76-183
    • /
    • 2015
  • 고온반응기로 제조한 구운 불고기 반응향의 향미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휘발성 성분 및 향 활성 화합물을 동정하고 반응온도에 따른 향 활성 화합물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증기증류 및 용매 동시추출법(SDE)을 이용하여 휘발성 향기성분을 추출하고,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olfactometry (GC-MS-O)를 통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고온반응기로 제조한 구운 불고기 반응향에서는 105종의 휘발성 성분이 동정되었으며, 이 중 furfural이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5-methyl furfural, phenylacetaldehyde 및 nonanal 등이 구운 불고기 반응향에 중요한 휘발성 성분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GC-MS-O를 통해 향 활성 성분을 분석한 결과 33종이 동정되었으며, 2,3-butanedione과 furfural 이 중요한 향 활성 화합물로 밝혀졌다. Hexanal, octanal, nonanal, undecanal, phenylacetaldehyde, 5-methyl furfural, 2,6-dimethyl pyrazine 및 dimethyl trisulfide도 구운 불고기 반응향의 향미특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향 활성 성분으로 확인되었다. 반응온도에 따른 향 활성성분을 비교분석한 결과, 반응온도가 증가할수록 향 활성 성분도 증가하였으나, sulfide 화합물은 반응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감압저장 중 토마토과실의 향기성분의 변화 (Changes of Flavor Component in Tomato Fruits during Subatmospheric Pressure Storage)

  • 손태화;천성호;최상원;문광덕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1권3호
    • /
    • pp.298-307
    • /
    • 1988
  • 토마토 과실의 저장 중 향기물질은 호흡 Climaceteric peak 시기와 함께 그 종류가 증가하였고 SAP-L이 NAP-N보다 향기성분 함량의 증가폭이 완만하였다. 향기성분 중 함량이 많은, 2-hexanone, n-propanol, n-pentanol 및 ethanol은 저장초기에 감소한 후 증가하였고, n-octanol과 furfural은 저장 전반에 걸쳐 증가한 반면 n-butanol, cyclohexanone 및 phenylacetaldehyde 등은 감소하였으며 trans, trans-2,4-decadienal, bensyl alcohol 및 2-heptanone 등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

  • PDF

버어리종 잎담배의 건조조건이 정유성분 조성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Curing Conditions on the Composition of Essential Oil of Burley Tobacco Leaves)

  • 배성국;김도연;이윤환;김영회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75-81
    • /
    • 2002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uring conditions on the composition of essential oil during curing process of burley tobacco leaves. The curing conditions were the primed curing in vinyl house (house-curing), air-curing barn (air-curing) and stalk-curing in conventional curing house (stalk-curing). Total 90 compounds are identified from the steam volatile oils of harvest and cured tobacco leaves by GC and GC-MS, respectively. The major components were neophytadiene, hexadecanoic acid, 3,8,13-duvatriene-1,5-diols, oxide-9-methylene-3,13-duvadienols, solanone, megastigma-4,6,8-trien-3-ones, phenylacetaldehyde, $\beta$-phenylethyl alcohol, indole, dihydroactinidiolide and phytol. The amount of alcoholic compounds was decreased more than approximately 50% in cured leaves without regard to the curing conditions. $\beta$-Phenylethyl alcohol and 3,8,13-duvatriene-1,5-diols were decreased more in air curing and stalk curing than in house curing. The amounts of phenylacetaldehyde, solanone, $\beta$-damascone, $\beta$ -damascenone, oxysolanone and megastigma-4,6,8-trien-3-ones as ketonic compounds, dihydroactinidiolide and indole as miscellaneous compounds in air-cured and stalk-cured tobacco leaves were 2 times higher than those in house-cured leaves, while esteric and acidic compounds were not changed largely in content by curing conditions.

Saccharomyces bayanus에 의한 Glucose 용액의 발효중 생성된 휘발성 성분과 저장중 이 성분들의 분석 1. 중성분획 (Analysis of Volatile Compounds, Produced in a Glucose Solution Fermented by Saccharomyces bayanus, during Fermentation and Conservation of Fermented Solution 1. Neutral Fraction)

  • 정숙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956-963
    • /
    • 1995
  • Yeast-Carbon-Base배지로 조성된 glucose용액을 Saccharomyces bananus로 pH 3.5 $25^{\circ}C$, 400rpm, 그리고 발효 초기 24시간 동안만 35L/h로 통기시키면서 64시간만에 alcohol 발효를 완료시켜, 발효 중 생성된 휘발성 성분과 이들 발효액을 여러 조건에서 숙성($25^{\circ}C$에서 6주, $13^{\circ}C$에서 12주, $35^{\circ}C$에서 24시간)시켰을 때 휘발성 성분의 변화를 GC-MS로 분석하였다. 20개의 ester, 14개의 alcohol, 5개의 aldehyde, 5개의 ketone, 5개의 lactone, 2개의 함황성분과 1개의 hydrocarbon이 발효중 생성되었다. Ethyl 2-hydroxy-4-methyl pentanoate, ethyl succinate, nonanol과 phenylacetaldehyde 등이 발효액의 저장 중 새로이 생성되었다. Ester는 일반적으로 저장 중 증가되었고, $13^{\circ}C$에서 12주간 저장된 시료에서 가장 크게 증가되어 본 실험에서 분석된 22개의 ester 중 17개가 증가하였다. $35^{\circ}C$에서 24시간 저장된 시료에서는 13개의 증가된 ester 중 ethyl 9-hexadecenoate의 증가가 가장 현저하였다. Aldehyde는 $35^{\circ}C$ 저장에서 크게 증가 되었으나 $13^{\circ}C$ 저장에서는 감소되었다. Isobutanal, benzaldehyde와 phenylaceraldehyde는 $35^{\circ}C$ 저장에서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Alcohol과 lactone은 저장 중 감소되고 ketone은 증가되었다.

  • PDF

토마토에서 방산된 휘발성 물질의 알레로파시 효과 (Allelopathic Effects of Volatile Substances Emitted by Lycopersicon esculentum)

  • 김영식;길봉섭;이은복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1권2호
    • /
    • pp.151-156
    • /
    • 1998
  • the phytotoxic effects of volatile substances emitted from the tomato plant (Lycopersicon esculentum) on receptor plants such as Bidens bipinnata, Plantago asiatica, Lactuca sativa, Eragrositis ferruginea and Achyranthes japonica were investigated. Bolatile substances from the leaves inhibited seedling growth of receptor plants in the laboratory tests. The inhibition response varied with the concentration of compounds. To identify the phytotoxic compounds from tomato plant a GC/MS method was employed. Forth compounds, such as trans-2-hexeal, linalool, phenylacetaldehyde, methlsalicylic acid and tetradecanaic acid were identified from the essential oil of tomato plants.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tomato plant may have allelopathic potentia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