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enolics contents

검색결과 290건 처리시간 0.024초

포공영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기능적 생리활성 (Functional Biological Activity of Hot 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Taraxaci Herba)

  • 임애경;김정옥;정미정;정희경;홍주헌;김대익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10호
    • /
    • pp.1231-1237
    • /
    • 2008
  • 포공영의 총 페놀함량에서는 열수 추출물 7.80$\pm$0.97 mg/g, 에탄올 추출물 9.12$\pm$0.51 mg/g으로 나타났다. 플라보노이드함량은 열수 추출물 54.20$\pm$1.95 mg/g, 에탄올 추출물 79.43$\pm$4.44 mg/g으로 항산화 활성에 관련된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화합물들이 에탄올 추출물에 많이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자공여능에 있어서도 포공영 에탄올 추출물이 열수 추출물 $IC_{50}$값에 비해 3배 정도의 뛰어난 활성을 보였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모든 pH 조건하에서 에탄올 추출물이 열수 추출물보다 높은 아질산염 소거능을 나타내었으며, pH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SOD 유사활성을 측정한 결과 열수 추출물에서는 18.34$\sim$37.26 $\mu$g/mL,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16.60$\sim$49.03 $\mu$g/mL의 범위로 분석되었으며, 농도에 따른 유의적 증가현상을 나타내었다. Tyrosinase 및 elastase 저해활성은 모든 추출물에서 대조구에 비해 다소 약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포공영 추출물은 뛰어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나 기능성 식품 및 화장품 소재로 개발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여주 피클 숙성 중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활성 변화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Bitter Melon (Momordica charantia L.) Pickle during Ageing)

  • 이희율;박경숙;주옥수;황정은;안민주;정영심;홍수영;권오경;강상수;육흥주;김행란;박동식;조계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401-411
    • /
    • 2015
  • 여주는 항당뇨, 항암, 항염증, 항바이러스 및 항산화 활성의 다양한 생리적 효능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쓴맛으로 인해 여주를 이용한 식품 개발은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여주를 이용하여 피클을 제조하고 숙성 기간 중 품질 특성과 항산화 활성을 살펴보았다. 숙성 4주 후에 피클의 pH, 염도, 가형성 고형분 및 환원당은 감소하였고 산도는 증가하였다. 한편 총 균수, 젖산균수 및 효모균수는 1주까지 빠르게 증가하다가 이후에는 약간 감소하였다. 여주 피클 숙성 중 수용성 phenolics는 증가하였고 이에 상응하여 항산화 활성도 증가하였다. 또한 여주 피클의 조단백질, 칼륨 및 인 함량은 여주 원료보다는 낮았으나 조지방 및 소금 함량은 높았다. 여주 피클 숙성 중 쓴맛과 향의 개선을 위하여 옥수수수염 추출물을 첨가하였는데 0.25% 옥수수수염 추출물 여주 피클이 관능적으로 가장 우수하였다.

Investigation on Antibacter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of Some Thai Edible Plants as an Alternative for Antibiotics

  • Lee, J.H.;Cho, S.;Paik, H.D.;Choi, C.W.;Nam, K.T.;Hwang, S.G.;Kim, Soo-K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7권10호
    • /
    • pp.1461-1468
    • /
    • 2014
  • This study was aimed to examine the antibacterial and antioxidative properties of seven edible plants from Thailand to develop alternative antibiotics as feed additives. The plants include Citrus aurantifolia Swingle (Lime) fruits and its leaves, Sesbania grandiflora L. (Agati sesbania) leaves, Piper sarmentosum Roxb (Wild betal) leaves, Curcuma domestica Valeton (Turmeric) roots, Morinda citrifolia L. (Beach mulberry) leaves, Cassia siamea britt (Siamea cassia) leaves, and Cocos nucifera L. (Coconut) peels. The plants were extracted by methanol, n-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 and water. Antibacterial activities with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were determined by agar diffusion assay against Escherichia coli, Burkholderia sp., Haemopilus somnus, Haemopilus parasuis, and Clostridium perfringens that were considered pathogenic strains in livestock infection. Methanol extracts of C. aurantifolia Swingle fruits and leaves showed the broadest spectrum of antibacterial activities except for C. perfringens. Butanol extract of S. grandiflora L. leaves showed the strongest activity against Burkholderia sp. with MIC, $135{\mu}g/mL$. P. sarmentosum Roxb leaves showed antibacterial activities against E. coli, Burkholderia sp. and H. parasuis. Ethyl acetate and water extracts from C. domesitca Valeton roots showed MIC of $306{\mu}g/mL$ and $183{\mu}g/mL$, respectively against only C. perfringens. Antioxidative activity was determined by 2-diphenyl-2-picryl hydrazyl photometric assay. The methanol extracts of C. aurantifolia Swingle fruits and P. sarmentosum Roxb leaves showed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among all the extracts with 3.46 mg/mL and 2.70 mg/mL effective concentration 50% ($EC_{50}$) values, respectively. Total contents of phenolics and flavonoids were measured from the plant extracts. Methanol extracts of S. grandiflora L. and chloroform extracts of C. domestica Valeton were found to have the highest amount of total phenolics, 41.7 and $47.8{\mu}g/mL$, respectively. Flavonoid content of methanol extracts in S. grandiflora L. T was $22.5{\mu}g/mL$ and the highest among plant extracts tested.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C. aurantifolia Swingle, S. grandiflora L., P. sarmentosum Roxb, and C. domestica Valeton have antibacter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and can be used as alternative antibiotics or potential feed additives for the control of animal pathogenic bacteria.

제주 동백나무 겨우살이의 용매별 기능성 성분 및 항산화 작용 (Bioactive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Jeju Camellia Mistletoe (Korthalsella japonica Engl.))

  • 강다희;박은미;김지혜;양정우;김정현;김민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9호
    • /
    • pp.1074-1081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제주에서 자생하는 동백나무 겨우살이의 용매별 기능성 성분 및 항산화 활성에 대한 평가를 시행하였다.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분석한 결과 모두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높은 함량을 보였다. DPPH, hydrogen peroxide 소거능, ferrous ion chelating, 환원력을 통해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고 이를 EC50 및 EC0.5로 나타낸 결과 모든 실험에서 70% 에탄올을 용매로 사용한 겨우살이 추출물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상기의 결과를 통하여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항산화 활성간의 깊은 관련성을 예상해볼 수 있었고 이를 상관관계를 통해 분석해 본 결과,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항산화 활성이 0.01 및 0.05 수준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잠재적 항산화제로서의 제주산 동백 겨우살이의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어 향후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자색고구마-쌀누룩으로 제조된 막걸리 발효 중 품질 특성과 항산화 효과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Effects during Makgeolli Fermentation by Purple Sweet Potato-rice Nuruk)

  • 조현국;이주영;서원택;김명규;조계만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728-735
    • /
    • 2012
  • 막걸리는 한국 전통주로 쌀로부터 알코올 함량 6-8%로 발효시킨 술이다. 누룩은 분쇄된 밀 혹은 쌀에 물을 가하고 성형하여 자연의 미생물로 번식시킨 발효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이 밝혀져 있는 자색고구마를 첨가하여 쌀누룩을 제조하고 이 누룩을 이용하여 막걸리를 제조하였다. 자색고구마-쌀누룩(PSP-RN)은 PSP를 0-10%로 쌀에 첨가하여 제조하였고 막걸리 발효 과정 중 품질 특성과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막걸리 발효 중 pH는 발효 초기 각각 4.27(0% PSP-RN), 4.59(2.5%), 4.50(5.0%), 4.46(7.5%) 및 4.43(10.0%)에서 발효 종기 4.12, 3.82, 3.67, 3.71 및 3.66로 감소하였다. 당도는 발효 초기 $0.4^{\circ}Bx$에서 $8.0-8.4^{\circ}Bx$로 증가하였고 알코올 함량은 발효 종기 13.0%(0% PSP-RN), 13.2% (2.5%) 및 12.8%(5.0-10.0%)로 증가하였다. 한편, 수용성 anthocyanin과 phenolics 함량은 발효 초기 각각 0.001-0.121 g/L와 0.2-0.27 g/L에서 발효 종기 0.002-0.166 g/L와 1.65-1.87 g/L로 증가하였고 이에 상응하여 항산화 활성은 20-50% 증가하였다.

유기 및 관행재배 고추의 품질특성 비교 (Comparison of the Quality of Hot Pepper(Capsicum annuum L.) Grown under Organic and Conventional Conditions)

  • 이유석;문제학;오봉윤;남승희;이선경;이진우;정경주;강정화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645-65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우리 식생활과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는 고추(청고추, 홍고추)를 유기 및 관행으로 재배하여 품질특성과 기능성성분 함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유기 및 관행재배 고추의 품질특성은 pH, 가용성고형물 함량, 경도 및 색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유기 및 관행재배 고추의 가용성고형물이 유기재배에서 2.6~10%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경도는 관행재배에서 높게 나타났다. 기능성 성분은 클로로필 함량, ASTA 값, 총페놀성화합물 함량 및 SEM을 통한 세포조직을 검토하여 비교분석 하였다. 청고추의 경우 유기재배에서 관행재배에 비해 녹색도(-a value)값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chlorophyll 함량 또한 a, b, total 값이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홍고추의 경우 유기재배에서 붉은색의 정도를 나타내는 ASTA 값이 28%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항산화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총페놀성화합물 함량은 청고추와 홍고추에서 모두 유기재배가 관행재배 보다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고추 유기재배의 경우 고추 색깔에 관계없이 품질특성 측면에서 색택이 더 우수하고 기능성 측면에서 또한 더 우수한 것으로 사료된다.

종피색이 다른 벼 품종의 영과 쌀겨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암활성 변이 (Variation of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Hull and Bran Extracts in Different Colored Rices)

  • 신소희;정남진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297-303
    • /
    • 2011
  • 종피색이 다른 세 품종을 이용하여 총페놀함량, 항산화활성 및 항암활성의 변이를 조사하였다. 총페놀함량은 흑진주벼의 쌀겨와 영이 적진주벼와 일품벼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흑진주에서는 쌀겨가 영보다 함량이 높았으나 다른 두 품종은 영이 쌀겨보다 함량이 높았다. DPPH 자유기 소거능은 흑진주와 적진주의 활성이 일품벼 보다 높았으며, 쌀겨 추출물이 영 추출물보다 훨씬 높은 활성을 보였다. 환원력은 흑진주의 쌀겨 추출물이 다른 품종의 쌀겨 추출물보다 3~16배의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적진주와 일품에서는 영 추출물의 활성이 쌀겨 추출물보다 높았다.$ABTS^+$ 라디컬 소거능은 일품벼의 영 추출물이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세 품종에서 모두 영 추출물이 쌀겨 추출물 보다 높은 활성을 보였다. HepG2 cell에 대한 항암활성 검정 결과, 쌀겨 추출물보다 영 추출물의 항암활성이 평균적으로 20% 정도 높게 나타났으며, 적진주벼와 일품벼의 영 추출물은 92% 정도의 유사한 활성을 보였고, 흑진주벼는 30.4%의 낮은 활성을 보였다. 벼 영 추출물의 항암활성은 총페놀함량, PDDH 자유기 소거능, 그리고 환원력과 유의한 정의 상관을 보였으나 쌀겨 추출물은 페놀함량이나 항산화 활성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벼의 쌀겨와 왕겨는 강력한 항산화 및 항암 활성을 보였으며, 종피색이 다른 3가지 벼 품종에서 총페놀함량, 항산화 활성, 그리고 항암활성의 변이를 나타내었다.

대추 열매와 잎의 영양성분 및 항산화 활성 (Nutritional Component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Jujube (Zizyphus jujuba) Fruit and Leaf)

  • 김일훈;정창호;박수정;심기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41-348
    • /
    • 2011
  • 대추 열매와 잎을 기능성 식품 재료로 이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화학성분 및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열매와 잎의 가용성 무질소물의 함량은 각각 71.92% 및 41.51%로 나타났으며, 열매와 잎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무기성분으로는 Ca(72.14 and 3,252.09 mg/100 g), K(899.82 and 1,708.12 mg/100 g) 및 P(172.11 and 286.28 mg/100 g).이었다. 열매의 주요 유리당은 glucose(13.01%)와 fructose(7.35%)였으며, 잎에서는 sucrose(3.94%)와 fructose(0.75%)였고, 비타민 C 함량은 열매(135.73 mg/100 g)가 잎(100.43 mg/100 g)보다 높았다. Glutamic acid, aspartic acid, proline과 필수아미노산 중에서는 leucine이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methionine과 cystine은 낮은 함량을 보였다. 대추 열매와 잎의 용매 분획물을 이용하여 ABTS 라디칼 소거활성, 환원력 및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을 조사한 결과 농도 의존적인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잎 부탄올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는데, 이는 rutin과 quercitrin과 같은 페놀성 화합물과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대추 잎의 페놀성 화합물은 효과적이면서도 안전성이 입증된 천연항산화제와 같은 기능성 식품 재료로 활용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조건불리지역 재배를 위한 산화스트레스 내성 고구마 품종의 선발 (Selection of oxidative stress-tolerant sweetpotato cultivars for cultivation on marginal lands)

  • 김윤희;박성철;양경실;주지린;자오동란;마다이푸;정재철;이행순;곽상수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6권3호
    • /
    • pp.219-223
    • /
    • 2009
  • Oxidative stress derived from excess reactive oxygen species (ROS) is a major damaging factor for plants exposed to environmental stresses. Sweetpotato [Ipomoea batatas (L.) Lam] has a relatively broad adaptability to harsh environmental conditions compared to other staple crops. In this study, to select stress-tolerant sweetpotato cultivars for sources of molecular breeding on marginal lands, we evaluated the ion leakage values in 10 different cultivars after treatment of methyl viologen (MV), an ROS-generating nonselective herbicide, to leaf discs.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the contents of total phenolics were also investigated. The ion leakage of each cultivar showed a diverse value, which is well correlated with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each cultivar.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lso showed a high corelation with the contents of total phenolic contents. Three cultivars of Yanshu 8, Shinhwangmi and Shinzami showed high antioxidant activity. Our results suggest that a simple and efficien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ould be a suitable method to select potential cultivars with enhanced tolerance to multiple environmental stress.

Regional Differences in Onion Bulb Quality and Nutrient Content, and the Correlation Between Bulb Characteristics and Storage Loss

  • Lee, Jongtae;Ha, Injong;Kim, Heedae;Choi, Silim;Lee, Sangdae;Kang, jumsoon;Boyhan, George E.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4권6호
    • /
    • pp.807-817
    • /
    • 2016
  • Many onion growers and researchers assert that differences in soil type, agricultural practices, weather, and duration of prolonged onion cultivation in a particular field could affect onion bulb quality. This study evaluates the bulb quality of onions grown in different regions and determines the correlations between bulb characteristics and postharvest loss during cold and ambient storage. Soil and onion bulbs were collected from fields in six onion growing regions in Korea, during the growing season of 2011-2012. The fresh weight, dry matter content, and carbon (C), sulfur and magnesium contents of the onion bulbs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location in which they were grown. Bulbs grown in Muan had the greatest number of scales, thinnest scale thickness, and the highest total soluble solids (TSS) and total flavonoids (TF). Bulbs originating from Jecheon had the lowest pyruvic acid (PA), total phenolics and TF. Storage loss of bulbs from the different regions was similar in refrigerated storage, but differed in ambient temperature storage. Bulb fresh weigh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cale thickness (r = 0.617) and cold storage loss (CSL; r = 0.398). Dry matter conten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 (r = 0.958) and TF (r = 0.256) contents, while i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CSL (r = -0.424). CSL was primarily affected by the fresh weight, as well as the dry matter, C, and PA contents of the bulbs, while ambient storage loss was primarily influenced by the amount of T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