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sticide input amount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3초

국내 과수류의 농약사용 실태조사 (Survey of Pesticide Usage on Fruits in Korea)

  • 임양빈;김경선;경기성;김남숙;하헌영;이희동;오경석;김정원;류갑희
    • 농약과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58-263
    • /
    • 2003
  • 국내 과수용 농약에 대한 농가사용실태를 파악하여 농산물의 안전성과 농약관리를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국내 주요 과수류인 사과, 감률, 포도, 복숭아, 배, 감 등 6종의 과수를 대상으로 재배면적별 35지역 150농가를 선정하여 국내 과수재배 환경중 농약의 사용량을 조사 분석하였다. 과수용 농약의 년간 살포 회수는 배가 15.2회로 가장 많았고, 감은 7회로 가장 적었다. 단위면적당 농약사용량은 감률 39.5, 사과 22.1, 배 21.5, 복숭아 11.9, 감 10.8, 포도 6.7 a.i. kg/ha이었으며, 사과, 감률, 포도, 감의 사용량은 1999년도 사용량 다 약간 감소하였다. 주요 사용농약은 살균제는 mancozeb, propineb, dithianon 등, 살충제는 fenitrothion, chlorpyrifos, methidathion 등이었다. 조사대상 과수 6종에 사용된 농약의 총 주성분량을 계산한 결과는 2,834.7 M/T으로 2002년도 원예용 농약 출하량 대비 18.3%를 차지하였다. 또한, 국내 과수별 단위면적당 농 약사용량을 2001년도 미국의 농약사용량과 비교한 결과 사과는 22.la.i. kg/ha로 한국이 많았으나 감률 등 나머지 작물에서는 미국의 사용량이 많은 편이었다. 본 시험에서 얻어진 결과는 농약의 위해성 감소, 농업환경 보존 및 농약관리를 위해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GDISP모델을 이용한 농약의 대기확산 영향평가 (An Impact Assessment on Atmospheric Dispersion of Pesticide using AGDISP Model)

  • 김정환;구윤서;이승훈
    • 환경영향평가
    • /
    • 제22권6호
    • /
    • pp.547-556
    • /
    • 2013
  • Recently, golf courses have increased over the years because golf became popular leisure sport. Various environmental problems have been then issued by a golf course during constructing and running them. A problem of pesticide, which is serious among various environmental problems, from golf course has harmful effect on surrounding area and makes human suffer from acute and chronic diseases. Pesticides are used for the cost-effective managing of golf course and the amount of pesticides also increases as the number of golf course increase. Since the assessment of pesticides on near-by surrounding has been focused on water and soil media, studies related to atmospheric dispersion have been hardly attempted. The method to assess an impact of pesticide nearby agricultural production by the atmospheric dispersion using AGDISP(AGricultural DISPersal) model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the actual planned golf course located in Hongcheon, Gangwon. For implementing AGDISP, parameters were investigated from the golf course's land use planning map, pesticide spray device, Hong-Cheon weather station and etc. First of all, a kind of pesticide, a form of spraying pesticide, geographical features, weather data, and distance(golf course to plantation) were investigated to understand how to work these parameters in AGDISP. Restricted data(slope angle, droplet size distribution and solar insolation) sensitivity analysis of these parameters to estimate effect of pesticide nearby a plantation and a high relative contribution data of analyzed data was selected for input data. Ethoprophos was chosen as the pesticide used in the golf course and the amounts of pesticide deposition per annual agricultural productions were predicted. The results show that maximum amount of pesticide deposition through atmospheric dispersion was predicted $2.32{\mu}/m^2$ at 96 m where the nearest organic plantation exists. The residues of pesticide were also estimated based on the annul production of the organic and the deposition amount of the pesticide. Consequently, buckwheat, wheat and millet were likely to exceed maximum residue limits for pesticides in foods(MRL) and sorghum, corn and peanut were likely to exceed MRL by organic farming as well.

농약(農藥)의 제형(劑型)이 수도체중(水稻體中) 잔류량(殘留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Pesticide Formulations on the Residues in Paddy Rice)

  • 오병렬;김영구;박영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8
    • /
    • 1984
  • 농약(農藥)의 제형(劑型), 살포시기(撒布時期) 및 사용회수(使用回數)를 달리 하였을 때 수도(水稻)의 수확물중(收穫物中) 농약잔류량(農藥殘留量) 변화를 조사(調査)하기 위하여 isoprothiolane과 chlorpyriphos-methyl의 유제(乳劑) 및 립제(粒劑)에 대하여 풍산(豊産)벼를 대상으로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Isoprothiolane 유제(乳劑)는 수확기(收穫期)에 근접(近接)하여 철포(撤布)할수록 볏짚중(中) 잔류량(殘留量)이 높았으나 립제(粒劑)는 수확(收穫) 30일전(日前) 살포에서 최고수준(最高水準)에 달하였다. Chlorpyriphos-methyl은 제형(劑型)에 관계없이 수확기(收穫期)에 근접(近接) 살포할수록 볏짚 잔유량(殘留量)이 높았으나 그 수준(水準)은 isoprothiolane 보다 현저히 낮았다. 2) 현미중(玄米中) 잔류량(殘留量)은 chlorpyriphos-methyl유제(乳劑)의 경우 볏짚에서와 류사(類似)한 분해률(分解率)을 보였으나 isoprothiolane유제(乳劑)는 볏짚에서 보다 그 잔류량(殘留量)이 안정(安定)하였다. 립제(粒劑)는 락제(樂劑)와 무관(無關)하게 현미(玄米)로의 이행(移行)이 매우 경미(輕微)하였다. 3) 도정(搗精)에 의한 현미중(玄米中) 잔류양(殘留量)의 제거률(除去率)은 유제(乳劑)의 철포시기(撤布時期)가 수확기(收穫期)에 인접할수록 높았고 살포회수(撒布回數)와는 관계가 없었다. 4) 수도재배기간중(水稻栽培期間中) 살포농약(撒布農藥)의 수확물중(收穫物中) 잔존률(殘存率)은 볏짚에 $0.19%{\sim}0.99%$, 현미(玄米)에 $0.01{\sim}0.48%$, 백미(白米)에 0.15%이었다.

  • PDF

전과정평가를 통한 마늘의 탄소배출량 산정연구 (Study of Garlic's Carbon Footprint though LCA)

  • 윤성이;김영란;김태호;박진현;안성우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61-172
    • /
    • 201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imate carbon footprint and to establish of LCA of garlic production system. We have case study in cultivate garlic 1 kg calculate in carbon footprint. LCA carried out to estimate carbon footprint and to establish of LCI (life cycle inventory) database of garlic production system. The data is from Research of Farmer's income in 2010 (RDA, 2011), and used Pass (5.0.0) program. The value of fertilizer, amount of pesticide input were shown the environmental effect and direct emission. Carbon footprint in agriculture guarantees the choice right the consumer to choose the lower carbon goods. Its can make to strengthen of agriculture and food industry's reduction effort of $CO_2$. Nowadays consumer requests food's safety and environment friendly process. Carbon footprint also needs consumer's relief and incentives.

시설방울토마토의 생산과정에 있어 탄소배출량 산정과 농산물의 탄소라벨링 (Estimation of Carbon Footprint in Cherry-tomato Production System and Carbon Labelling in Agriculture Product)

  • 김영란;윤성이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91-308
    • /
    • 201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imate carbon footprint and to establish of LCA of cherry-tomato production system. I have case study in cultivate cherry tomato (1 kg) calculate in carbon foot print. LCA carried out to estimate carbon foot print and to establish of LCI (life cycle inventory) database of cherry tomato production system. The data is from Research of Farmer's income in 2007 (RDA, 2008), and used Pass (4.1.3) program. The value of fertilizer, amount of pesticide input were show the environmental effect and direct emission. Carbon foot printing in agriculture guarantee the choice right th consumer th choose the row carbon goods. Its can make to strengthen of agriculture and food industry's reduction effort of $CO_2$. Nowadays consumer request food's safety and environment friendly process. Carbon foot printing needs consumer's relief and incentives.

Investigation on Selective Mechanization for Wet Season Rice Cultivation in Bangladesh

  • Islam, AKM Saiful;Islam, Md Tariqul;Rahman, Md Shakilur;Rahman, Md Abdur;Kim, Youngjung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41권4호
    • /
    • pp.294-303
    • /
    • 2016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profitability of four selective mechanization systems in rice cultivation. Methods: Field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the farmers' field during the wet season (June to November) of 2015 in Bangladesh. Mechanization systems were applied to evaluate four different selective levels (treatment) in eleven consequent operations. Seedlings were raised in a traditional seedbed and trays for manual and mechanical transplanting, respectively. Land preparation, irrigation, fertilizer, pesticide, carrying, and threshing and cleaning operations were performed using the same method in all the experimental plots. The mechanical options in the transplanting, weeding, and harvesting operations were changed. The mechanization systems were $S_1$ = hand transplanting + hand weeding + harvesting by sickle, $S_2$ = mechanical transplanting + Bangladesh Rice Research Institute (BRRI) weeder + reaper, $S_3$ = mechanical transplanting + BRRI power weeder + reaper, and $S_4$ = mechanical transplanting + herbicide + reaper. This experiment was performed in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with four replications. Power tiller, rice transplanter, BRRI weeder, BRRI power weeder, self-propelled reaper, BRRI open drum thresher, and BRRI winnower were used in the respective operations. Accordingly, the techno-economic performances of the different technologies were calculat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the traditional system. Results: The mechanically transplanted plot produced 6-10% more yield than the hand transplanted plot because of the use of tender-aged seedlings. Mechanical transplanting reduced 61% labor and 18% cost compared to manual transplanting. The BRRI weeder, BRRI power weeder, and herbicide application reduced 74, 91, and 98% labor, respectively. The latter also saved 72, 63, and 82% cost, respectively, compared to hand weeding. Herbicide application reduced the substantial amount of labor and cost in the weeding operation. Mechanical harvesting also saved 96% labor and 72% cost compared to the traditional method of harvesting using sickle. Selective mechanization saved 15-17% input cost compared to the traditional method of rice cultivation. Conclusions: Mechanical transplanting with the safe use of herbicide and harvesting by reaper is the most cost- and labor-saving operation. The method might be the recommended set of selective mechanization for enhancing productivity.

시설상추 농가를 대상으로 하는 bottom-up 방식 LCA 방법론의 농업적 적용 (Application of LCA on Lettuce Cropping System by Bottom-up Methodology in Protected Cultivation)

  • 유종희;김계훈;김건엽;소규호;강기경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1195-1206
    • /
    • 2011
  • 남양주의 실제 상추재배 농가를 대상으로 전과정평가를 적용하여 bottom-up 방식의 사례분석을 수행하였다. 사례분석을 위하여 현장을 방문하여 청취 조사를 하였고, 대상 농가는 유기농가 2곳, 무농약 인증 농가 1곳, 관행농가 2곳이었다. 현장자료 수집과 산정에서 데이터 값의 오차범위가 넓어지는 것을 고려하여 추가의 냉난방이 없는 가을 1 작기를 기준으로 평가하였고, 민감도 분석과 시나리오 분석을 추가하였다. 전과정 목록분석과 영향평가는 'PASS(4.1.3)'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였다. GTG 목록작성 결과 상추 1 kg 생산하는데 투입되는 물질 중 비료와 에너지 투입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농약이 가장 작은 값을 나타냈다. 특히 육묘단계가 없었던 농가 1을 제외한 모든 농가에서 전기의 투입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상추 1 kg 생산하는데 영농작업으로 말미암아 포장에서 직접 배출되는 $CO_2$, $CH_4$, $N_2O$는 각각 6.79E-03 (농가 1), 8.10E-03 (농가 2), 1.82E-02 (농가 3), 7.51E-02 (농가 4), 1.61E-02 (농가 5) kg $kg^{-1}$ lettuce이었다. 전과정 목록분석 결과 시설 상추 1 kg 생산하는데 발생하는 온실가스 발생량은 $CO_2$가 배출량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그 다음이 $N_2O$, $CH_4$ 순으로 나타났다. 농가별 $CO_2$ 배출량은 각각 2.92E-01 (농가 1), 3.76E-01 (농가 2), 4.11E-01 (농가 3), 9.40E-01 (농가 4), $5.37E-01kg\;CO_2\;kg^{-1}\;lettuce$ (농가 5)이었다. 공정별 온실가스 발생량을 분석한 결과, $CO_2$는 에너지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양이 가장 많았다. 관행농은 에너지생산에 의한 배출 비중이 유기농보다 적었고 대신 복비 생산에 의한 $CO_2$ 배출 비중이 그 차이만큼 늘었다. 또한, 무기질 비료 투입이 많아질수록 아산화질소 발생에서 상추재배 공정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게 나타났는데 농가 1, 2는 87%, 농가 3은 64%를 나타냈다. 시설 상추 생산체계의 탄소성적 값은 농가별로 각각 3.40E-01 (농가 1), 4.31E-01 (농가 2), 5.32E-01 (농가 3), 1.08E+00 (농가 4), 6.14E-01 (농가 5) kg $CO_2$-eq. $kg^{-1}$ lettuce였다. 민감도 분석 결과 유기질 비료 민감도가 무기질 비료 민감도 보다 높았고, 이 중 유박의 민감도가 가장 높았고, 복합비료의 민감도가 가장 낮았다. 또한, 온실가스 변화량 중 아산화질소 발생량이 가장 민감하게 변화하였다. 전기 사용량 변화에 따른 민감도 분석은 이산화탄소의 민감도가 가장 높았고, 다음이 메탄이었고, 아산화질소는 민감도가 0에 가까웠다. 따라서 시설재배 상추생산에서 탄소배출량 감소를 위하여 질소비료 종류와 시비방법 및 시설내 전기사용에 대한 합리적 영농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상추 재배에서 여름 작기에 대한 탄소 성적 시나리오 분석결과 생산량이 봄이나 가을에 비하여 약 1/2~1/3정도 작았고, 이에 따라 탄소성적도 30~40배 높은 값을 보였다.

고추의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 산정 및 전과정평가 (Estimation of Carbon Emission and LCA (Life Cycle Assessment) from Pepper (Capsicum annuum L.) Production System)

  • 소규호;박정아;허진호;심교문;유종희;김건엽;정현철;이덕배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904-910
    • /
    • 2010
  • 고추생산체계에 대한 탄소성적을 평가하기 위하여 노지재배 (건고추)와 시설재배 (풋고추)로 구분하여 LCI database 구축하고 전과정 영향평가를 통한 잠재적 환경영향을 평가하였다. LCI 구축을 위한 영농 투입량과 배출물 산정결과 고추 1 kg 생산의 비료 사용량은 노지재배가 2.55E+00 kg $kg^{-1}$ redpepper로 시설재배의 7.74E-01 kg $kg^{-1}$ greenpepper 보다 많았다. 농약 투입은 노지재배와 시설재배가 각각 5.38E-03 kg $kg^{-1}$ redpepper, 2.98E-04 kg $kg^{-1}$ greenpepper으로 노지재배에서의 농약투입량이 훨씬 높았다. 고추생산 중 대기로 배출된 $CO_2$, $CH_4$, $N_2O$의 합은 노지고추가 5.84E-01 kg $kg^{-1}$ redpepper, 2.81E+00 greenpepper로 시설고추가 높았다. 고추 생산체계에 대한 탄소원단위성적 산정결과 노지재배가 4.13E+00 kg $CO_2$-eq. $kg^{-1}$ redpepper, 시설재배 풋고추가 4.70E+00 kg $CO_2$-eq. $kg^{-1}$ greenpepper 였다. 시설재배 (풋고추)는 $CO_2$발생량이 많았고, 노지재배 (건고추)는 $CH_4$$N_2O$ 발생량이 많았다. 전과정 영향평가 결과 GWP의 특성화값은 노지재배가 4.13E+00 kg $CO_2$-eq. $kg^{-1}$, 시설재배가 4.70E+00 kg $CO_2$-eq. $kg^{-1}$이었고, GWP범주에 대한 기여도는 노지재배가 약 52%, 시설재배 약 48%로 거의 비슷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