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국내 수도권, 충청권, 경상권의 3개 지역의 장례종사자를 대상으로 간염A형 바이러스, 간염B형 바이러스에 대해 백신 접종 군을 저위험성군으로, 접종하지 않은 군을 고위험성으로 분류하여, 개인보호물품의 착용정도에 대해 조사하고, 고위험성군 내의 감염보호물품 착용 유무에 따른 감염잠재위험도를 분석한 연구이다. 연구결과 A형간염 고위험군의 마스크 미착용률이 저위험군보다 3배 이상 높았으며, B형 간염 고위험군의 글러브 미착용률이 저위험군에 비해 2배 이상 높았다.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한 개인보호물품 착용에 대한 연구에서 A형 간염에서 글러브와 마스크 미착용 장례종사자의 감염잠재위험도가 각각 4.23배, 3.5배로 매우 높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장례종사자의 잠재적 감염위험성이 증가되는 것은 결과적으로 유가족 등 국민의 감염위험성이 증대될 수 있으며, 국가적 공중보건에 위해요인이 될 것으로 결론내릴 수 있었다. 장례종사자는 반드시 간염에 대한 백신접종과 개인보호장비를 의무화하고, 영업자에는 주기적으로 장례종사자 질병감염 상항을 모니터링하고, 장례종사자가 입었던 가운, 마스크 등의 위생처리 등 보건위생관련에 대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he possibility of acute hepatotoxicity caused by dimethylformamide (DMF) requires regular monitoring of the workers who are using DMF to prevent the occupational disease. The authors performed ambient and biological monitoring of workers involved in synthetic leather manufacturing processes using DMF to asses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arkers of ambient and biological monitoring of DMF. The authors monitored 142 workers occupationally exposed to DMF from 19 workshops in the synthetic leather and ink manufacturing industries located in northern region of Gyeonggi-do. The subjects answered questionnaire on work procedure and use of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to be classified by exposure type. DMF in air samples collected using personal air samplers, diffusive and active sampler, was analysed using gas chromatograph-flame ionization detector (GC-FID) with DB-FFAP column (length 30 m, i.d. 0.25 mm, film thickness 0.25 ${\mu}m$). Urinary N-methylformamide (NMF) was analysed using gas chromatograph-mass selective detector (GC-MSD) at selected ion monitoring (SIM) mode with DB-624 column (length 60 m, i.d. 0.25 mm, film thickness 1.40 ${\mu}m$). Geometric mean (GM) and geometric standard deviation (GSD) of the ambient DMF was $6.85{\pm}3.43$ ppm, and GM and GSD of urinary NMF was $42.3{\pm}2.7$ mg/L. The ratio of subjects with DMF level over 10 ppm was 44%, and those with urinary NMF over 15 mg/L was 87%. NMF in urine adjusted by DMF in air was $4.61{\pm}2.57$ mg/L/ppm and $9.50{\pm}2.41$ mg/L/ppm, respectively, with or without respirator. There was seasonal differences of NMF in urine adjusted by DMF in air, $7.63{\pm}2.74$ mg/L/ppm in summer and $4.53{\pm}2.29$ mg/L/ppm in winter. The urinary NMF concentration which corresponds to 10 ppm of ambient DMF was 52.7 mg/L (r=0.650, n=128). Considering the difference of the route of exposure which resulted from the compliance of wearing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the estimated contribution of respiratory and dermal exposure route for DMF was 48.5% vs. 51.5%.
Objective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firefighters' daily personal noise exposure and explore noise levels related to specific tasks and their contributions to total noise exposure using 24-hour full-shift noise exposure measurements with task-based data. Methods: Noise exposure was assessed for eight firefighters (two rescuers, two drivers, and four suppressors) using time-activity diaries. We collected a total of 24 full-shift personal noise sample sets (three samples per a firefighter). The 24-hour shift-adjusted daily personal noise exposure level (Lep,d), eight weekly personal noise exposures (Leq,w), and 40 task-specific Leq values (Leq activity) were calculated via the ISO/NIOSH method. Results: The firefighter noise-sample datasets showed that most firefighters are exposed to noise levels above EU recommended levels at a low-action value. The highest noise exposure was for rescuers, followed by drivers and suppressors. Noise measurements with time-at-task information revealed that 82.3% of noise exposure occurred when checking equipment and responding to fire or emergency calls. Conclusions: The results indicate that firefighters are at risk of noise-induced hearing loss. Therefore, efforts at noise-control are necessary for their protection. This task-specific noise exposure assessment also shows that protective measures should be focused on certain tasks, such as checking and testing equipment.
Purpose: It is intended to raise awareness of importance of protective equipment and necessity of safety education by examining the actual condition of measures to deal with accident, occurrence of injury, whether safety education is received or not, the actual condition of wearing protective equipment, and working environment of dental lab and dental technician. Methods: A self-administered survey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150 dental technologists. A chi-squared test and independent-samples t-test was carried out by using SPSS WIN Program (version 12.0) in order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of safety education according to work experience and position and whether injury occurred according to whether to wear protective equipment. Significance level was 0.05. Results: With regard to whether injury occurred according to whether safety education was received, there was 'receiving the safety education-injured (71.8%)', 'not receiving the safety education-injured (79.7%)', 'receiving the safety education-not injured (28.2%)', and 'not receiving the safety education-not injured (20.3%)'. The statistical results of injury occurrence according to safety education were not significant. With regard to whether to be injured according work experience, there was 'less than 10 years-injured (68.4%)', 'less than 10 years- not injured (31.6%)', '10 years or above-injured (89.1%)', and '10 years or above-not injured (10.9%)'. The statistical results of injury occurrence according to work experience were significant (p<0.001). Conclusion: Dental lab and specialized agencies should continue to be interested in periodic safety training, recommending wearing protective equipment and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support and so on.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급성 호흡기 감염병을 중심으로 한 개인 보호구 관련 지식과 인식 및 태도 정도와 이들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참여자는 임상 실습 중인 간호대학생 3학년, 4학년 학생 총 200명이었다. 자료는 2018년 9월 1일부터 10월 15일까지이고, 개인 보호구 관련 지식과 인식 및 태도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되었다. 자료 분석은 t-test, one-way ANOVA, Pearson 상관관계를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개인 보호구 관련 개인 보호구 관련 지식 점수는 20점 만점에 17.83점, 인식 점수는 5점 만점에 3.68점, 태도 점수는 5점 만점에 4.14점이었다. 따라서 지식과 태도 수준은 높았고 인식은 보통 수준이었다. 간호대학생의 개인 보호구 관련 태도는 지식 및 인식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어 개인 보호구 관련 태도는 지식 및 인식이 높을수록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을 위한 개인보호구 사용을 포함한 효과적인 감염관리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간호대학생에게 개인 보호구 이용을 숙달시키기 위해 장비 및 관련 자원을 제공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o determine urinary mercury levels in e-waste workers in Southern Thailand and the airborne mercury levels in the e-waste shops where they worked, to describe the associations between urinary and airborne mercury levels, and to evaluate the prevalence of mercury exposure-related health effects among e-waste workers. Methods: A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by interviewing 79 workers in 25 e-waste shops who lived in Nakhon Si Thammarat Province, Thailand. Information on general and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use, and personal hygiene was collected by questionnaire. Urine samples were collected to determine mercury levels using a cold-vapor atomic absorption spectrometer mercury analyzer. Results: The e-waste workers' urinary mercury levels were $11.60{\mu}5.23{\mu}g/g$ creatinine (range, 2.00 to $26.00{\mu}g/g$ creatinine) and the mean airborne mercury levels were $17.00{\mu}0.50{\mu}g/m^3$ (range, 3.00 to $29.00{\mu}g/m^3$). The urinary and airborne mercury level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r=0.552, p<0.001). The prevalence of self-reported symptoms was 46.8% for insomnia, 36.7% for muscle atrophy, 24.1% for weakness, and 20.3% for headaches. Conclusions: Personal hygiene was found to be an important protective factor, and should therefore be stressed in educational programs. Employers should implement engineering measures to reduce urinary mercury levels and the prevalence of associated health symptoms among e-waste workers.
While the conventional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s (PPEs) covers a variety of devices and garments such as respirators, turnout gear, gloves, blankets and gas masks, several electronic devices such as personal alert safety system (PASS) and heads-up displays in the facepiece have become a part of firefighters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s through past several years. Furthermore, more advanced electronic sensors including location traking sensor, thermal imaging caerma, toxic gas detectors, and even physiological monitoring sensors are being integrated into ensemble elements for better protection of firefighters from fire sites. Despite any electronic equipment placed on the firefighter must withstand environmental extremes and continue to properly function under any thermal conditions that firefighters routinely face, there are no specific criteria for these electronics to define functionability of these devices under given thermal conditions. Although manufacturers provide the specifications and performance guidelines for their products, their operation guidelines hardly match the real thermal conditions. Present study overviews firefighter's fatalities and thermal conditions that firefighters and their equipments face. Lastly, thermal packaging methods that we have developed and tested are introduced.
Infection risks of handling specimens associated with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SARS-CoV-2) by public health laboratory services teams were assessed to scrutinize the potential hazards arising from the work procedures. Through risk assessments of all work sequences, laboratory equipment, and workplace environments, no aerosol-generating procedures could be identified except the procedures (mixing and transfer steps) inside biological safety cabinets. Appropriate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PPE) such as surgical masks, protective gowns, face shields/safety goggles, and disposable gloves, together with pertinent safety training, was provided for laboratory work. Proper disinfection and good hand hygiene practices could minimize the probability of SARS-CoV-2 infection at work. All residual risk levels of the potential hazards identified were within the acceptable level. Contamination by gloved hands was considered as a major exposure route for SARS-CoV-2 when compared with eye protection equipment. Competence in proper donning and doffing of PPE accompanied by hand washing techniques was of utmost importance for infection control.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inimize cross infection that can take place within dental office, to make dental workers recognize importance of infection management, and to improve dental-care environment that is exposed to infection. Methods : It conducted the self-reported questionnaire survey on the practice of wearing PPE(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from April 1, 2008 to May 30 targeting 180 dental workers who are working for dental offices where are located in Jeonnam region. Results : 1. As for research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age was the largest in under 29 years old with 75.0%. It was surveyed to be large in over 5 years(56.1%) for working career, in a city(83.3%) for working region, and in having licence of dental hygienist(75.0%). 2. As a result of surveying the practice of wearing PPE, wearing mask given dental care was surveyed to have the highest practice level with 75.6%. Wearing protective glasses showed the lowest practice ratio with 23.3%. 3. As a result of surveying the difference in the practice of wearing PP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working region was surveyed to be the greatest. Conclusions : As the above result, the education of infection management for dental workers needs to be performed continuously even after curriculum of school. Even the in-service education on infection management needs to be vitalized. Also, the necessity was examined for always recognizing and practicing importance of infection by using a method of publishing newsletter via post to dental clinics where are located in rural area, with considering regional deviation.
This study identified technological trends through an analysis of patents for the industrialization of personal protection and convenience equipment us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as a part of efforts to prevent farm work-related disasters. The analysis was conducted on patents registered and published between January 1974 and May 2016 by the world's five largest intellectual property offices, including the KIPO, USPTO, JPO, EPO, and SIP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dicate that the US (36.8%) and South Korea (30.9%) led technological research and development (R&D) with frequent patent applications. An analysis of the technological market revealed that these countries are in the growth and maturity stages, in which the number of patents and number of patent applicants grow rapidly. In terms of the technological market shares of major countries, the US recorded the highest market shares in the field of sensing systems for workers' dangerous conditions and convenience protection equipment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IoT) convergence. South Korea marked the highest share of 41.8% in the field of sensing devices for dangerous conditions in the working environment. An analysis of the trend of patent applications by specific technologies disclosed the following results: sensing systems for workers' dangerous conditions accounted for the highest share (49.2%), followed by IoT convergence-based convenience protection equipment (26.3%) and sensing devices for dangerous conditions in the working environment (24.6%). Based on this study, ICT-based personal protection and convenience equipment technologies are expected to be actively developed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secure national competitiveness through R&D investments and commercialization in personal protection and convenience equipment appropriate for farm work as well as through the acquisition of patent technologies and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