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sonal image

검색결과 800건 처리시간 0.029초

지방의료원의 선택요인분석을 통한 복합적인 의료서비스 전략 구축 (Through a selection factor analysis of the local healthcare institutions Building complex medical services strategy)

  • 이진우;안상윤;이종형;이무식;김광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5호
    • /
    • pp.297-307
    • /
    • 2015
  • 본 연구는 접근성과 의료서비스 품질, 대외적 이미지를 높임으로써 향후 지방의료원이 지역 내 대표의료기관으로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경영효율성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조사대상은 604명으로 하였으며, 분석방법은 ANOVA, 공분산 구조방정식을 실시하였다. 결론을 보면, 의료기관 선택요인에 대한 고객들의 만족도나 선호도가 인구통계학적 특성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결과는 앞으로 지방의료원이 의료서비스 전문화 전략을 수립할 때 주요 고객집단의 욕구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지방의료원이 진료비 수준에 대한 치료효과와 타 의료기관에 비해 저렴한 진료비가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중요요인으로 이에 따른 이미지 부각과 의료서비스의 질의 향상을 극대화하여 의료소비자들을 유인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미디어로서의 명품 가방 소비에 관한 연구 2030세대의 소비 경험을 중심으로 (A Study of Luxury Bag Consumption as Media Focused on the Consumer Experiences of the 2030 Generation)

  • 박정은;류웅재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71권
    • /
    • pp.157-193
    • /
    • 2015
  • 이 연구는 20대 후반에서 30대 초반 여성들의 명품 가방 소비를 통해 이들 세대가 경험하는 한국 사회를 비판적으로 독해하고자 하였다. 그간 명품 소비에 관한 기존의 연구에서 주목해 왔던 요소들은 기호와 상징으로서 명품의 가치와 소비자의 특성, 계급적 정체성, 혹은 이상적인 자기 이미지 구성 차원의 표현적 행위 등에 관한 분석에 국한된 측면이 존재한다. 이 연구는 이러한 요소들을 다루면서, 동시에 일상을 영위하고 구성해 나가는 삶의 양식과 실천, 기회와 한계란 측면에서 이들의 소비를 고찰함으로써 현상적으로 드러나는 개인적 소비 이면의 사회구조적 맥락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고자 하였다. 특히 연구 대상자들의 삶에서 명품 가방이 미디어로 재현되는 방식에 주목해, 그것이 다시 소비로 순환되는 과정을 통해 자본주의적 일상과 주체, 그리고 사회에 관해 성찰적으로 논의하고자 하였다.

  • PDF

역할에 따른 영화의상 분석 -영화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의 주요 여배우를 중심으로- (The Analysis on Movie Costumes Related to the Roles -Focused on the Main Heroines in the Movie, "Cone with the Wind"-)

  • 이화영;이순홍
    • 복식문화연구
    • /
    • 제10권6호
    • /
    • pp.648-665
    • /
    • 2002
  • This study is to analysis on movie costume including the personal characters, social influences and situational effects of the main heroines among the expressions of clothing through the movie, "Gone with the Wind" produced by the MGM Company in America in 1939 with the collapse of the social classes through the American Civil War as its setting. The rang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images of cinema costumes like the colors and silhouette related to the roles based on the movie. According to this study, first, we can see the changing process from crinoline to bustle styles by historical invastigations into clothing styles rather than the images of roles in the aspect of silhouette Scarlet of hanghty and challenging character is shawn in X-type silhouette mainly using capped sleeves and laces and Mellany of obedient and generous character, compared with Scarlet, is showing less detail effects, and is expressed in A-type silhouette of modesty and maturity. Second, there are remarkable differences of colors and details in which starlet who had the pioneer spirit used the vivid tones like red, green and black, and white laces and blades as an accent while Mellany who was considerate and soft used the dark tones like black and blue, and white and blue lace shawls And third, in images, Scarlet who was very positive in sociai activities is expressed as a elegance and romantic images in the sophisticated and modern styles but Mellany who was a good and steady housewife was shown as a elegance image in the mannish styles.

  • PDF

일본에서의 토목${\cdot}$건설 지반조사를 위한 물리탐사 활용 현황 (The State-of-the-Art of Geophysical Exploration Technology applied to Site Characterization in Civil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in Japan)

  • 박삼규;김희준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1999년도 제2회 학술발표회
    • /
    • pp.1-20
    • /
    • 1999
  • 일본에서는 오래 전부터 물리탐사 기술을 토목${\cdot}$건설분야에 널리 활용해왔다. 특히 굴절법 탄성파탐사는 지반조사법으로 이미 확립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산악 터널, 댐, 산사태 등의 조사에 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사회의 가치관의 변화와 환경문제가 대두되면서 사용되는 물리탐사기술 및 그 적용범위가 많이 다양해졌다. 그리고 컴퓨터를 비롯한 디지털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측정기술과 해석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짧은 시간에 대량의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으며, 객관성과 신뢰성이 높은 해석결과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지반의 가시화기술로 탐사결과를 보다 알기 쉽게 영상화할 수 있게 되었다. 최근에는 지반개량 효과의 판정, 터널 막장의 전방탐사, 지하수의 거동, 오염 및 정화 과정의 모니터링 등에 관한 물리탐사기술이 눈부시게 발전하고 있으며, 자연재해 방지를 위한 지반조사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현재는 3차원의 물리탐사 기술이 완성단계에 이르러 이의 토목${\cdot}$건설분야에 대한 활용이 눈앞에 와 있다.

  • PDF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상황에서 일개 국가지정 의료기관의 이동형 병원 CT 활용 사례 (Application of Mobile Hospital Computed Tomography in a State-Designated Medical Institution under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Situation by Example)

  • 신형호;이정호;김광훈;김병진;진성찬;박현미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3권2호
    • /
    • pp.71-77
    • /
    • 2020
  • This study aims to explain the process of providing important medical images for the diagnosis of pneumonia caused by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through the only mobile hospital computed tomography (CT) in Korea. Since January 28, 2020, medical imaging examinations have been provided to confirmed and suspected COVID-19 patients, and the quality of images was evaluated based on the objective and subjective indicators. In order to prevent the transmission in the hospital that may occur due to exposure to medical staff and general patients,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was worn and the separate route was used blocking human infection factors. For 11 weeks, a total of 185 tests were performed for 98 confirmed patients and 72 suspected patients. The average time to complete the test was 33 minutes. In the course of the test, no cross-infection cases were examined. During the outbreak of the COVID-19, the only mobile hospital CT room of Korea provided medical imaging examinations without infection among medical staff and patients and also provided adequate medical images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 (p >0.05) in determining the degree of pneumonia progression compared to a stationary in-hospital CT.

HTML5 WebGL을 이용한 스마트폰 3차원 지형정보 시각화 (Visualization of 3D Terrain Information on Smartphone using HTML5 WebGL)

  • 김광섭;이기원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45-253
    • /
    • 2012
  • 스마트폰 등과 같은 모바일 단말에서 3차원 지형정보 처리 기술에 대한 민간과 공공 수요는 계속 증가하고 있으나 실제 개발 및 활용 사례는 많지 않다. 이 연구에서는 HTML5의 OpenGL ES 2.0을 기반으로 한 웹 기반의 그래픽 라이브러리인 WebGL을 적용하여 위성영상자료와 DEM 자료를 이용한 3차원 지형정보 가시화기능을 프로토타입으로 구현하고 시험 적용한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WebGL을 사용함으로써 웹 환경 뿐만 아니라 뿐 모바일 브라우저에서도 별도의 추가 프로그램 없이 브라우저 만으로 구동이 가능하다. 실험 결과로 HTML5 WebGL을 지원하는 개인용 컴퓨터나 스마트폰에서 구동되는 서로 다른 운영체제와 브라우저에서 위성영상정보와 DEM 자료의 중첩에 따른 3차원 지형의 가시화 결과가 동일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적용된 자료는 각각 공간 메타데이터를 검색하고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실무적인 활용 가능성을 증가 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가상현실을 이용한 동화상 도서관의 구현 (The Implementation of Video Library using VR)

  • 김동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7호
    • /
    • pp.1456-1461
    • /
    • 2003
  • 최근 멀티미디어 환경에서 보다 진보된 가상현실의 환경을 요구하고 있다. 가상현실은 광범위한 응용분야를 창출할 수 있으며 여러 분야의 핵심적인 기술요소들이 통합되어야만 가상현실을 구현할 수 있고 기술적인 분야에서 커다란 전환을 가져오므로서 최근에 급속한 주목을 받아오고 있다. 동화상 정보 시스템에서 입체영상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도서관내 전경 및 도서들의 2D 좌/우 이미지를 활용하여 가상현실 시스템 구조는 display, tracking, computation의 세 가지 구성 요소로 이루어지며, 또한 사운드 출력, 음성 출력, 음성 인식이 요구되어진다. 이러한 3D 가상현실 시스템을 이용하여 구조적 구상화, 설계, 교육과 훈련, 공간 탐험, 오락과 같은 많은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머신 러닝과 Microservice 기반 디지털 미러 시스템 (Digital Mirror System with Machine Learning and Microservices)

  • 송명호;김수동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9권9호
    • /
    • pp.267-280
    • /
    • 2020
  • 거울은 일반적으로 아말감으로 코팅된 물리적 반사 표면으로 거울 앞의 상을 선명하게 반사한다. 이것은 언제 어디서나 사용이 가능하며 사용자의 얼굴이나 외모를 확인하기 위한 필수적인 도구이다. 현대 소프트웨어 기술의 출현으로 사람들은 실시간 처리, Microservice 및 머신 러닝이 적용된 편의성과 지능성을 통해 거울 반사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거울로써 실시간 반영과 동시에 사용자 맞춤 정보 조회, 공공 정보 조회, 외모를 통한 나이와 감정 탐지 등의 기능을 가진 디지털 거울 시스템 개발을 제안한다. 더불어, 본 시스템은 터치 기반, 음성 인식 기반, 제스처 기반의 Multi-Modal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 시스템에 대한 디자인을 제시하고 현재 기술을 이용하여 실시간 거울 반영과 동시에 유용한 정보 제공 및 지능형 머신 러닝 기술을 제공하는 구현 방법을 제안한다.

ART2 알고리즘을 이용한 수화 인식 (Sign Language Recognition Using ART2 Algorithm)

  • 김광백;우영운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937-941
    • /
    • 2008
  • 수화는 청각 장애인에게 있어 중요한 의사소통 수단이며, 청각 장애인들은 수화를 통해 대인관계를 넓히며 또한 불편함 없는 일상생활이 가능하다. 그러나 최근 인터넷 통신의 발전으로 증가하고 있는 많은 화상 채팅 및 화상 통화서비스에서는 건청인과 청각 장애인 사이에 통역을 하는 시스템이 없어 청각 장애인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화 인식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기법에서는 화상 카메라를 통해 얻어진 영상에서 각각 RGB, YUV, HSI 색상 정보를 이용하여 두 손의 위치를 추적하여 잡음을 제거 한 후, 두 손의 영역을 추출한다. 추출된 손의 영역은 잡음과 훼손에 강한 ART2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학습한 후 인식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수화 인식 방법을 실험한 결과, 수화에 사용된 지 숫자 1부터 10을 효율적으로 인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역사그림에 나타난 사진의 진실과 관찰자적 재현 (The Truth of the Photograph and its Representation of Observer Appeared in the Painting of History)

  • 이경률
    • 비교문화연구
    • /
    • 제29권
    • /
    • pp.25-53
    • /
    • 2012
  • The attitude of observer in the painting of history is to exclude a prejudice and a subjective view of an artist and to introduce a photograph, which is a record of objectivity, in the process of painting. Its ultimate intent is to redescribe the fact of an event's image intactly without any prejudice and to represent the event as a proven evidence that it was. The representation of history based on fact had already been conceived in imagination of renowned artists such as Francisco Goya or $Th{\acute{e}}odore$ $G{\acute{e}}ricault$ even before cameras were invented. What they portrayed was their own truth of reality which is gained through their observation, not a history that have corresponded to political ideologies, for all reliance on a limited tool of representation, painting. Furthermore, history was necessary for 19th century impressionism artists to be represented under proven fact in a neutral perspective excluding all subjective prejudice, not based on the representation with imagination. Edouard Manet in particular reconstited an instant moment on the basis of real proof of photograph without personal prejudice or opinion as if today's photojournalism. The catastrophic series by Andy Warhol and the photographic painting by Gerhard Richter show another role of painting in the realm of art, each of them implying information distortion and abuse by current media and intentional deformation toward history as Manet's painting of history. Today, the representation of an historical event that we experience in the era of the Internet and social networks having a great deal of information already came to be the exclusive property of the cutting edge mass media. Nevertheless, the attitude of observer which is realistic and contemplative in the realm of art is the crucial point in terms of artists' act as e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