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son trip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3초

교통수요 예측을 위한 활동기반 접근 방법: 경향과 적용현황 고찰 (Activity-based Approaches for Travel Demand Modeling: Reviews on Developments and Implementations)

  • 임광균;김시곤;정성봉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3권2호
    • /
    • pp.719-727
    • /
    • 2013
  • 교통수요 예측 모델에서 통행을 기본 단위로 사용하는 4-단계 통행기반 모형은 오랜 시간동안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 교통수요예측의 결과가 차량 개통 후 실제 교통량과 차이가 크게 발생되어, 예측 결과에 대한 불신이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교통량 예측의 차이는 인간의 자연스러운 통행활동을 모형 개발 단계에서 고려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미국에서는 교통수요예측의 정확성과 현실성을 높이기 위해 활동기반 모형을 1990년대 부터 활발하게 연구 및 개발하여 점진적으로 기존 4-단계 통행기반 모형을 대체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논문은 통행기반 모형과 활동기반 모형을 분석단위, 분석절차, 문제점 등을 상호 비교 검토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기존의 교통수요예측 방법론의 문제점을 진단하기 위해, 미국을 중심으로 대표적인 세 가지 활동기반 모형 시스템(DaySim, CT-Ramp, CEMDAP)을 사용하였다. 통행기반 모형은 인간의 다차원적인 통행의사 결정 과정을 효율적으로 쉽게 설명할 수 있으며, 이는 교통수요 예측의 정확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수요예측의 현실성과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인간의 활동을 기반으로 보완, 개선된 수요예측방법론이 검토되어야 한다.

취업자의 1일 통행수단선택 분석 및 모형의 시간이전성 검토 (Analysis of Travel Modal Choice and the Temporal Transferability for Workers)

  • 김대웅;배영석;이명미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19-32
    • /
    • 1999
  • 본 연구는 도시 내에서 비교적 안정된 통행패턴을 이루고 있는 취업자를 대상으로 대구광역시 사람통행실태 자료(1988년, 1992년)를 이용하여 취업자가 1일에 행한 복수통행 간의 상관관계를 보다 체계적으로 명확히 규명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취업자의 교통수단선택모형을 구축하여 그 모형의 이전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먼저 취업자의 통행행태분석 결과, 통행패턴은 1일에 2통행의 피스톤형태로 비교적 단순하였으며, 교통수단선택패턴도 1일에 행한 복수통행 가운데 첫 번째 통행에서 이용한 수단을 최종 통행수단으로 이용하는 비율이 높은 것 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통수단선택모형의 추정결과 채택된 설명변수의 추정계수 및 모형의 적합도가 모두 양호한 값을 나타내어 본 모형의 타당성이 입증되었다. 끝으로, 구축된 모형의 적용성 검토로서 1988년과 1992년 모형의 시간적 이전가능성을 검토한 결과 여러 지표들로부터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어 본 모형의 시간이전성은 충분하다고 판단되어진다.

  • PDF

고령자와 비고령자의 여가통행시간 이질성 연구 - 충남 도시권과 농어촌권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Heterogeneity of Leisure Travel Time between Elderly and Non Elderly People - Focusing on urban and rural areas in south Chungcheong province -)

  • 김원철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87-97
    • /
    • 2013
  • 본 연구는 충청남도를 대상으로 도시권과 농어촌권을 구분하고, 고령자 및 비고령자의 여가통행시간 영향요인의 이질성을 정량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분석자료는 2011년 가구통행실태조사를 활용하여 도심 및 농어촌권역의 통행자특성을 추출하고, 도심 및 농어촌권의 지역경제적특성 및 교통환경적특성을 활용하여 PLS(Partial least square) 회귀모형을 구축하였다. 분석결과, 도시권과 농어촌권 고령자의 여가통행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수는 버스배차간격, 버스노선수, 가구원수, 가구월평균수입으로 나타났다. 비고령자의 경우에는 고령자의 중요 영향변수 이외 지역경제(GRDP, 경제활동참가율)환경과 고용형태도 여가통행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변수로 나타났다. 한편, 농어촌권에 거주하는 여성고령자는 남성고령자 보다 여가통행시간에 더 민감하나 비고령자그룹은 남녀별로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Estimating the Efficiency of Transportation Energy Consumption based on Railway Infrastructure and Travel behavior Characteristics

  • Choi, Hyunsu;Nakagawa, Dai;Matsunaka, Ryoji;Oba, Tetsuharu;Yoon, Jongjin
    • International Journal of Railway
    • /
    • 제6권2호
    • /
    • pp.33-44
    • /
    • 2013
  • In recent years, energy consumption in the transportation sector by expanding motorization continues to increase in almost every country in the world. Moreover, the growth rate of the transportation energy consumption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ivilian and industrial sectors. Therefore, every country strives to reduce its dependence on private transport, which is the main contributor to the transportation energy consumption. In many countries, concepts such as Transit Oriented Development (TOD) or New Urbanism, which controls road traffic by increasing the proportion of the public transportation significantly, have been implemented to encourage a modal shift to public transport. However, the level of change required for eliminating environmental problems is a challenging task. Minimizing transportation energy consumption by controlling the increase of the traffic demand and maintaining the level of urban mobility simultaneously is a pressing dilemma for each city. Grasping the impact of the diversity of the urban transport and infrastructure is very important to improve transportation energy efficiency. However, the potential for reducing urban transportation energy consumption has often been ineffectively demonstrated by the diversity of cities. Therefore, the accuracy of evaluating the current efficiency rate of the urban energy consumption is necessary. Nevertheless, quantitative analyses related to the efficiency of transportation energy consumption are scarce, and the research on the current condition of consumption efficiency based on international quantitative analysis is almost nonexistent. On the basis of this background problem definitions, this research first built a database of the transportation energy consumption of private modes in 119 cities, with an attempt to reflect individual travel behaviors calculated by Person Trip data. Subsequently,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was used as an assessment method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transportation energy consumption by considering the diversity of the urban traffic features in the world cities. Finally, we clarified the current condition of consumption efficiency by attempting to propose a target values for improving transportation energy consumption.

공간 심리학을 통한 공간치유 연구 (A Study on Spatial Therapy through Spatial Psychology)

  • 박해랑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709-714
    • /
    • 2023
  • 본 연구는 개인이 받은 감정적 손상에 대한 다양한 치유의 방법에서 공간의 심리학을 통한 공간치유의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일반 대학생을 대상으로 공간치유의 수업사례를 통해 효과를 입증하고 그 방법을 구체화하고자 한다. 공간치유의 방법을 사전 질문(과거)-공간 탐방(현재)-여행 계획(미래)으로 설계하였다. 사전 질문에서 학생들은 가족과의 행복한 여행과 함께한 사람과의 즐거웠던 추억을 가장 오래 기억하였다. 공간탐방에서 학생들이 방문한 장소는 모두 다르지만 자신이 다녀온 곳에 대해 충분히 만족하고, 행복해하였다. 학생들은 함께한 사람과 그 장소에 대한 감정을 충분히 기억하고 표현하였다. 여행 계획에서 학생들은 여행에 대한 준비를 충분히 하고, 그곳에서 느끼고 싶은 다양한 치유의 감정을 기대하고 있었다. 대부분의 학생들이 여행을 통해 마음의 안정을 찾고, 평화로운 감정을 느끼고, 아름다운 세상을 만끽하고 싶다고 하였다. 공간치유를 위한 여행이나 특정 장소에 대한 방문은 지치고 힘든 이들에게 충분한 치유의 힘을 가지게 한다.

교통약자 유형별 공유형 자율주행 자동차의 이동경로에 대한 기초연구 (A Basic Study on the Route of Shared Self-driving Cars by Type of Transportation Disability person)

  • 김선주;김건욱;장원준;정원웅;민현기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31권3호
    • /
    • pp.47-65
    • /
    • 2022
  • Purpose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self-driving technology has developed into three stages (partial self-driving) or four stages (conditional self-driving), it is expected to bring a new paradigm to transportation in the city. Although many researchers are researching related technologies, there is no research on self-driving for disabled persons. In this study, the basic research was conducted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shared self-driving car used by the disabled person is similar to the special transportation currently driving. Design In this study, data analysis and machine learning techniques were utilized to analyze the mobility patterns of disabled persons by type and to search for leading factors affecting the traffic volume of special transportation. Findings The study found that external physical disorders and developmental disorders often visit general welfare centers, internal organ disorders often visit general hospitals, and the elderly and mental disorders have various destinations. In addition, machine learning analysis showed that the main transportation routes for the disabled person use arterial roads and auxiliary arterial roads and that the ratio of building usage-related variables affecting the use of special transportation for a disabled person is high. In addition, the distance to the subway and bus stops was also mentioned as a meaningful variable.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it is expected that the necessary infrastructure for shared self-driving cars for disability person traffic will be used as meaningful research data in the future.

통합교통망 수단선택-통행배정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network model for Mode Choice and Trip Assignment)

  • 김현명;임용택;이승재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87-98
    • /
    • 1999
  • 전통적인 교통계획 과정에서 이용되어 온 수요모형들은 대부분 수단선택과 통행배정을 나누어 실시하는 모형이 주를 이루어 왔다. 그러나 교통수단이 다양해짐에 따라 실제 통행자들은 통행 도중 환승을 통해 수단을 전환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며 이 경우 수단선택 과정과 통행배정 과정을 하나로 통합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기종점간 수단 분담율은 기점과 종점에서의 그 값이 다르지만 수단선택과 통행배정이 분리되어 있는 기존 모형을 적용할 경우, 출발과 도착시의 수단 분담율이 동일하게 나타나는 비현실적인 결과를 도출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는 통행수단을 통행의 기본단위로 보고, 수단통행량을 추정하기 때문에 그 수단을 이용하는 통행자들의 행태 대신 수단의 특성만이 모형화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존의 교통계획 과정에서는 수단분담 과정과 통행배정과정이 분리됨에 따라 수단간 환승이 고려되지 않아 통행자들의 경로 구성과정을 정확히 표현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 수단분담 모형으로 가장 많이 이용되는 로짓 모형의 경우 환승을 고려하면 비관련 대안간 독립성문제(CIA)가 발생하고, 환승경로 수요추정이 불가능해 사실상 통합 교통망과 같이 복수 수단이 운행하는 교통망은 분석하기 어렵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람통행(Person Trip)을 기반으로 하는 수단분담-통행배정 통합모형을 개발하고 기존의 결합모형과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 PDF

존별 특성을 반영한 교통사고밀도 모형 - 청주시 사례를 중심으로 - (Traffic Accident Density Model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ffic Analysis Zone in Cheongju)

  • 김경용;백태헌;임진강;박병호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7권6호
    • /
    • pp.75-83
    • /
    • 2015
  • PURPOSES : This study deals with the traffic accidents classified by the traffic analysis zone. The purpose is to develop the accident density models by using zonal traffic and socioeconomic data. METHODS : The traffic accident density models are developed through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In this study, three multiple linear models were developed. The dependent variable was traffic accident density, which is a measure of the relative distribution of traffic accidents.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various traffic and socioeconomic variables. CONCLUSIONS : Three traffic accident density models were developed, and all model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Road length, trip production volume, intersections, van ratio, and number of vehicles per person in the transportation-based model were analyzed to be positive to the accident. Residential and commercial area ratio and transportation vulnerability ratio obtained using the socioeconomic-based model were found to affect the accident. The major arterial road ratio, trip production volume, intersection, van ratio, commercial ratio, and number of companies in the integrated model were also found to be related to the accident.

국립공원 방문의 제한요소 및 타협전략 (Constraints and Negotiation Strategies of National Park Visitors)

  • 홍성권;장호찬;이석호;김재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1-10
    • /
    • 2004
  • This study applied the leisure constraints and negotiation concept to the travel context, especially for traveling in national parks. More specifically, it tries to identify how constraints and negotiation impact a person's travel behavior. The population of this study is the people who intend to visit the national parks for their summer vacations.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the panel study, which surveyed the same set of people before and after their trip. Among 527 samples, 39.7% traveled what they planned without any changes. 24.7% did not travel or postponed their trip, and 35.7% enjoyed their vacation but with changes of destination, time or travel periods. These results support that people may use negotiation strategies to overcome their constraints in a travel context.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mpact of constraints on travel behavior among the three groups. The results also confirm that people have to overcome intra-, inter-, and structural constraints for visiting the national parks. Thus,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the concepts of leisure constraints and negotiation is applicable to the travel contexts. Because of its exploratory characteristics, several limitations and cautions were raised.

원세조출엽도 중의 세조 복식 연구 (A Study the Costume of Kublai Khan of the Kublai Khan on a Hunting Trip)

  • 고부자;최규순
    • 복식문화연구
    • /
    • 제13권4호
    • /
    • pp.658-670
    • /
    • 2005
  • Kublai Khan on a Hunting Trip were painted by Liu Guan-dao. This painting gives us very important information for understanding cosume of Yuan dynasty because of realistic description. We studied the name of costume of the king Shizu in this painting by using the way of comparison his costume with another paintings, the records and archaeological finds. This study showed that the costume of the king Shizu is judged to be Jisun, the traditional costume of Mongolian own meaning one colour. The name of each is the Yinshu warm hat, being making into the for of a kind of rodents, the Yinshu Jisun, the Red colour Jisun, being railed on the robe, and the Cloud boots cover. And we found that the decoration on the neck and sleeve tib of the Yinshu Jisun had been made by sable furs, and the decoration on the surface had been made by tails of them, going by the name of Rondes at that time. It also showed that the meaning of one colour of the Jisun is not only just appearing one colour on the one person but also being able to appear two set of one colou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