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Basic Study on the Route of Shared Self-driving Cars by Type of Transportation Disability person

교통약자 유형별 공유형 자율주행 자동차의 이동경로에 대한 기초연구

  • 김선주 (영남대학교 경영학과) ;
  • 김건욱 (대구디지털혁신진흥원 빅데이터활용센터) ;
  • 장원준 (대구디지털혁신진흥원 빅데이터활용센터) ;
  • 정원웅 (경북대학교 컴퓨터학부) ;
  • 민현기 (대구디지털혁신진흥원 빅데이터활용센터)
  • Received : 2022.04.27
  • Accepted : 2022.08.02
  • Published : 2022.09.30

Abstract

Purpose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self-driving technology has developed into three stages (partial self-driving) or four stages (conditional self-driving), it is expected to bring a new paradigm to transportation in the city. Although many researchers are researching related technologies, there is no research on self-driving for disabled persons. In this study, the basic research was conducted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shared self-driving car used by the disabled person is similar to the special transportation currently driving. Design In this study, data analysis and machine learning techniques were utilized to analyze the mobility patterns of disabled persons by type and to search for leading factors affecting the traffic volume of special transportation. Findings The study found that external physical disorders and developmental disorders often visit general welfare centers, internal organ disorders often visit general hospitals, and the elderly and mental disorders have various destinations. In addition, machine learning analysis showed that the main transportation routes for the disabled person use arterial roads and auxiliary arterial roads and that the ratio of building usage-related variables affecting the use of special transportation for a disabled person is high. In addition, the distance to the subway and bus stops was also mentioned as a meaningful variable.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it is expected that the necessary infrastructure for shared self-driving cars for disability person traffic will be used as meaningful research data in the future.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논문은 2022년 산업통상자원부 지원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수탁번호:P0018434).

References

  1. 김건욱, 손상현, 양미연, 이승협, "딥러닝을 활용한 특별교통수단 (나드리콜) 이용빈도 추정 모형", 교통기술과정책, 제17권, 제2호, 2020, pp. 43-51.
  2. 김건욱, 윤대식, 김종진, "빅데이터를 활용한 교통약자 특별교통수단 통행수요 분석:대구광역시를 사례로", 대구경북연구, 제19권, 제2호, 2020, pp. 43-61. https://doi.org/10.23029/JDGS.2020.19.2.43
  3. 김원호, 이신해, 김시현, "교통약자 유형별 이동행태분석 및 맞춤형 대중교통정보 제공방안 연구", 서울도시연구, 제9권, 제2호, 2008, pp. 105-119. https://doi.org/10.23129/SEOULS.9.2.200806.105
  4. 김응철, 김태호, "교통약자의 환승을 고려한 K경로탐색 알고리즘 개발", 서울도시연구, 제10권 제2호, 2009, pp. 147-159. https://doi.org/10.23129/SEOULS.10.2.200906.147
  5. 박소연, 진민하, 강원식, 박대영, 김건욱, "특별교통수단 장기대기수요에 대한 사회 연결망 분석",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9권, 제5호, 2021, pp. 93-103. https://doi.org/10.14400/JDC.2021.19.5.093
  6. 박지원, 김진태, 김상민, 김준용, "교통약자 이동권 관리를 위한 특별교통수단 분산배치 효과에 관한 연구-남양주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도로학회논문집, 제22권, 제1호, 2020, pp. 95-104.
  7. 윤대식, 신길수, "교통약자의 유형별 이동편의 시설 만족도 분석에 관한 연구: 경산시를 사례로", 지역사회연구, 제19권, 제1호, 2011, pp. 85-107.
  8. 이규진, 김숙희, "특별교통서비스의 이용실태 및 활성화 방안 연구: 수원시를 중심으로", 한국 ITS 학회 논문지, 제15권, 제5호, 2016, pp. 1-11.
  9. 이수진, 김애영, 서승현, "자동차보험용 스마트 컨트랙트를 위한 사고정보 기반 신뢰도 산정 모델",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제9권, 제4호, 2020, pp. 89-100.
  10. 이윤형. 고령친화도시 조성 위한 장애인 이동권 확보 방안. 울산: URI(울산연구원), 2020.
  11. 임서현, 장원재, 탁세현, 박태윤, "자율주행과 공유교통시대의 대중교통서비스 제공방안", 한국교통연구원 기본연구보고서, 2018.
  12. 조상리, 배진현, 정석찬, "자율주행 자동차의 수용의도에 관한 연구-소비자 지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정보시스템연구, 제30권, 제4호, 2021, pp. 95-118.
  13. 정성훈, 김휘강, 우지영, "빅데이터 기반 침해사고 및 정보보호 정책 정량 분석 방법론",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제22권, 제10호, 2017, pp. 73-81. https://doi.org/10.9708/JKSCI.2017.22.10.073
  14. 경북 산업정책 동향보고서, "지능형 자율주행차 산업 동향 및 전망", 김상곤 등 기고, 2020.11.02
  15. 월간교통, "공유교통서비스의 효과적 활용을 위한 법제도 개선방향", 박준식 기고, 2015.09.30
  16. 월간교통, "공유경제시대의 교통서비스 현황과 전망", 장원재 기고, 2015.09.30
  17. 월간교통, "교통의 신패러다임: 공유교통서비스", 황기연 기고, 2015.09.30.
  18. 한국과학기술교육원, "자율주행차의 최신 기술 동향 및 상용화", 김미영 기고, 2018. 09.21
  19. Bylund, P. O., Wretstrand, A., Falkmer, T., Lovgren, A., and Petzall, J., "Injuries in Special Transportation Services for Elderly and Disabled-a Multimethodology Approach to Estimate Incidence and Societal Costs", Traffic Injury Prevention, Vol. 8, No.2, 2007, pp. 180-188. https://doi.org/10.1080/15389580601175268
  20. Liu, X., Xu, Y., Gong, Z., and Herrera. F., "Democratic Consensus Reaching Process for Multi-person Multi-criteria Large Scale Decision Making Considering Participants Individual Attributes and Concerns", Information Fusion, Vol. 77, 2021, pp. 220-232.
  21. Mogaji, E. and Nguyen, N. P., "Transportation Satisfaction of Disabled Passengers: Evidence from a Developing Country",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D: Transport and Environment, Vol. 98, 2021, pp. 102982 - https://doi.org/10.1016/j.trd.2021.102982
  22. Wiseman, Y., "Research Anthology on CrossDisciplinary Designs and Applications of Automation", IGI Global, 2022
  23. 다크 프로그래머, Kernel Density Estimation(커널밀도추정)에 대한 이해, Retrieved May 24, 2022, Available: https://darkpgmr.tistory.com/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