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simmon vinegar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23초

초콩의 제조 중 기능적 특성 비교 (Comparison of Functional Properties of Black Soybean Pickled in Vinegar (Chokong))

  • 서지형;정용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71-176
    • /
    • 2011
  • 초콩의 기본 제조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검정콩과 3종의 시판 식초(현미식초, 감식초, 사과식초)를 이용하여 초콩을 제조하고 이들의 기능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초콩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검정콩의 식초 담금 기간이 4일 이상일 때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플라보노이드 함량도 소폭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초콩의 전자공여능, ABTS 라디칼 소거 활성 및 아질산염 분해능은 물 추출물보다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전반적으로 높았고, 검정콩의 식초 담금 기간이 길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초콩 제조 시 검정콩의 식초 담금 기간이 단기간(1~7일 내외)인 경우 감식초로 제조한 초콩에서 전자공여능, ABTS 라디칼 소거활성, 아질산염 분해능이 높은 편이었다.

몇 가지 천연식물 발효액의 제조 및 생리기능성 (Manufacture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of Some Natural Plant Fermentation Broths and Liquor)

  • 서동수;이은나;조창호;이종수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39-46
    • /
    • 2007
  • 고부가가치를 가진 천연식물 발효음료를 개발하기 위하여 감과 보리, 백야초와 느릅나무 등을 이용하여 3종류의 발효액과 1종류의 침출주를 제조한 후 이들의 생리기능성을 조사하였다. 노화관련 생리기능성으로 항산화활성은 느릅나무 침출주에서 99%로 제일 높았고 감으로 제조한 감식초에서도 68.3%를 보였다. 또한 SOD 유사활성은 느릅나무 침출주에서 80.6%로 제일 높았으나 여타의 발효액에서는 25% 미만의 낮은 활성을 보였다. 심혈관질환관련 생리기능성으로 항고혈압성 안지오텐신 전환효소(ACE) 저해활성과 혈전용해활성은 모두 11% 이하의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고 항치매성 아세틸콜린 에스터레이즈(AChE) 저해활성은 느릅나무 침출주에서 54.7% 높았으나 여타의 시료에서는 10% 미만의 낮은 활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하여 볼 때 대체로 느릅나무 침출주가 강력한 항산화활성을 갖고 있고 SOD 유사활성과 AChE 저해활성도 우수하였으므로 고부가가치의 건강 주류로 산업화가 가능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Report of eight unrecorded Acetobacter species in Korea, discovered during the survey in 2018-2019

  • Heo, Jun;Won, Miyoung;Lee, Daseul;Han, Byeong-Hak;Hong, Seung-Beom;Kwon, Soon-Wo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11권3호
    • /
    • pp.155-161
    • /
    • 2022
  • Acetic acid bacteria (AAB) convert ethanol to acetic acid through oxidation, and the fermentation pathway of AAB is important in the vinegar industry. The genus Acetobacter is the representative one of AAB, and several Korean traditional vinegars are produced using Acetobacter strains. Until now, four species in the genus Acetobacter were reported as native species in Korea. During the past two years, we isolated several AAB strains from fruits, flowers and fermented foods, and several AAB species unrecorded in Korea were found on the basis of 16S rRNA gene sequence analyses. In this study, we report eight Acetobacter species as native ones which are A. fabarum C10-3 (=KACC 21483) isolated from plumcot fruit (Naju-si), A. lovaniensis KDG-EC1 (=KACC 22697) isolated from diced radish kimchi (Naju-si), A. okinawensis GAM12-M2 (=KACC 22696) isolated from persimmon fruit (Sangju-si), A. orientalis FR32C4 (=KACC 22370) isolated from fruit of Cudrania tricuspidata (Jeonju-si), A. papaya FR35B3 (=KACC 22046) isolated from grape fruit (Yeongdong-gun), A. suratthaniensis GAM15-R2 (=KACC 22694) isolated from persimmon fruit(Gimje-si), A. syzygii C25-1 (=KACC 22048) isolated from peach fruit (Namwon-si) and A. thailandicus JDF1-M1 (=KACC 22693) isolated from plum fruit(Seoul).

가공식품 중 천연유래 보존료 함량에 대한 조사 (Monitoring of Natural Preservative Levels in Food Products)

  • 박은령;이선규;황혜신;문춘선;곽인신;김옥희;이광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12호
    • /
    • pp.1640-1646
    • /
    • 2008
  • 보존료를 인위적으로 첨가하지 않았음에도 프로피온산, 안식향산이 천연 원료로부터 이행되거나 발효 및 숙성과정에서 미생물의 대사산물로써 생성되는 제품군들을 선정하여 berry류, 건강기능식품, 식초음료류, 초(염)절임류 등 4그룹으로 분류하였다. 145건의 시료로부터 안식향산과 프로피온산의 함량과 재래식 발효법에 의한 감식초의 담금, 발효기간에 따른 프로피온산의 함량변화를 조사하였다. 재래식 방법으로 담금한 감식초에서 발효과정 중의 프로피온산 생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식품 중 안식향산과 프로피온산의 모니터링을 위하여 제조공정 중 안식향산 및 프로피온산을 사용하지 않은 식품 중 berry류(푸룬, 크랜베리), 건강기능식품(프로폴리스추출물제품, 인삼제품), 식초음료류(식초음료베이스, 식초혼합음료, 과실식초), 절임류(올리브제품, 염절임류, 오이피클류, 초절임류) 등 145건을 분석한 결과, 145건의 시료 중 144건의 시료에서 안식향산이 검출되었으며, 크랜베리와 프로폴리스 추출물제품 중에는 최대 약 500 ppm 농도의 안식향산이 원료로부터 천연유래된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피온산은 시료 64건에서만 검출되었으며, 프로폴리스 추출물 제품의 경우 원료로부터 천연유래 된 것으로 나타났고, 과실식초음료류와 올리브 제품의 경우는 식품의 제조과정 중 발효 및 숙성에 의한 부산물로써 천연유래된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Effects of Persimmon (Diospros kaki L.) Vinegar as a Dietary Supplement on Feed Intake, Digestibility, and Ruminal Fermentation Indices in Sheep

  • Shin, J.H.;Ko, Y.D.;Kim, B.W.;Kim, S.C.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3권12호
    • /
    • pp.1578-1586
    • /
    • 2010
  • This study estimated the effect of fermented persimmon (Diospros kaki L.) extract (FPE) supplement on feed intake, digestibility, nitrogen (N) balance, and rume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in sheep. Five male sheep (Corriedale${\times}$Polwarth) with average body weight of $48.6{\pm}1.3\;kg$ were housed in metabolism crates and assigned to a 5${\times}$5 Latin square design with five consecutive 20-d periods which consisted of 14-d adaptation and 6-d data collection. The sheep were fed ad libitum a diet containing concentrate and rice straw (3:7). The five treatments were FPE supplemented at 0 (Control), 5, 10, 20, and 30 g/kg of concentrate. Intakes of dry matter (DM, p<0.01), organic matter (OM, p<0.01), neutral detergent fiber (NDF, p<0.05), acid detergent fiber (ADF, p<0.05), and nitrogen-free extract (NFE, p<0.01) increased quadratically with increasing intake of FPE supplement and maximized (p<0.05) at 10 g/kg FPE. The digestibilities of DM (p<0.05), OM (p<0.05), crude protein (p<0.01), and NFE (p<0.01) increased quadratically with increasing amount of FPE supplement, and sheep fed 5 and 10 g/kg diets had greater (p<0.05) DM, OM, and NFE digestibilites than the Control treatment. By increasing FPE supplement concentration, N intake (p<0.01) and fecal N (p<0.05) increased linearly, whereas retained N (p<0.05) and retained N ratio (p<0.05) increased quadratically. The retained N was maximized (p<0.05) in sheep fed 5 and 10 g/kg diets. The mean rumen pH was not affected by FPE supplement, but there was a quadratic increase (p<0.05) of mean rumen ammonia N concentration and a linear increase (p<0.01) in mean rumen total volatile fatty acid (VFA) and acetate concentrations. The mean concentration of rumen propionate in sheep fed all FPE supplemented diets was greater (p<0.05) than the Control, but the mean ratios of rumen acetate to propionate in sheep fed 5 and 10 g/kg diets were lower (p<0.05) than that of Control sheep. In conclusion, FPE supplemented at 5-10 g/kg of concentrate improved feed intake, the digestibilites of OM and NFE, N metabolism, and rumen fermentation indices of sheep.

시판 과실식초의 이화학적 품질 및 향기성분 비교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and Volatile Components in Commercial Fruit Vinegars)

  • 김귀란;윤성란;이지현;여수환;정용진;윤경영;권중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616-624
    • /
    • 2010
  • 국내에서 소비가 활발한 시판 과실식초(사과, 포도, 감)에 대하여 이화학적 품질특성 및 향기성분 패턴을 비교 분석하였다. 식초시료의 총산도는 포도 식초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당도 및 환원당 함량은 시료마다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갈색도, 탁도 및 전반적 색차(${\Delta}E$)는 감식초에서 높게 나타났다. 시판 과실식초의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 sucrose, maltose의 순으로 높게 검출되었으며, 유기산은 acetic acid 외 oxalic, citric, malic, succinic acid가 검출되었으나 함량은 시료마다 차이를 나타내었다. 시판과실식초의 유리아미노산 검출결과 필수아미노산은 포도와 감식초에서 총 9종, 사과식초에서 6종의 필수아미노산이 검출되었다. 시판 과실식초의 주된 향기성분은 acetic acid, ethyl acetate, isoamyl acetate, iso valeric acid, isoamyl alcohol, propanoic acid, phenethyl acetate 등으로 이외에 사과식초 17종, 포도식초 12종, 감식초 33종의 휘발성 성분이 확인되었다. 또한 SAW 센서 전자코는 과실식초의 향기패턴을 비교 분석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Antihypertensive effect of Korean Red Ginseng by enrichment of ginsenoside Rg3 and arginine-fructose

  • Lee, Kyung Hee;Bae, In Young;Park, Song I.;Park, Jong-Dae;Lee, Hyeon Gyu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0권3호
    • /
    • pp.237-244
    • /
    • 2016
  • Background: Ginsenoside Rg3 and arginine-fructose (Arg-Fru) are known as the hypotensive compounds of Panax ginseng; however, their efficacy on antihypertension has not been reported yet to our best knowledge. Thus, hypotensive components-enriched fraction of red ginseng (HCEF-RG) was prepared from fine root concentrate (FR) and their antihypertensive effects were investigated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SHR). Methods: Male SHRs were divided into six groups: control (Wistar Kyoto, SHR); FR 500; FR 1,000; HCEF-RG 500; and HCEF-RG 1,000; samples (mg/kg body weight) were orally administered every day for 8 wk. Blood pressure was monitored at 1 wk, 2 wk, 3 wk, 4 wk, 6 wk, and 8 wk by tail cuff method. At 8 wk after samples administration, mice were killed for the measurement of renin activity (RA), angiotensin-I converting enzyme inhibition, angiotensin II, and nitric oxide (NO) levels in plasma. Results: HCEF-RG with four-fold more Rg3 and 24-fold more Arg-Fru contents was successfully prepared from reacted mixtures of FR and persimmon vinegar (12 times against FR, v/v) at $80^{\circ}C$ for 18 h. Both FR 1,000 and HCEF-RG 1,000 showed lowered systolic blood pressure than SHR control group and HCEF-RG 1,000 group exhibited a significant decrease in diastolic blood pressure. RA was significantly lowered in all treated groups, while angiotensin II did not affect by FR and HCEF-RG treatment. However, angiotensin-I converting enzyme inhibition and NO in FR 1,000 and HCEF-RG 1,000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with SHR control group. Conclusion: HCEF-RG is more effective and useful for alleviating hypertension than FR, implying the health benefit of Rg3 and Arg-Fru.

사상체질분류검사지(QSCC II)에 의해 사상체질이 분류된 대학생의 식품 기호도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Association between Sasang Constitutions and Food Preference)

  • 최선미;지상은;홍정미;안규석;고병희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7권1호
    • /
    • pp.105-114
    • /
    • 200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correlation with food preference of subjects in three constitution groups on the view point of constitutional medicine. The constitutions of 124 college students(male 80, female 44) was classified by QSCC II method. Food preference of the subjects was surveyed in accordance with suggested foods for each constitution and was analyzed using Hedonic scale. The distribution of the constitutional revealed that Soeum individuals accounts 53%, followed by ; Soyang 19%, Taeum 28%. For men, sorghum, potatoes, beef, scombroid, oyster, saury, octopus, codfish, walleye pollack, shrimp, croaker, pineapple, eggplant, leek, pumpkin, toenjang, draft beer, diluted liquor, coffee, cocoa were statistically different in food preference score by sasang constitution(p<0.05). For woman, chicken, pollack roe, a walleye pollack, persimmon, jujube, melon, citron, celery, burdock, vinegar, bean-paste soup, draft beer, ginseng, honey were statistically different in food preference score by sasang constitution(p<0.05). Association of sasang constitutions and food thought to be harmful or healthy to each constitution was analyzed. But Food preference score of food thought to be harmful or healthy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in score among sasang constitutions. This results suggested that food intake patterns of subjects were associated with sasang constitutional food in parts.

  • PDF

농가생산 사과장아찌와 시판 장아찌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Apple Jangachi Manufactured by Farmhouse and Commercial Jangachi)

  • 오철환;양주환;강창수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8권1호
    • /
    • pp.79-91
    • /
    • 2016
  • 농가생산 사과장아찌의 품질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농가생산 사과 장아찌와 시판 장아찌 11종을 대상으로 품질인자에 대한 특성을 조사하였다. 장아찌의 수분함량은 간장 및 식초 절임 장아찌가 각각 74~84%, 81~91%, 된장 절임 장아찌가 89% 그리고 고추장 절임 장아찌가 38~64%였다. 무 고추장 장아찌의 수분함량은 57~64%이었으며, 사과 고추장 장아찌는 48%로 무장아찌에 비해 낮았으나 고추장 절임을 한 감(38%)과 매실(39%)장아찌에 비해 다소 높았다. 장아찌의 적정 숙성기간을 나타내는 지표인 pH 및 적정산도는 각각 pH 3.4~5.6, 0.03~0.14%로 조사되었다. 무장아찌의 pH는 5.2~5.6 이었으며, 오이, 감, 매실, 사과장아찌의 pH는 각각 3.4~4.1, 4.1, 3.5, 4.1로 비슷하였다. 이는 전통장아찌(pH 3.03~5.36)와 비교하여도 적정한 범주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사과장아찌의 당도는 30%로 고추장 무장아찌에 비해 12~18% 높았으나 감장아찌(39%)와 매실장아찌(49%)에 비해서는 다소 낮았다. 장아찌의 염도는 절임원에 따라 간장(6~13%), 된장(7%), 고추장(3~4%)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사과장아찌의 염도는 3.28로 간장 및 된장을 절임원으로 사용하여 상업적으로 생산된 제품에 비해 저염인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색도 측정결과 사과장아찌의 명도(54.70)는 오이장아찌(50.86, 56.02)와 비슷하였으며, 적색도 및 황색도는 각각 16.21, 26.78로 무 고추장 장아찌의 적색도(7.27~11.23)와 황색도(10.62~14.69)에 비해 높았다. 관능적 특성은 무, 오이장아찌와 함께 색, 향, 맛 각각 7.00, 7.50, 7.00 점으로 기호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반면 전체적인 선호도는 6.83점으로 매실이나 무장아찌에 비해 점수가 낮았다. 전체적으로 아삭아삭한 씹힘성이 있는 장아찌를 선호하는 경향에 기인한 것으로 보이며 사과장아찌의 조직감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약용식물 추출물 및 식품첨가제가 곶감 식품학적 품질 비교 (Food Quality Comparison of Dried Persimmons (Diospyros kaki THUNB) When using Medicinal Plant Extracts and Food Additives during Drying Process)

  • 김기호;김경민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32권1호
    • /
    • pp.10-17
    • /
    • 2014
  • 곳감 생산 현장에 적용하기 위해 식초, 자몽추출물 등 총 6종의 추출물에 대한 배합비를 설정하였고, 그 결과 우수한 활성을 가지는 천연 복합 활성제의 최종적인 혼합비는 정향 18.18%, 계피 9.90%, 감초 9.09%, 천궁 4.55%, 자몽종자출물 4.55% 및 사과 식초 54.54%임을 확인하였다. 대조구 및 처리구의 수분 함량을 측정한 결과는 항갈변 실험과 항진균 실험, 항갈변/항진균 실험 모두에서 전체적으로 1주차에 비해 6주차에서 수분의 함량이 증가 하였으며 측정 주차 별로 control이 처리구에 비해 수분 함량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당도 변화에서는 건조가 진행됨에 따라 전반적 곶감의 당도는 증가하였다. 항갈변/항진균 실험에서 $30{\sim}39^{\circ}brix$로 높은 당함량을 보였다. 경도를 측정한 결과에서는 control과 처리구는 거의 비슷하였으며 6주 뒤 평균적으로 0.5~0.8정도 줄어들었다. 색도변화에서는 ${\Delta}$값의 변화는 건조 기간 중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천연추출물은 곶감의 건조기간 중에 나타나는 품질저하를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유해성 논란이 되고 있는 유황훈증법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