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simmon leaves

검색결과 119건 처리시간 0.034초

감잎 열탕 추출물 및 감잎 탄닌의 Xanthine Oxidase 저해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Xanthine Oxidase by Boiled Water Extract and Tannin from Persimmon Leaves)

  • 문숙희;이민경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54-358
    • /
    • 1998
  • 우리 나라에서 쉽게 구할 수 있고, 값이 저렴하여 대중적으로 널리 이용될 수 있는 감잎으로부터의 열탕 추출물과 함께 탄닌을 분리하여 xanthine oxidase 활성을 측정함으로써 감잎의 통풍 예방효과를 살펴보았다. 감잎의 열탕 추출물을 농도별로 살펴본 결과 열탕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저해효과가 증가하여 2.0mg 첨가시 82.4%의 높은 저해효과를 나타냈으며, 감잎탄닌도 감잎의 열탕 추출물과 마찬가지로 농도에 비례해서 santhine oxidase 저해효과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감잎 열탕 추출물 및 감잎 탄닌은 xanthine oxidase에 대해 경쟁적 저해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감잎 열수추출물 및 감잎 탄닌의 항돌연변이 효과 (Antimutagenic Effects of Boiled Water Extract and Tannin from Persimmon Leaves)

  • 박건영;문숙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880-886
    • /
    • 1995
  • 감잎 열수 추출물 및 감잎 탄닌의 항돌연변이 효과를 Ames test, spore rec assay 및 SOS chromotest 방법을 이용하여 검토하엿다. Salmonella typhimurium TA100에서 aflatoxin $B_{1}(AFB_{1})$, dimethyl-amino-biphenyl(DMAB)와 같은 간접 돌연변이워에 대해서 뿐만아니라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MNNG), 4-nitroquinoline-1-oxide(4-NQO)와 같은 직접 돌연변이원에 대해서도 강력한 항돌연변이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Bacillus subtilis H17($rec^{+}$)와 M45($rec^{-$)를 사용한 spore rec assay에서도 감잎 탄닌은 MNNG에 대한 강한 항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내었고, Escherichia coli PQ37을 사용한 SOS chromotest에서도 4-NQO의 돌연변이성이 크게 저해되었다. 또한 감잎차 부터 탄닌을 추출하여 이미 그 효과가 알려진 녹차 탄닌과 함께 항돌연변이 효과를 살펴본 결과 시료의 농도에 비례해서 녹차탄니과 비슷한 수준으로 현저한 항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들 항돌연변이 실험계에서 감잎 탄닌이 감잎 열수 추출물에 비해 활성이 크게 나타났다.

  • PDF

기후 요인이 단감 '부유' 및 '서촌조생'잎의 무기성분 함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eteorological Elements on Changes of Inorganic Nutrient Contents in Leaf of 'Fuyu' and 'Nishimurawase'sweet persimmon)

  • 김익열;김민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50-257
    • /
    • 2005
  • 본 연구는 동일 포장 내 부유와 서촌조생 품종의 잎 내 무기성분의 시기별 함량 변화와 기상요인을 조사하였다. '부유'와 '서초조생' 잎의 N, P, K, 및 Cu 함량은 후기로 갈수록 감소되었으나, Ca, Mg, 및 Mn 함량은 증가되었다. 그리고 '부유' 잎의 K함량은 서촌조생' 보다 높았으나, '서촌조생' 잎의 P와 Ca 함량은 '부유' 보다 높았다. 평균기온과 K 함량은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강우량은 Ca 함량과는 정의 상관이, N과 Cu 함량과는 부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그리고 일조량은 N과 Cu 함량과는 정의 상관이, Ca, Mg 및 Mn과는 부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감잎의 성장 중 항산화물질의 함량 변화 (Antioxidative Substances and Their Changes in the Leaves of Persimmon (Diospyros kaki) during Growth)

  • 김지현;김귀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323-330
    • /
    • 1997
  • Changes in antioxidative substance levels in eleven different cultivars of persimmon leaves during growth were investigated. In general, the contents of soluble phenols, L-ascorbic acid and flavonoids in astringent persimmon leaves(APL) were higher than those of nonastringent persimmon leaves(NAPL). The soluble phenol contents in APL and NAPL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throughout leaf growth. L-ascorbic acid content in APL decreased rapidly during growth, whereas its content in NAPL reached its highest value at the late of July, and then decreased rapidly. Major flavonoids in APL and NAPL were quercetin and Kaempferol which were present in conjugate forms. Before acid hydrolysis, the contents of kaempferol and quercetin in APL and NAPL remained at a relatively constant level until the late of July, and then decreased slightly. After acid hydrolysis, kaempferol contents in APL and NAPL varied significantly by cultivar and growth stage, while quercetin contents decreased slowly until the late of July, and then increased drastically, reached a maximum at the early of August, afterward continuously decreas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APL harvested at the early of June may be useful as potential sources of natural antioxidants.

  • PDF

Sarcoma-180 세포를 이용한 in vivo에서 감잎의 항암효과 (Antitumor Effect of Persimmon Leaves in vivo using Sarcoma-180 Cells)

  • 문숙희;김광혁;박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865-870
    • /
    • 1996
  • 감잎의 시료 중 항돌연변이 효과와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가 컸던 감잎의 헥산, 클로로포름 획분 및 감잎 탄닌의 항암효과를 Sarcoma-180 종양세포를 이용하여 살펴 보았다. Sarcoma-180 종양세포에 대한 시료의 세포 독성작용을 관찰한 후 세포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내에서 고형암 성장저지 효과 및 수명 연장 효과를 살펴 본 결과 감잎의 헥산 획분이 59.6%로 가장 높은 고형암 성장 저지율을 나타냈으며 수명 연장 효과도 대조군의 경우 17.4일인데 반해 헥산 획분을 투여한 경우 생존일수가 23.6일로 가장 큰 수명 연장 효과가 관찰되었다. 면역 관련 장기 중 하나인 비장의 체중에 대한 중량 변화는 대조군의 경우 0.6%인데 반해 감잎의 헥산 및 클로로포름 획분 그리고 감잎 탄닌의 경우 0.7%, 0.8%, 0.8%로 약간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 PDF

감잎차를 위한 품종별 감잎생산력과 성분분석 (Analysis of Components and Leaves Yield by Cultivars for Persimmon Leaf Tea)

  • 노영균;박석희;장성호;성전중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99-102
    • /
    • 2000
  • Comparing and analysing the productivity and the main ingredients of persimmon leaves by cultivars were conducted to improve the quality and productivity of the per-simmon leaf tea. As a result of the survey, Dungsi was decidedly good in growth co-ndition of survival rate, stem diameter and the number of shoots etc. Also , DUngsi had the highest leaf productivity of 567 leaves and the leaf weight of 1.98 kg per one plant after three years of planting . On accounts of productivity, ingredient analysis and panel test etc. we collectively through that Dungsi was the best cutltivar for the persimmon leaf tea.

  • PDF

시엽추출물이 활성산소로 손상된 멜라닌세포종의 멜라닌합성 및 세포생존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ersimmon Leaves Extract on the Melanogenesis and Cell Viability in Cultured Melanoma Cells Injured by Reactive Oxygen Species)

  • 하대호;이재규;최유선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1304-1308
    • /
    • 2008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persimmon leaves extract on the reactive oxygen species (ROS) in cultured melanoma cells. The B16/F10 melanoma cells were tre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t-butyl hydroperoxide (t-BHP). And also, the effect of persimmon leaves (PL) extract on the cytotoxicity mediated by t-BHP was done on the cell viability,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ogenesis by colorimetric assays. In this study, t-BHP decreased cell viability in dose-dependent manner and XTT90 and XTT50 values were measured at 10 and 35 uM of PL, respectively in these culture. And also, XTT50 value was assessed as a highly toxic effect on cultured melanoma cells by the toxic criteria. In the effect of PL extract on the t-BHP-mediated cytotoxicity, PL extract significantly increased the cell viability injured by t-BHP in cultured B16/F10 melanoma cells. PL also showed the decreased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ogenesis. From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ROS such as t-BHP showed highly toxic effect on cultured melanoma cells, and also, PL extract inhibited the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ogenesis in cultured melanoma cells injured by ROS.

감잎의 성장시기별 향기성분의 변화 (Changes of Flavor Compounds in Persimmon Leaves(Diospyros kaki folium) during Growth)

  • 김종국;강우원;김귀영;문혜경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472-478
    • /
    • 2001
  • 감잎의 성장시기별 일반성분과 감잎차의 주요한 품질 특성인 향기성분을 연속수증기증류추출법(SDE) 으로 추출하여 GC-MS에 의하여 분리 동정하여 감잎차를 제조하기 위한 감잎의 최적 채취시기를 조사하였다. 감잎에서의 향기성분은 alcohol류 23종, aldehyde류 18종, ester류 4종, acid류 15종, hydrocarbon류 37종. ketone류 14종, phenol류 6종 및 기타 9종 등 126종의 휘발성 향기성분이 동정되었다. 감잎의 주요 향기성분 중 alcohol류는 linalool. cis-3-hexanal, 1-$\alpha$-terpineol, 3,7,11,15-tetramethyl-2-hexadecen-1-ol이며. aldehyde류는 trans-2-hexanal, nonanal. 2-decenal이며 acid류는 hexanoic acid, nonanoic acid, palmitic acid이며, hydrocarbon류는 1.1-dimethylethyl cyclohexane, 1-methyl-4- [ (2 methylpropyl) ] -benzene이며, ketone류는 2-hydroxy-3-propyl-2-cyclopenten-1-one이며, phenol류는 2.6is(1,1-dimethylethyl)-4-methyl phenol이었다. 감잎의 향기성분은 감잎이 성장함에 따라 그 종류 및 상대적인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6월 중순 이후에는 감소하였고 7월 초순에는 현저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감잎의 성장시기에 따른 유효성분의 함량은 향기성분과 병행하여 조사한 결과 감잎이 성장함에 따라 증가하다가 6월 20일 이후에는 감소하였는데 감잎차의 제조를 위한 채취시기는 유용성분과 향기성분의 상대적인 함량이 높은 6월 중순경이 가장 적합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생쥐 육종에 대한 감잎 성분의 암 성장 억제효과 (Effect of Selected Persimmon Leaf Components against Sarcoma 180 Induced Tumor in Mice)

  • Kim, Byeong-Gee;Rhew, Tae-Hyong;Choe, Eun-Sang;Chung, Hae-Young;Park, Kun-Young;Rhee, Sook-Hee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34-339
    • /
    • 1993
  • Sarcoma 180 복수형 종양세포를 생쥐의 왼쪽 서혜부에 이식한 후 감잎에서 분리한 tannin. chloroform fraction 추출물 및 2, 4-decadienal을 복강 내에 각각 단독투여하여 그 효과를 형태학적으로 검토하였다. 이식된 sarcoma 180 육종에서 암화의 진행을 지연시키는데는 tannin 투여시에 가장 효과적이었고 chloroform fraction 추출물 및 2, 4-decadienal 투여시에는 형태적으로 간주할 수 있는 지연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잎 tannin 은 종양세포를 선택적으로 파괴하여 종양의 증식을 억제하는 것이 아니라 일종의 혐기상태의 세포 환경에서 종양을 괴사과정으로 유도하지 않고, 발암성을 가지는 단백질과 같은 물질의 합성을 저해하거나 또는 자식작용을 가진 과립들로 하여금 이들을 소화시켜 이식된 종양세포를 악성종양으로 유도하는 과정을 지연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감잎의 성장시기에 따른 화학성분 변화 (Changes of Chemical Components in Persimmon Leaves (Diospyros kaki Thunberg) during Growth)

  • 김종국;이원영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32-37
    • /
    • 2002
  • 상주둥시 감잎의 이용성 증대를 위하여 성장시기 별 감잎의 유용성분 함량을 조사하여 감잎의 적절한 채취시기를 결정하기 위한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감잎의 수분함량은 새잎이 나기 시작하여 성장초기인 5월 5일경에는 79.65%를 보이다가 성장함에 따라 꾸준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조지방과 조섬유 및 회분함량은 감잎이 성장함에 따라 다소 증가 하였으며 조단백질은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감잎의 유리당은 sucrose, glucose, fructose 및 raffinose의 4종류가 분리 확인되었으며 sucrose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glucose와 fructose는 비슷하였고 raffinose는 미량 존재하였다. 비휘발성 유기산은 oxalic acid, levulenic acid, magic acid 및 citric acid의 4종류가 분리 확인되었다. 감잎에 함유되어 있는 구성아미노산을 분석한 결과는 총 17종의 아미노산이 동정되었는데 주요한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eucine, phenylalanine 및 valine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수용성 탄닌과 vitamin C 함량은 감잎이 성장함에 따라 계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6월 20일 이후에는 감소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