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pendicularity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7초

열린 공간으로서 현대패션에 나타난 트임의 경향과 미적가치 - 2006S/S~2012S/S를 중심으로 - (Trend and Aesthetic Value of Slit as Open Space Shown in Contemporary Fashion - Focused on the period from 2006S/S to 2012S/S -)

  • 김선영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73-181
    • /
    • 2013
  • This research analyzed the expression trend about the slit which composes the open space by the visual concept and then introduced the imbedded aesthetic value in it. Based on it, this work aims at showing the evidence on the slit as a utilizing tool for various design applications and providing the basic materials in order to develop the creative design production in the fashion area in the future. Specifically, for the theoretical background in this research, the concept of slit and its chronological changes were reviewed through literature. For the empirical analysis on the slit, a total of 226 designs with its application were analyzed from collection pieces in the four major collections including Paris, Milan, New York, and London from 2006S/S to 2012S/S. As a result of analysis, types of slit appeared as a slash, opening, slit, or a mix of them. These were applied to many different items of clothing, and among which, one-piece or dress was adopted most for application. In regard to space form, perpendicularity was used most frequently. But other various forms like cross and geometrical pattern were also used as well as curve, oblique line and horizontality. As to the arrangement of slit, single type was most frequently used. However, in addition to it, other types were also applied, producing both the functionality and the decorative detail such as bilateral symmetry, free irregularity, and a combination of regular and repeated layout which makes an effect of single pattern. Aesthetic values imbedded in slit were revealed as functionality, sensuality, spatiality, and decorativeness.

시선이동에 따른 실내공간의 주시특성에 관한 연구 - 원공간과 전회공간의 비교를 통해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Visual Perception by eye movement - Through the comparison of original space and Rotated Space -)

  • 최계영;김종하;이정호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8권4호
    • /
    • pp.71-78
    • /
    • 2009
  • This study analyzed the observation characteristics on space by analyzing through the visual perception experiment to the image dates from the original space and the rotated space of i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ellow as: First, most frequently observed points were, lower end mainly from the center was more observed in the original space while upper end mainly from the center was more observed in the rotated space. Therefore, it is able for us to learn whether the space has the same design, the length of time focusing on one point differentiates as the image rotates. Second, differentiation in observation part, as shown in the case study, can be seen as a consequence of changes in perspective composition. The test indicates that when a design is presented to an observer, the observer's examining point would vary according to where the indoor perspective drawing places a vanishing point. Third, in zones I and II, observation was focused on lower end in the original picture while on the rotated picture there were more focus on the upper end and perpendicularity view of the indoor. Fourth, this study analyzed the mean value of the observation part. As one method wants to see how to change the observation characteristics by rotating the original space, few deviation from the mean value will be interpret to have similar observation characteristics over all even if it has the differences of watching place by rotated space.

개량식 동적 콘 관입시험기의 개발 및 적용성 평가 (Development of Advanced Dynamic Cone Penetration Test Apparatus and Its Application Performance Evaluation)

  • 김욱기;;이광우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119-131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광역 부지나 현장 접근성이 용이하지 않은 현장의 지반조사를 신속 정확하게 수행하기 위한 목적으로 해외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동적 콘 관입시험기를 개선한 개량형 동적 콘 관입시험기를 개발하였다. 기존의 동적 콘 관입시험기의 장점인 휴대성, 간단한 시험방법 등은 그대로 반영하는 한편, 하부 로트의 결합 연장을 통하여 기존 시험기의 지반 관입심도 1m에서 6m까지 관입되도록 고안하였다. 또한, 해머(2+3+3kg), 콘(3type) 등의 조합으로 독일식/일본식 간이 동적 콘 관입시험기(Tsukuba, PWRI, SH type)와 동일한 제원으로 시험이 가능하며, 심도가 깊어짐에 따라 시험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수직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보조 장치를 적용시켰다. 이렇게 개발 제작한 개량형 동적 콘 관입시험기의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국내/외 현장의 다양한 지반에 대하여 시험을 수행하여 그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연직 다 지점 GPS 전자플로터 시스템 유속 측정 장치 개발 및 연구 (A study on Perpendicularity multipoint mode GPS electron floater system of measuring flow velocity)

  • 이정민;구태검;김영도;서일원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8년도 학술발표회
    • /
    • pp.61-61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전자 플로터 시스템의 관한 것으로, 특히 수표면 위에서 작용하는 바람, 파도 등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으면서 물의 흐름방향에 순응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유속 측정이 가능하도록 한 연직 다 지점 GPS 전자 플로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유속 측정방법을 제시하였다. 일반적으로 대기나 해양, 하천 등에서 유동 유체의 유동상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 같은 연구에서 유체의 유동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시뮬레이션을 통한 모델링을 하는 것이 한 방법이나, 이는 실제 유체가 유동하는 환경에서 발생되는 요인들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실제 측정을 통한 검증만큼 실제적이진 못하였다. 본 연구의 유속 측정 장치는 GPS 수신기를 탑재한 GPS 전자플로터가 수표면에 부유하고 라인으로 연결된 수중 추진부인 가이드볼, 중량보강부재로 구성되어져 있다. 기존 연구의 GPS 전자플로터는 1구형으로 표면유속만 측정 할 수 있었고 바람, 파도와 같은 외부영향에 대한 단점이 있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연직 다 지점 GPS 전자 플로터를 개발하였으며 이는 수표면 위에서 가해지는 바람, 파도 등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고, 하측에서 지지해주는 가이드볼이 물의 흐름에 의해 자연스럽게 자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져 보다 원활하게 물의 흐름에 순응하여 이동하고 수심에 따라 가이드볼 개수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대하천에서 운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유속 측정 장치 개발은 접근의 위험성과 안정성이라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대하천 및 중소하천에서도 다양하게 운용이 가능하다. 또한 화학유출사고와 같은 문제가 많이 발생하는 요즘 화학사고와 관련된 연구들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터진고리 형태의 암석시편에 대한 인장강도 시험의 이론과 실제 (Theory and Practice in the Tensile Strength Test for Split Ring Shaped Rock Specimen)

  • 최병희;이연규;박찬;박철환
    • 화약ㆍ발파
    • /
    • 제38권1호
    • /
    • pp.30-37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암석의 인장강도를 측정하는 데 터진고리(split ring; SR) 형태의 시편(NX 코어)을 이용하는 굽힘시험법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SR 시험법은 반고리(half ring; HR) 형태의 시편을 이용하는 HR 시험법(Choi et al., 2019)과 개념적으로는 동일하지만 파괴면이 하중방향과 직교하는 특징이 있다. 이 직교성 때문에 SR 시험법은 HR 시험법보다 더 높은 정확성을 발휘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HR 시편과 마찬가지로 SR 시편은 균일단면을 가진 굽은 각봉이다. 이 특수한 각봉의 이론적 인장강도는 재료강도학의 굽힘이론으로부터 계산할 수 있다. 일련의 LS-DYNA 수치해석을 수행한 결과, 예상대로 인장형 및 압축형 SR 시험법의 강도오차는 1% 및 5%로서 HR 시험법의 오차(12%)에 비해 매우 낮게 나타났다. 두 SR 시험법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내실험을 실시하였다. 비교를 위하여 HR 시험과 Brazilian 시험도 함께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Brazilian 강도에 대한 인장형 및 압축형 SR 시험의 강도비는 각각 1.2~1.4 및 1.1~1.2로 나타났는데, 이는 통상적인 굽힘시험의 경험치에 비해 너무 작은 수치였다. 결과적으로 SR 시험은 NX 코어로 성형한 암석시편에 대해서는 실용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반면, HR 시험의 강도비는 선행연구와 본 연구를 통해 1.7~2.0의 범위에 속하여 높은 일관성을 보였다.

산지급류소하천(山地急流小河川)에 있어서 하상미지형(河床微地形)과 유목(流木) 특성(特性) (Characteristics of Channelbed and Woody Debris on Mountainous Stream)

  • 전근우;김민식;박완근;에자키 츠기오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6권1호
    • /
    • pp.69-79
    • /
    • 1997
  • 유목(流木) 대책(對策)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해 산지급류소하천(山地急流小河川)에 있어서 유목(流木)의 발생, 이동 및 체류(滯留)에 영향을 미치는 하상미지형(河床微地形)의 특성과 유목(流木)의 본수, 크기, 형태, 부후도(腐朽度), 체류(滯留) 방향(方向) 및 종류 등의 유목(流木) 특성(特性)을 파악하였다. 1. 유목(流木)의 체류(滯留) 본수(本數)는 하폭(河幅)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나 하천의 종단 물매에는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다. 특히 확폭부(擴幅部)에서도 복수(複數) 유로(流路)가 발달된 구간을 중심으로 다량의 유목(流木)이 체류(滯留)하고 있었으며, 현유로(現流路)보다는 하상퇴적지(河床堆積地)에 주로 체류(滯留)하고 있었다. 2. 조사 대상인 직경 10cm 이상, 길이 2m 이상의 유목(流木)은 총 402개로 100m당 체류(滯留) 본수(本數)는 35.3개였다. 또한 유목(流木)의 평균 길이와 흉고직경은 각각 4.0m, 14.0cm였으며, 구간별 유목(流木)의 크기는 하류로 갈수록 길이가 짧아지고 직경이 커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3. 유목(流木)이 이동할 때에는 토석류(土石流)나 조도(粗度)가 큰 하상(河床) 재료(材料)와 접촉되기 때문에 하류(下流) 구간(區間)과 일부 상류(上流) 구간(區間)에서 뿌리가 없는 유목(流木)이 다수 발견되었으며, 상류(上流) 구간(區間)에서도 유목(流木)의 원형이 크게 손상된 경우가 많았다. 또한 유목(流木)의 부후도(腐朽度)는 하류로 갈수록 심했으며, 하류의 일부 구간에는 부후(腐朽)가 상당히 진행된 유목(流木)이 발견되어 이전에도 유목(流木)이 체류(滯留)하고 있었던 것이 확인되었다. 4. 유목(流木)의 체류(滯留) 방향(方向)은 유심(流心)에 평행하여 체류(滯留)하는 경우와 직각으로 체류(滯留)하는 경우가 각각 276 : 126으로 유심(流心)에 평행하여 체류(滯留)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일부 구간에는 유심(流心)에 직각 방향으로 체류(滯留)하는 유목(流木)이 다수 분포하여 유목(流木) 자체가 불안정할 뿐 아니라 이동(移動) 토사(土砂)가 체류(滯留)되기 쉬우므로 이에 대한 대비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5. 유목(流木)의 종류는 침엽수인 일본잎갈나무가 전체 유목(流木)중 약 2/3에 해당하는 256본을 차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일본잎갈나무의 경우 지상부에 비해 지하부가 빈약하기 때문에 하상(河床) 재료(材料)의 작은 충격이나 소규모의 하상변동(河床變動)에 의해서도 유출되기 쉬우므로 하안림(河岸林)의 수종으로 선택할 경우에는 신중을 기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