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oxidase isozyme

검색결과 99건 처리시간 0.022초

Phanerochaete chrysosporium PSBL-1의 배양조건 최적화를 통한 Lignin Peroxidase의 과량생산 (Overproduction of Lignin Peroxidase from Phanerochaete chrysosporium PSBL-1)

  • 정병철;한윤전;장승욱;정욱진;원유정
    • 미생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28-235
    • /
    • 2000
  • 지금까지의 Phanerochaete chrysosporium을 이용한 Lignin Peroxidase(LiP) 의 생산은 최적화 되지 못한 배양 조건으로 인해 매우 낮은 활성만을 얻을수 있었으며. 그 배양조건 또한 100% 산소의 주입을 요하는 일반적으로는 재현하기 어려운 조건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Phanerochaete chrysosporium PSBL-1 균줄르 이용, 다양한 배양조건의 변화를 통해 LiP의 과량생산과 그에 따른 isozyme 조성의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최종적으로 $Mn^{2+}$를 제거한 배지에 질소 원인 diammonium을 48mM 로 첨가하고, 안정제로서 veratryI alcohol을 2 mM로 첨가하여, sponge에 의한 고착배양을 실시한 결과 1,800 units/l의 LiP가 생산되었다. 이러한 활성의 증가는 기존에 보고된 PSBL-1 균주의 LiP 최대 생산량인 700units/l와 비교 , 약 2.57배의 생산량 증대를 나타낸다. 생산된 LiP isozyme 분석결과 $Mn^{2+}$(2.73 mM)와 diammonium(48 mM)을 첨가하였을 경우 H1 isozyme의 과량 생산이 확인되었다. 생산된 LiP(0.4 units)를 이용하여 각각의 아조계 염료(acid yellow 9, congo red, orange II; each 50$\mu$M)에 대한 탈생능을 확인한 결과, 2분 이내에 이들 염료에 대한 탈색이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분해 산물이 축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과맥의 파성에 대한 생리화학적 연구 V. 유수의 분화, 발육과정중 Peroxidase의 활성 및 Isozyme Pattern (Studies on the Physiological Chemistry of the Spring Growth Habits in Naked Barley V. Changes in the Isozyme Patterns and Activities of Peroxidase During the Differentiation)

  • 최선영;이강수;박기훈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75-382
    • /
    • 1986
  • 파성정도가 다른 과맥품종에 있어서 유수의 분화 및 발육과정중 peroxidase 의 isoayme pattern 과 활성의 변화를 조사, 비교하여 파성생리기구의 해명을 위한 기초자료로 삼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1. 유수에서의 isoayme은 정상출수품종 (정상형)의 경우, 포분화기와 이중륭기분화기에는 7개, 소수분화기에는 5개 그리고 영화분화기에는 2개만이 나타났는데 좌지형의 경우에는 포분화기에 나타난 7개의 isoayme이 모두 최종재료심취시기인 5월 24 일 까지 뚜렷하였다. 2. 한편, 엽신에서의 isozyme 은 정상형의 경우, 포분화기와 이중륭기분화기에 2개가 관찰되었으나 소수분화기와 영화분화기에는 1개로 감소되었는데 반하여 좌지형의 경우에는 전조기간에 걸쳐 2개로 나타났다. 3. 정상형과 좌지형간에 큰 차이를 보인 것은 유수에서 c와 g Isozyme, 엽신에서 i isozyme 이었는데 정상형에서의 c와 i isozyme 은 소수분화기에 g isozyme은 영화분화기에 각각 소멸되었으나 좌지형에서는 이들 isoayme 이 모두 농염된 채로 남아 있었다. 특히 이들 isozyme 은 생식생장기로의 이행 직전인 포분화기부터 좌지형이 정상형보다 농염으로 나타났다. 4. Peroxidase 의 활성은 정상형의 경우 유수와 엽신에서 포분화기 이후 완만하기는 하나 점차 감소한데 반하여 좌지형에서는 모두 증가하였는데 그 증가정도는 유수에서 현저하였으며 또한 유수에서의 활성정도가 포분화기에서 조차 좌지형의 것이 정상형의 것보다 높았다. 5. 정상형과 좌지형의 포분화기에 나타난 isozyme pattern과 활성정도의 현저한 차이는 추파성도와 관련된 품종의 생리적 표현인 것으로 생각된다.*)와 부의 유의상관을 보이며, 토양통기능과 투수속도는 근양과 유의정상관을 보였고, 근량은 수량( r=-.7378*)과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8. 처리별 증발산양간에는 유의적인 차리가 없었으나, 투명비닐멀칭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높은 경향이었다.circ}C$에서 22.5%, 1$0^{\circ}C$에서 2%가 각각 저하되어서 인삼의 광합성작용에는 광조건보다 고온조건이 아주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였다.e lower the gel temperature was in the epoxy system. In this study it is concluded that the curing of the silica filled epoxy system was found to be accelerated, as silica was added to the epoxy compound.ed by adults who are middle-aged or elderly. If altered colors are applied to the digital products as much as popular culture changes, it can assist the elderly with their weakened physical abilities.동위효소 사이의 특성을 나타냈고, 골격근과 눈 조직에서 피루브산에 대한 LDH의 친화력이 상당히 크므로 LDH가 혐기적 조건에서 효율적으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5) and "Cleanliness of clothes & features" (p <0.05) of VIP ward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 PDF

감자(Solanum tuberosum. L) 괴경에 있어서 Agrobacterium rhizogenes에 의해 형질전환된 조직세포의 세포벽 형성과 peroxidase isozyme 양상의 변화 (Changes of Peroxidsse Isozyme Pattern and Formation of Cell Wall of Hairy Root Irlduced by Agrohacterium rhisogenes from Potato Tuber)

  • 정현숙;김영희
    • KSBB Journal
    • /
    • 제6권1호
    • /
    • pp.27-33
    • /
    • 1991
  • 감자(Solannum tuberosum) 괴경에 A. rhizogenes를 접종하여 암소에서 배양한 결과 2-4주 후에 hairy root가 유도되었다. 유도된 hairy root는 opine 분석을 통해 agropine과 manopine이 검출되어 형질이 전환되었음을 확인하였으며, 발생이 진행됨에 따라 단백질은 전차 감소 되었고, 전분은 점차 증가함을 보였으며, GS.II의 활성 또한 발생단계에 따라 증가함을 보였다. $Ca^{2+}$ channel blocker 인 verapamil 처리구에서는 약 60% 정도 GS II의 활성이 감소 되었으며, calmodulin inhibitor인 chloropromazine 처리구에서는 GS II의 활성에 별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한편 peroxidase 활성은 3주 동안 배양한 callus에서 가장 높았으며, peroxidase 양상은 hairy root에서는 pI 5.4, 5.9의 band가 나타난 반면, 3주 동안 배양한 callus에서는 pI 6.4, 7.1, 7.4의 새롱룬 band를 얻었다.

  • PDF

염분스트레스에 의한 소나무잎 Peroxidase의 활성 및 Isozyme Pattern의 변화 (The Changes of Peroxidase Activity and Isoperoxidase Patterns from Pine Needles under the Salinary Stress)

  • 이미영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0권5호
    • /
    • pp.315-321
    • /
    • 1997
  • Peroxidase activities and isozyme patte군 of the pine needles (Pinus densiflora) were examined and compared in the coastal regions of Anmyum-Do(Choongnam, Taean-Gun) and inland regions of Shinchang-Myun(Choongnam, Asan-City). The pine needle peroxidase from Anmyum-Do showed approximately three times higher specfic activity than Shinchang pine needle peroxidase. The pine needle extracts of Anmyun-Do and Shinchang contained three anionic isoperoxidases, named A1, A2 and A3, when subjected to starch gel electrophoresis at pH 7.0. Cjationic isoperoxidases could not be found in both extracts., However, there existed unique isoperoxidase An only from the extracts of Anmyun-Do pine needles under the salinary environment. Moreover, the specific activities of catalase and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from Anmyun-Do, known for the inducible enzymes under the stress condition, were about 1.8 times higher than those of Shinchang pine needles. However, the specific activities of other enzymes did not show grea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regions. Considering the above results of the higher specific activity of peroxidase and the unique expression of isoperoxidase An, pine needle peroxidase might involve in the defence mechanism against the salinary stress of Anmyun-Do.

  • PDF

기내 배양된 반하의 전기영동에 의한 생약학적 연구 1. 전기영동법에 의한 반하 Callus의 단백질 및 효소분석 (Electrophoresis Techniques for Identification of Callus Induced from Pinella ternata (Thunb.) Breit 1. Analysis of protein and Enzymes of Callus Induced from Pinella ternata (Thunb.) Breit)

  • 최정식;류점호;박학봉;김형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22-125
    • /
    • 1988
  • 반하의 조직부위별 배양기간에 따른 단백질 및 4종의 중요 효소에 대한 전기영동적 특성이 비교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각 조직 유내 Callus의 단백질 pattern 은 야생식물체 각 조직과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 2. 각 조직 유내 Callus의 Esterase isozyme pattern은 야생 식물체 각 조직과 뚜렷한 차이가 있었다. 3. 각 조직 유내 4주 배양 Callus의 GOT isozyme pattern은 야생식물체 각 조직과 비슷하였으나 배양 8주 Callus에서는 분자량이 큰 새로운 isozyme band 1개가 출현하였다. 4. 각 조직 유내 4주 배양 Callus의 Peroxidase isozyme band pattern 에서는 야생식물체 총 기관에서 출현했던 1개의 분자량이 작은 band 가 나타나지 않았다.

  • PDF

Pinus rigida Allelochemicals가 차풀종자의 발아과정에서 동위효소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inus rigida Allelochemicals on Isozyme Activities during Seed Germination of Cassia mimosoides var.nomame)

  • 김용옥;이호준;장남기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0권2호
    • /
    • pp.103-109
    • /
    • 1997
  • Eleven phenolic compounds including caffeic acid were identified through analyzing the aqueous extracts of Pinus rigida by HPLC. Among them, protocatechuic acid was the maximum amount of 6.84 ppm. Seed germination of Cassia mimosoides var. nomame was significantly stimulated by the extract of P. rigida leaves in the proportion ot concentration. However, root growth was elevalted at a threshold concentration below 25%, but it was inhibited at high concentrations. In 50% extract of P. rigida, upward root tip of C. mimosoides var. nomame showed negageotropism which the root end showed necrosis. New isozyme bands were induced indicating concentration activity of peroxidase from the extract of C. mimosoides var. nomame, especially in the cathodic region. Although it reduced the mumber of isozyme bands of esterase, esterase activities were stimulated in the anodic region of C. mimosoides var. nomame. The activity of amylase was not remarkably different between control and treatment.

  • PDF

스트레스 물질에 의한 벼 glutathione peroxidase 활성패턴 변화 (Alterations of Glutathione Peroxidase Patterns by Stressor Treatment in Rice Seedling Roots)

  • 김윤경;이미영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8권1호
    • /
    • pp.53-59
    • /
    • 2005
  • 동진벼 유묘 뿌리에 환원제인 ascorbic acid, 신호전달물질인 salicylic acid와 methyl jasmonic acid, 중금속인 $NiCl_2$$CuSO_4$ 및 NaCl를 다양한 농도로 처리한 후 항산화효소인 glutathione peroxidase(GPX)의 활성과 동위효소의 패턴 변화를 살펴보았다. Ascorbic acid 처리에 의한 GPX의 총활성은 ascorbic acid 농도 증가에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GPX활성 증가는 GPX1 동위효소의 현저한 활성증가에 기인하였다. GPX는 신호전달물질인 salicylic acid와 methyl jasmonic acid에 대하여 서로 다른 반응성을 보였다. GPX의 활성은 0.1 mM salicylic acid에 의해 증가하였다가 이후 감소하였다. 이에 비해 GPX는 methyl jasmonic acid의 농도증가에 의존하여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1 mM methyl jasmonic acid에 의하여 약 3배의 활성증가를 보였다. 뿐만 아니라 GPX1 동위효소는 salicylic acid 농도가 증가할수록 활성이 감소한 반면 methyl jasmonic acid 농도가 증가할수록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GPX의 총활성은 $NiCl_2$ 농도 증가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되었으나, $CuSO_4$ 처리군의 경우 GPX의 총비활성도는 0.5 mM $CuSO_4$에 의하여 약 2배 증가한 이후 점차 감소하였다. $NiCl_2$$CuSO_4$ 처리에 의한 GPX 활성증가도 주로 GPX1 동위효소의 활성증가에 기인하였다. NaCl 처리에 의한 GPX 총활성은 300 mM NaCl 처리군에서 약 1.7배 증가되었다가 이후 감소하였다. 특이하게도 NaCl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GPX2 동위효소 활성이 점차 증가하였다.

제라늄(Pelargonium graveolense) 캘러스의 재분화 및 peroxidase isozyme 발현패턴 변화 (Plant Regeneration of Geranium (Pelargonium graveolense) Callus and Changes of Peroxidase Isozyme Pattern)

  • 이석현;이미영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3권3호
    • /
    • pp.184-189
    • /
    • 2000
  • 방향성 제라늄(Pelargonium graveolense)의 옆병을 취하여 여러 가지 농도의 식물생장조절제가 포함된 MS배지에서 캘러스를 유도하였다. 2 mg/l NAA와 0.5 mg/l BAP가 함유된 MS배지와 2 mg/l 2,4-D와 0.5 mg/l BAP가 함유된 MS배지에서 최대 70% 이상의 캘러스가 유도되었으나, 2,4-D나 NAA 혹은 BAP 단독 처리군에서는 캘러스가 유도되지 않았다. 유도된 캘러스를 0.05 mg/l NAA와 0.5 mg/l BAP가 처리된 MS배지로 옮겼을 때 약 5주 후 캘러스당 최대 14개의 신초가 유도되었고, 이를 호르몬이 포함되지 않은 발근유도 해지로 옮겨서 약 3주간 배양했을 때 최대의 뿌리가 유도되었다. 호르몬 조성에 따른 제라늄 캘러스의 peroxidase(POD)활성변화를 조사했을 때 NAA와 BAP 처리군이 2,4-D와 BAP 처리군보다 전 배양기간동안 높은 POD 비활성을 나타내었다. 호르몬조성에 따른 POD isozyme의 발현양상을 비교해 보면 cathodic POD의 경우는 NAA와 BAP 처리군에서 주로 POD C3가 발현되었으나 2,4-D와 BAP 처리군에서는 주로 POD C1이 발현되었다. Anodic POD의 경우 POD A1, A2와 A3가 이 두 호르몬 처리군에서 모두 비슷한 수준으로 발현하였다.

  • PDF

녹두의 발아과정 중 $GA_3$ 및 ABA의 처리가 Peroxidase, Catalase 활성변화와 Isoperoxidase Pattern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A_3$ and ABA on Peroxidase and Catalase Activities and Isoperoxidase Patterns in Mung Bean Seedling)

  • 이상갑;박우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1권2호
    • /
    • pp.205-210
    • /
    • 1988
  • 식물은 생장조절제에 의한 녹두의 부위별 peroxidase, catalase활성과 전기영동상 peroxidase 동위효소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녹두의 생육이 진행됨에 따라 하배축을 제외하고는 peroxidase 활성도는 증가하였으나 catalase 활성도는 감소하여 서로 상반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암발아시킨 녹두에 $GA_3$와 ABA를 각각 처리하면 peroxidase 활성도의 증가에 대하여 자엽에서만 $GA_3$가 ABA 보다 더 큰 영향 을 끼쳤으나 catalase 활성도 변화는 ABA가 $GA_3$ 보다 더 큰 영향을 끼쳐 모든 부위에서 활성도를 증가시켰다. $GA_3$와 ABA를 혼합하여 처리하면 효소활성도의 변화 경향은 $GA_3$보다 ABA에 더 큰 영향을 받았다. Peroxidase 동위효소의 수는 발아, 생육이 진행됨에 따라 모든 부위에서 계속 증가하여 활성도와는 무관하게 발아 후 6일째에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호르몬의 처리에 따른 동위효소의 변화는 동위효소의 수에 대해서 보다는 intensity에 대하여 더 큰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Isozyme Polymorphism 및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RAPD) Pattern에 의한 표고 버섯 품종간 비교 (Differentiation of Lentinus edodes Isolates in Korea by Isozyme Polymorphisms and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Analysis)

  • 박원목;고한규;박노조;홍기성;김규현
    • 한국균학회지
    • /
    • 제25권3호통권82호
    • /
    • pp.176-190
    • /
    • 1997
  • Isozyme PAGE에 의한 isozyme polymorphism 및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RAPD) pattern의 비교를 통하여 한국에서 수집된 63개의 표고 버섯(Lentinus edodes)품종의 유연관계를 조사하여 보았다. NTSYS PC program을 통하여 비교에 사용되어진 3가지 isozyme 즉 esterase, peroxidase, acid phophatase 등은 각각 10, 7, 3개의 isozyme polymorphism type으로 나뉘어질 수 있었고, 이러한 3개의 isozyme type들은 group-average method를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6개의 집단으로 구분되어질 수 있었다. 또한 RAPD를 통한 표고 품종간 유연관계 비교는 사용되어진 총 20개의 random primer 들중 3개의 primer(OPA 03, OPA 18, OPA 19)가 품종간 polymorphism을 보였고 사용되어진 전체 random primer의 PCR product들의 집단 분석을 통해 최종적으로 5개의 집단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사용되어진 두 가지 방법 즉, isozyme polymorphism및 RAPD pattern에 의해 구분되어진 63개 표고 버섯 품종의 subgroup level에서의 절대적인 유사성은 관찰할 수 없었다. Yii-Mattila(1996) 등에 의하면 품종간 비교시 isozyme analyses에서와는 달리 RAPD analyses에서는 많은 수의 strain-specific band들이 얻어질 수 있고 이것이 두 방법간의 유사성을 관찰하지 못하게 하는 원인이라고 보고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