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illa varieties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1초

종실들깨와 잎들깨의 주요 특성 비교 (Comparison of Major Characteristics between Seed Perilla and Vegetable Perilla)

  • 정명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spc1호
    • /
    • pp.171-174
    • /
    • 2005
  • 국내에서 육성된 종실용 들깨와 잎들깨 품종을 대상으로 주요특성 및 함유성분을 분석하여 용도별 들깨의 주요특성 차이를 확인한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잎들깨 품종의 평균 개화기는 9월 28일로 종실용 들깨의 평균 개화기 9월 5일보다 약 23일 늦었으며, 경장 및 마디수도 종실들깨보다 낮은 양상을 나타내어 생육상의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2. 종실용 들깨의 평균 천립중, 종실수량 및 기름함량이 잎들깨 품종보다 높은 양상을 나타내어 종실특성은 종실들깨가 우수하였으나, 잎 수량 및 잎 함유 안토시아닌 함량은 잎들깨 품종이 종실들깨 품종보다 각각 1.8배 및 2.1배 높은 양상을 나타내어 잎 특성은 잎들깨 품종이 우수하였다. 3. 종실용 들깨 및 잎들깨 품종의 종실 지방산 조성은 차이가 없었으며, 잎 함유 평균 엽록소 함량은 종실용 들깨가 잎들깨 품종보다 다소 높은 양상을 나타내었다.

대사체분석 기술을 이용한 들깨 종자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효과 (Analysis of the seed metabolite profile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perilla varieties)

  • 구수연;손예진;박지영;최성길;이명희;김현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193-199
    • /
    • 2019
  • 지방산과 이차대사물질들의 프로파일들을 종합적으로 비교한 결과 지방산의 함량이 높은 Okdong, Deulsaem, Daesil 품종의 총 페놀화합물과 항산화 활성은 낮았으나 Joim, Yeupsil, Danjo 품종은 지방산과 총 페놀화합물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Yeupsil 품종이 그 중에서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기름의 함량만으로는 Okdong과 Deulsaem 품종이 우수한 반면 기름 함량과 다양한 건강기능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 rosmarinyl glucoside와 rosmarinic acid을 비롯한 기능성 이차산물의 함량도 높은 것을 고려한다면 Yeupsil 품종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어 들기름 뿐만 아니라 들깨가루용으로도 적합할 것으로 사료된다. 반면에 지방산 함량과 이차대사물질의 함량이 낮은 것으로 확인된 Dasil, Daeyeop, Saeyeupsil 품종은 식품 가공용 들깨 품종으로는 적합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Comparison of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varieties of perilla for the development of a high-quality, high-efficiency cleaner and stone separator

  • Park, Jong Ryul;Park, Heo Man;Park, Hye Rin;Yang, Gye Hoon;Lee, Jung Hyun
    • 농업과학연구
    • /
    • 제47권4호
    • /
    • pp.717-726
    • /
    • 2020
  •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major varieties of perilla were analyzed to use as basic data for the design of a high-quality, high-efficiency perilla cleaner and stone separator. Because the size, thousand-grain weight, angle of repose, angle of friction, bulk density and terminal velocity of perilla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perilla variety, the different of characteristics by variety should be considered for performance improvement of a perilla cleaner and stone separator. Therefore the cleaner and stone separator using a sieve could be improved by the application of a detachable sieve or by using equipment such as a 2 - 3 stage sieve and regulating the slope. Moreover, because differences in the terminal velocity occur due to the differences in the size and thousand-grain weight according to the perilla variety, a blower with an adjustable fan speed was considered for the design of the improved cleaner. Additionally, it was shown that the length of perilla has the greatest correlation based on a comparison of the coefficients of the other characteristics. Accordingly, the length of perilla could be used as a major factor for the fine adjustment and parts replacement of the device.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a high-quality, high-efficiency perilla cleaner and stone separator. In the future, the development of the machine and follow-up studies based on the basic data are needed to determine the optimized operating conditions and mechanism of action.

밀양지역 들깨품종별 잎의 아미노산 조성 및 향기성분 비교 (Comparative Studies on the Amino Acids and Flavor Compounds Among Some Varieties of Perilla Leaves Cultivated in Miryang Area)

  • 최영환;이영근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931-937
    • /
    • 2004
  • 우리나라 들깻잎의 주산지인 밀양지역에서 재배하고 있는 4종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고자 아미노산과 휘발성 향 성분을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단백질구성아미노산에서 주요 아미노산은 aspartic acid, glutamic acid, glycine, alanine, arginine, 및 threonine 등 이었고, 그 외에 lysine, leucine, isoleucine 등도 다소 검출되었으나, tyrosine과 함황아미노산인 cysteine과 methionine의 함량이 가장 적 게 나타났으며, 유리 아미노산은 4종 모두에서 약34종이 검출되었다. 그리고 유리아미노산의 조성과 단백질구성아미노산의 조성에서 품종간의 차이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들깻잎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GC-MSD로 분석한 결과, 잎들깨1호는 52종, 엽실들깨는 48종, 그리고 밀양9호와 YCPL은 47종이 분리되어 검출되었다. 깻잎의 휘발성 화합물중에서 가장 많은 함량으로 검출된 perilla ketone은 엽실들깨 $551.42\;{\mu}g/g$, 잎들깨1호 $301.59\;{\mu}g/g$, YCPL $187.00\;{\mu}g/g$, 그리고 밀양9호는 $145.75\;{\mu}g/g$이었으며, 그 외 3-hexen-1-ol, trans-2-hexenal, $\beta-caryophyllene$ 그리고 $\alpha-farnesene$등이 검출되었으나 이 화합물들의 함량은 $20\;{\mu}g/g$을 초과하지 않았다.

Biological Control of Gray Mold Rot of Perilla Caused by Boftis cinerea 1. Resistance of Perilla Cultivars and Selection of Antagonistic Bacteria

  • Moon, Byung-Ju;Son, Yeong-Jun;Lee, Jae-Pil;Kim, Choul-Seung;Song, Ju-Hee;Kim, Hyun-Ju;Kim, Jae-Woo;Kim, Do-Hoon;Park, Hyean-Cheal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8권1호
    • /
    • pp.36-42
    • /
    • 2002
  • Resistance of perilla varieties to Botrytis cinerea LVF12 was evaluated, while antagonistic bacteria were selected and tested for their efficacy towards biological control of gray mold rot caused by B. cinerea. Among 11 perilla varieties tested for disease resistance, Milyang variety showed some degree of resistance, while the rest of varieties showed no resistance. Among 250 bacterial isolates collected from perilla loaves and rhizosphere of perilla plants, six isolates showed high levels of inhibitory effect on mycelial growth and conidial germination of B. cinerea in in vitro test. Using the pot test in growth chambers these isolates showed high levels of disease suppression, with Nl isolate showing 95.3% of control value and N4 isolate showing 90.8% of control value. Further test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two isolates ability for disease prevention and/or disease therapy, and results showed almost 100% of control vague. Isolates Nl and N4 were identified as Bacillus licheniformis and 5. megatepium, respectively, according to Bergey's manual, API 20E and 50CHB test kit,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Optimization of Extraction Conditions and Comparison of Rosmarinic and Caffeic Acids from Leaves of Perilla frutescens Varieties

  • Lee, Jin-Hwan;Baek, In-Youl;Kang, Nam-Suk;Jung, Chan-Sik;Lee, Myoung-Hee;Park, Keum-Yong;Ha, Tae-Jou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3호
    • /
    • pp.793-798
    • /
    • 2009
  • The objectives of this present study were to compare the contents and determine optimum extraction conditions for the rosmarinic acid (RA) and caffeic acid (CA) from leaves of Korean Perilla frutescens varieties. RA and CA from leaves of cv. Bora, a breeding line of P. frutescens were isolated and elucidated using various spectroscopic data. On the basis of 2 phenolic acids, optimum extraction conditions were obtained by employing 50% EtOH for 60 min at $25^{\circ}C$. We reported for the first time on the contents of RA and CA from leaves of 32 Korean varieties. Among them, leaves of P. frutescens Brit. var. acuta Kudo I exhibited the highest RA content ($8.53{\pm}0.57$ mg/g) and CA content ($2.33{\pm}0.11$ mg/g) showed the highest in the P. frutescens Brit. var. viridis Makino. Interestingly, average RA content ($2.66{\pm}0.17$ mg/g) showed a markedly higher than that of CA ($1.98{\pm}0.16$ mg/g) in Korean varieti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ncentrations of the RA and CA in P. frutescens leaves could be a key factor in the selection process of a high quality species.

들깨 품질평가 현황과 전망 (Current Status and Prospects of Quality Evaluation in Perilla)

  • 이봉호;류수노;곽태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
    • /
    • pp.150-162
    • /
    • 2002
  • 1. 들깨는 용도면에서 볼 때 종실은 식용으로, 기름은 식용과 공업용, 깻잎은 채소로 또 깻잎의 정유성분은 향료로 이용될 수 있는 다용도 작물이다. 2. 종실의 단백질 함량은 18-28% 정도이고 단백질의 아미노산조성에 있어 글루타메이트(glutamate)함량은 계란보다 월등히 많다. 3. 종실의 기름 함량은 35~54%로서 기름중에는 리놀렌산(linolenic acid)이 60% 이상 함유되어 있으므로 생리적 기능성 식품으로 우수한 특성을 갖고 있으며 필수지방산의 공급원으로서도 중요하다. 4. 기름의 특성상 들기름은 고도의 불포화 지방산인 리놀렌산이 주성분이기 때문에 들기름을 짜서 상온에서 보관하게 되면 산패(oxidation)되기 쉬우므로 장기간 저장 이용하기 어렵다. 5. 깻잎은 비타민 C와 베타카로틴($\beta$-carotene) 함량이 많고 다른 미량성분도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므로 들깨잎은 생식용 채소로서의 이용가치가 높다. 6. 깻잎의 정유(essential oil) 성분은 페릴라알데하이드(perilla aldehyde)가 주성분이며 이는 식품이나 식품첨가제로 쓰일 때 광범위한 항균작용(antimicrobial activity)을 나타낸다. 7 들깨나 자소잎의 붉은 색소중에는 안토시아닌(anthocynins)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이는 식품색소로 널리 쓰인다.

남부지역 재래종 들깨의 작물학적 형질 (Agronomic Characters of Local Perilla Collected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

  • 남상영;김인재;이철희;김태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55-159
    • /
    • 2003
  • 들깨 유전자원 특성평가로 품종육성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남부지역 들깨 196점을 수집 분석한결과 성숙일수는 104∼136일로 넓게 분포하였으며, 111∼130일이 96%로 대부분 이었고, 110일 이하와 131일 이상은 각 2% 이었는데, 111일 미만의 조숙종인 전남 나주$.$보성, 전북 고창 수집종의 3계통을 선발하였다. 경장은 71-157 cm로 수집종 간에 차이가 많았으며, 111∼130 cm가 41%로 가장 많았고,90 cm 미만 7%, 151 cm이상은 4%순 이었으며, 장경종인 전남 담양 수집종 등 7계통을 선발하였다. 5 cm 이상의 화방군수는 52∼291개로 수집종 간에 차이가 컸으며, 100-180개가 57.1%로 가장 많았고, 100개 미만과 221개 이 상은 각 13.3%이었는데, 전북 진안과 남원 수집종이 각각 291과 302개로 가장 많았다. 화방군당 삭수는 23∼56개 이었으며 ,26∼45개가 49.5%로 가장 많았다. 화방군장은 6∼20 cm로 분포하였고, 8∼14 cm가 62.8%로 가장 많았다 1,000립중은 2.4∼5.7 g으로 차이가 컸으며 ,3.1∼4.0g이 66.8%로 가장 많았고, 4.1∼5.0 g은 12.8% 이었다. 2.9 g이 하는 19.4%이었으며 ,5.1 g 이상은 전북 남원과 경남 창녕의 수집 종으로 1.0% 이었다.

들깨의 성분개량 연구 III. 들깨 품종의 단백질 함량과 아미노산 조성 (Quality Improvement in Perilla III. Varietal Differences of Protein Content and Amino Acid Composition in Perilla)

  • 이정일;박충범;손석용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5-22
    • /
    • 1993
  • 들깨 국내 수집 유전자원 80종에 대한 종실의 단백질 함량과 아미노산 조성을 분석 조사하여 고단백 양질 아미노산 품종육성에 오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시험을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들깨 종실의 단백질 함량은 최고 28.5%, 최저 17,9%, 평균 24.6%였다. 2. 단백질 함량은 숙기와 천입중에 따라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종피색에서는 암갈색에서 백색에 가까울수록 높았는데 암갈색에 비해 은회색은 1.4% 더 높았다. 3. 들깨 수집 유전자원 80종의 총 필수아미노산은 품종에 따라 최고 44.85%, 최저 36.41%, 평균 40.55% 였으며 일반 아미노산 함량은 최고 60.01%, 최저 47.23%, 평균 55.29%였다. 4. 필수 아미노산 함량과 종피색간에는 고도의 정상관(r=0.3389**) 관계로서 종피색이 암갈색에서 백색에 가까울수록 높은 경향이었다. 5. 들깨에서 필수 아미노산중 함량이 많은 것은 arginine과 leucine, 가장 적었던 것은 methionine 이었고, 일반 아미노산중 함량이 많은 것은 glutamic acide와 asparagine이었다. 6. 필수아미노산 중에서 lysine, methionine, valine 등의 평균함량은 FAO 권장량 보다 높았다.

  • PDF

파종기 이동이 들깨 생태변이에 미치는 영향 (Responses on the Agronomic Characteristics for Different Sowing Times with Perilla(Perilla ocimoides L.))

  • 박종선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433-440
    • /
    • 2005
  • 들깨 4품종을 4월 25일부터 30일 간격으로 7월 25일까지 4차에 걸쳐서 파종하여 각 파종기에 따른 생태변이를 조사하였다. 파종기가 늦어짐에 따라 초장, 1차분지수 착화방수, 생체중, 건물중, 발아요소일수 및 개화소요일수가 감소되는 경향을 보임으로서 파종기와 이들 형질간에 높은 부의상관 및 개화소요일수와 소요적산온도 사이에는 높은 정의상관관계를 보였다. 저온, 장일조건하에 조기파종하면 영양생장이 길어서 개화기까지 약 132일이 소요되고, 그 후 파종은 점차로 단축되어 불과 57일만에 개화를 볼 수 있다. 파종기에 따른 종실수량은 품종에 따라 다르다. 즉 A형(논산종)과 B형(진천종)은 조기파 종할수록 수량이 많았고, C형(남양종과 울진종)은 5월 25일 파종구가 가장 많았다. 1000립종은 파종기가 늦을수록 무거워 지는 경향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들깨는 단일성작물로서 파종기 여하를 막론하고 9월상$\~$중순까지 개화함으로 품종에 따라 충분한 영양생장기간을 고려하여 파종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