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illa seedling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초

연초 간후작 들깨의 묘영과 재식밀도가 수량 구성형질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edling Age and Planting Density on the Yield and Its Component of Perilla (Ocymcides Var. Typica MAKINO) Intercropped with Tobacco or Aftercropped)

  • 최인식;손석용;권오홍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68-75
    • /
    • 1980
  • 본 시험은 들깨(임)를 연초간ㆍ후작으로 재배할 경우 들깨의 묘령과 재식밀도(주당본수)가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자 시험을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개화 및 성숙기는 재배시기, 주당본수에 따라 대차가없었다. 2. 기장, 제 1 분지절수, 절수 및 기수는 후작보다 간작에서 묘령이 길수록 주당본수가 많을수록 증가가 되었다. 3. 천입중 밀식보다 소식에서 증가되었다. 4. 천입중과 유분함량간에는(간작 -0.808**, 후작 -0.651*:) 부의 상관이 있었으며 기중과 종실중간에는(간작 0.727*, 후작 0.866**) 정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5. 들깨의 수량은 후작보다 간작에서 28%, 묘령간에는 20 일묘에 비하여 30 일묘에서 28%, 40일묘에서 35%, 주당본수간에는 1주 1본에 비하여 2본에서 8%, 3본에서 13%씩 각각 증수되었다. 이상의 결과 연차간ㆍ후작으로 들깨(임)를 재배할 경우 주종한계기는 6월 15일, 묘령은 30~40일, 주당본수는 2~3본으로 하는 것이 가장 좋다고 인정되 었다.

  • PDF

잎들깨 멀칭재배 및 파종기에 따른 생육특성 (Agronomic Characteristics as Affected by Polyethlene Film Mulching and Sowing Date in Vegetable Perilla)

  • 김동관;정찬식;천상욱;국용인;김명석;방극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184-187
    • /
    • 2004
  • 잎들깨 반촉성 재배시 흑색유공 polyethylene 멀칭효과와 파종적기 구명 및 입모향상 시험을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흑색유공 polyethylene 멀칭재배가 무멀칭재배에 비해 지온이 높고, 출현이 빠른 반면 성숙이 늦고, 경장이 크며, 엽수량뿐만 아니라 종실수량도 많았다. 2. 생육과 저온피해 등을 고려해 볼 때, 잎들깨의 안정적인 파종기는 1월 상순이었다. 3. 입모향상에 도움이 되는 피복재료는 부직포와 투명 polyethylene이나 출현 후 안정성이나 관리의 편의성 등을 고려해 볼 때 부직포가 적당하였다.

들깨 및 메밀의 건경추출액이 피와 배추의 발아 및 초기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tem Extracts from Perilla and Buckwheat on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Barnyard grass and Chinese Cabbage)

  • 성낙술;한의동;우연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43-446
    • /
    • 1987
  • 들깨 및 메밀 건경의 물 추출액을 피 및 배추에 처리하여 발아 및 초기생장의 억제 양상을 본 결과 1. 두가지 추출액 모두 피와 배추의 발아를 억제하였으며 메밀 추출액이 들깨 추출액보다 심하였고 피보다는 배추에 억제효과가 켰다. 2. 발아후 초기 생장도 위와 같은 경향이나 발아억제보다는 생장 억제 효과가 약간 적은 영향이었다. 3. 이들 추출액은 지상부 생장보다는 뿌리 생장에 피해를 더 주는 경향이며 들깨 추출액보다 메밀 추출액이 더 심한 편이었다.

  • PDF

몇가지 식물에 있어서 어린순의 식품학적 가치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Basic Research of Development for Food of Seedling in Some Plants)

  • 박석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335-339
    • /
    • 1995
  • 최근 소비자들의 신선한 채소 요구에 따른 수요증가로 볼 때 어린순의 소비는 크게 늘어 날 것으로 보나 국내에서는 무순외에는 거의 개발이 안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약용식물중에서 어린순을 채소로 개발할 수 있는 것을 선발하고자 기초연구로써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실험에 사용된 12종의 식물중에서 가걱은 들깨, 메밀, 무등이 낮은 값을 보였다. 2. 발아율은 전체적으로 낮았으나 그중 무, 소엽, 메밀, 항금 및 들깨가 상대적으로 높은 발아율을 보였다. 3. 발아세는 발아율보다 낮으며 그중 소엽, 무, 메밀 및 황금이 상대적으로 높은 발아세를 보였다. 4. 식미특성중 외관상으로 무가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5. 맛은 황금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6. 조직감은 메밀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7. 기호도는 소엽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 PDF

파종기(播種期) 및 육묘기간(育苗期間)이 자소(紫蘇)의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Influences of Sowing Time and Nursery Period on Growth and Yield of Perilla frutescens BRITTON var. acuta KUDO)

  • 박희진;정동희;김상곤;권병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4
    • /
    • 1995
  • 남부지장(南部地方)의 자소(紫蘇) 재배체계확립(栽培體系確立)을 위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고자 파종기(播種期)와 육모일수(育苗日數)를 달리하여 파종기(播種期)및 육모일수(育苗日數) 차이(差異)에 따른 생육(生育)과 수량(收量)을 검토(檢討)했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을 수 있었다. 1. 4월10일에 묘상(苗床) 파종(播種)하여 30일 육묘(育苗)한 구(區)의 개화기(開花期)는 8월12일로 4월20일에 묘상(苗床) 파종(播種)하여 30일 육묘(育苗)한 구(區)의 개화기(開花期) 8월14일 보다 2일이 빨랐고 4월 30일 묘상(苗床) 파종(播種)하여 30일 육묘(育苗)한 구(區)의 개화기(開花期) 8월18일 보다는 6일이 빨랐다. 2. 4월10일에 묘상(苗床) 파종(播種)하여 30일 육묘(育苗)한 구(區)의 경장(莖長)은 135cm로 4월20일 묘상(苗床) 파종(播種)하여 30일 육묘(育苗)한 구(區)의 경장(莖長) 131cm 보다 4cm가 더 길었으며 4월30일에 묘상(苗床) 파종(播種)하여 30일 육묘(育苗)한 구(區)의 경장(莖長) 125cm 보다는 10cm가 더 길었다. 3. 4월10일에 묘상(苗床) 파종(播種)하여 30일 육묘(育苗)한 구(區)의 분지수(分枝數)는 26.4개로서 4월20일 묘상(苗床) 파종(播種)하여 30일 육묘(育苗)한 구(區)의 분지수(分枝數) 25.3개 보다 1.1개 더 많았으며 4월30일 묘상(苗床) 파종(播種)하여 30일 육묘(育苗)한 구(區)의 분지수(分枝數) 23.6개보다는 2.8개가 더 많았다. 4. 4월10일에 묘상(苗床) 파종(播種)하여 30일 육묘(育苗)한 구(區)의 8월 중순(中旬)과 9월 상순(上旬)에 엽폭(葉幅) 5cm이상의 것만 수확(收穫)한 생경엽종(生莖葉重)은 2,476kg/10a로서 4월20일에 묘상(苗床) 파종(播種)하여 30일 육묘(育苗)한 구(區)의 생경엽종(生莖葉重) 2,304kg/10a 보다 172kg 증수(增收)였고 4월30일에 묘상(苗床) 파종(播種)하여 30일 육묘(育苗)한 구(區)의 생경엽종(生莖葉重 2,065kg/10a보다는 411kg이 더 증수(增收)되었다. 5. 4월10일에 묘상(苗床) 파종(播種_하여 30일 육묘(育苗)한 구(歷)의 생실종(生實重)은 609.5kg/10a로서 4월20일 묘상(苗床) 파종(播種)하여 30일 육묘(育苗)한 구(區)의 생실종(生實重) 509.3kg/10a보다 100.2kg 증수(增收)였고 4월30일 묘상(苗床) 파종(播種)하여 30일 육묘(育苗)한 구(區)의 생실종(生實重)의 463.2kg/10a보다는 146.3kg이 더 증수(增收)였다. 따라서 대일(對日) 수출용(輸出用) 자소생실(紫蘇生實)의 다수확(多收穫)을 위한 적정 묘상(苗床) 파종시기대(播種時期對) 육묘일수(育苗日數)는 4월10일 파종(播種)에 30일간(日間)의 육묘(育苗)였다

  • PDF

페놀화합물 처리 Agrobacterium 및 세포벽 약화 들깨새싹을 이용한 형질전환과 재조합 단백질 발현 (Transformation of Cell Wall-weakened Perilla Seedlings Using Phenolic Compound-treated Agrobacterium Cells and Recombinant Protein Expression)

  • 정일경;신동일;박희성
    • KSBB Journal
    • /
    • 제24권6호
    • /
    • pp.598-601
    • /
    • 2009
  • 들깨묘는 재배가 용이하며 건강채소로 애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발아 후 2일째의 들깨묘에 대하여 세포 상해를 일으킬 수 있는 NaOH/SDS 용액을 처리하고 페놀 화합물을 처리한 재조합 Agrobacterium 세포를 이용하여 형질 전환을 수행하였다. 형광분석에 의한 GUS 유전자발현 분석에서 50 mM acetosyringone 처리 및 0.5% NaOH /0.01% SDS 처리의 복합처리에 의하여 가장 높은 GUS활성이 나타났으며 상승효과를 제시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hepatitis B virus antigen (HBsAg) 단백질 발현으로 성공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고온에서 $GA_3$처리가 자소의 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A_3$ on Germination of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KUDO under High Temperature)

  • 이중호;권지웅;이승엽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98-204
    • /
    • 2001
  • 자소엽의 연중생산에 필요한 파종전처리 기술을 확립하기 위하여, 자소종자의 $GA_3$ 처리시 적정 처리농도, 침지시간 및 고온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고, 만기파종시 포장에서 $GA_3$ 처리, 복토깊이 및 왕겨피복 등이 출아에 미치는 상호작용을 비교하였다. $GA_3$ 처리농도에 따른 발아특성은 100 ppm에서 가장 좋았으며, 100 ppm $GA_3$ 처리시 종자의 침지시간에 따른 발아특성은 12시간 이상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발아온도에 따른 100 ppm $GA_3$ 처리효과는 온도가 높을수록 발아속도와 발아일수가 빨라졌으며, 11일째에는 발아온도에 관계없이 95%이상의 높은 발아율을 보였으나, 무처리구는 $20^{\circ}C$ 이상 온도가 높을수록 발아율이 낮았다. 만기파종시 출아율은 파종시기에 관계없이 100 ppm $GA_3$용액에 침지파종후 5 mm의 복토와 10 mm 왕겨피복구에서 가장 높았다.

  • PDF

들깨(Perilla frutescens)와 쑥(Artemisia asiatics)잎으로부터 휘발성 타감 작용 성분의 분리 (Isolation of Volatile Allelochemicals from Leaves of Perilla frutescens and Artemisia asiatica)

  • 임선욱;서영호;이영근;백남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7권2호
    • /
    • pp.115-123
    • /
    • 1994
  • 본 연구는 들깨와 쑥 잎의 휘발성 타감작용을 확인하고, 그 성분을 동정하려 한 것이다. 휘발성분을 벼, 무우, 녹두, 상치를 대상으로 생물검정하여 휘발성 타감작용을 확인했다. 휘발성분을 headspace cold trapping-Tenax GC 흡착으로 분리하여 들깻잎으로부터 terpenoid 4종, aldehyde 3종, alcohol 3종, 탄화수소류 3종, 기타 성분 1종을 동정하였으며, 쑥으로부터는 terpenoid 9종, aldehyde 3종, alcohol 1종, 기타 성분 1종을 검출하였다. 한편, 수증기 증류-추출로 포집한 경우에는, 들깻잎으로부터 terpenoid 2종, alcohol 2종의 동정되었으며, 쑥 잎으로부터는 terpenoid 6종, alcohol 1종, 탄화수소류 1종, 기타 성분 2종이 검출되었다. 수증기 증류-추출로부터 나누어진 각 분획을 무우를 대상으로 생물검정한 결과 중성 분획이 가장 타감작용 활성이 컸다. 휘발성 타감작용 성분을 분리하기 위해 이를 GC-MS로 분석한 결과, 들깨로부터 terpenoid 7종과 alcohol 2종 등 9종을 동정하였고, 쑥으로부터 terpenoid 15종과 alcohol 3종, aldehyde 1종, 탄화수소류 2종, 기타 성분 3종 등 24종을 동정하였다.

  • PDF

Evaluation of the Amount of Nitrogen Top Dressing Based on Ground-based Remote Sensing for Leaf Perilla (Perilla frutescens) under the Polytunnel House

  • Kang, Seong-Soo;Sung, Jwa-Kyung;Gong, Hyo-Young;Jung, Hyung-Jin;Kim, Yoo-Hak;Hong, Soon-Dal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598-607
    • /
    • 201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amount of nitrogen (N) top dressing based on the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ices (NDVI) by ground based sensors for leaf perilla under the polyethylene house. Experimental design was the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for five N fertilization levels and conventional fertilization with 3 and 4 replications in Gumsan-gun and Milyang-si field, respectively. Dry weight (DW), concentration of N, and amount of N uptake by leaf perilla as well as NDVIs from sensors were measured monthly. Difference of growth characteristics among treatments in Gumsan field was wider than Milyang. SPAD-502 chlorophyll meter reading explained 43.4% of the variability in N content of leaves in Gumsan field at $150^{th}$ day after seedling (DAS) and 45.9% in Milyang at $239^{th}$ DAS. Indexes of red sensor (RNDVI) and amber sensor (ANDVI) at $172^{th}$ day after seedling (DAS) in Gumsan explained 50% and 57% of the variability in N content of leaves. RNDVI and ANDVI at $31^{th}$ DAS in Milyang explained 60% and 65% of the variability in DW of leaves.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NDVI and N application rate, ANDVI at $172^{th}$ DAS in Gumsan explained 57% of the variability in N application rate but non significant relationship in Milyang field. Average sufficiency index (SI) calculated from ratio of each measurement index per maximum index of ANDVI at $172^{th}$ DAS in Gumsan explained 73% of the variability in N application rate. Alth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NDVIs and growth characteristics was various upon growing season, SI by NDVIs of ground based remote sensors at top dressing season was thought to be useful index for recommendation of N top dressing rate of leaf perilla.

상토 및 트레이 종류에 따른 종실용 들깨의 육묘 특성 (Seeding Soils and Tray Types Mediate Growth Characteristics of Perilla Seedlings)

  • 박진기;한원영;한길수;류종수;원옥재;정태욱;윤영호;배진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5권1호
    • /
    • pp.63-71
    • /
    • 2020
  • 본 연구는 기존 채소 정식기를 활용하여 기계화율이 낮은 종실용 들깨를 대상으로 육묘 기계정식 재배 시 적합한 상토, 트레이, 육묘일수를 설정하고자 2017년부터 2018년까지 2년간 수행하였으며,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들깨의 지상부 생육은 수도용 경량인 R1 상토가 가장 좋았으며, 주요 성분비는 질석(Vermiculite) 41.0%, 코코피트(Cocopeat) 31.0%, 황토(Red-yellow soil) 20.0%, 피트모스(Peatmoss) 5.7% 등을 포함하고 있다. 2. 묘를 직접 뽑아서 공급하는 반자동 정식기를 사용할 경우 128~220공 트레이와 수도용 경량 상토에서 23일 육묘가 적정한 것으로 판단된다. 3. 128공 전용트레이를 사용하는 꽂아내기식 정식기는 매트형성과 초장을 고려하면 수도용 경량 상토에서 23일 정도 육묘가 적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4. 220공 전용트레이를 사용하는 밀어내기식 정식기는 줄기를 잡고 정식하기 때문에 초장이 15 cm 이상 되어야 가능하다. 220공에서 15 cm 이상으로 육묘하는 것이 어려워 기계정식에는 부적정한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