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illa seed and oil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19초

채소의 전통 조리법 - 나물.생채.쌈을 중심으로 - (The Traditional Method for Preparing Korean Vegetable Dishes - Especially about Na mul.Seng chae.Ssam -)

  • 조후종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39-347
    • /
    • 1998
  • Korean vegetable dishes-Na mul are indigenous and popular foods for a long time, and have been eaten by not only the common people but also the royale people in the ordinary meal and customary affairs. Grains are principal item of diet for Koreans and additions of Na mul in diet provide the nutritional minerals and vitamins. Especially vegetable oils in seasoning played the important role in nutrition balance. This manuscript historically investigate the Korean vegetable dishes-especially Na mul, Seng chae, Ssam, and the vegetables, additional ingredients and seasonings. 1. Foreign vegetable were introduced very actively. As the result of it, the more variety of vegetables are available. 2. Vegetable oils such as sesame oil, perilla oil, roasted sesame seed and pine nuts, etc were widely used for seasonings. 3. Seng chae dishes had been prepared with more than two different kinds of vegetables. Seasonings are used from the various sources, and combination of ingredients and development of condiments are expected to research further. 4. Ssam foods basically used uncooked vegetables, but steaming and boiling are also common methods.

  • PDF

오일 급여가 돈육의 저장 중 물리ㆍ화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eding Dietary Oils on Physico-Chemical Changes of Pork during Storage)

  • 진상근;김일석;송영민;정기화;이성대;김희윤;남기윤;하경희;강양수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27-235
    • /
    • 2003
  • 비육후기 돼지 사료에 우지 5%를 첨가하여 급여한 돈육(대조구), 우지 3%와 들깨유 2%를 혼합하여 급여한 돈육(T1), 우지 3%와 오징어유 2%를 급여한 돈육(72), 우지 3%와 CLA 2%를 급여한 돈육(T1)을 1$\pm$1$^{\circ}C$에서 28일간 저장하면서 육짙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pH는 대조구가 나머지 세 급여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저장기간 경과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보수력은 처리간에는 일정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대조구와 T3는 계속 증가하였으며, T1과 T2는 14일까지 증가 후 감소하였다. 단백질 용해성은 T3가 나머지 세 급여구보다 높았으며,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모든 급여구가 14일까지 증가 후 감소하였다. 육색 분석결과 a*값은 저장 28일 대조구가 나머지 세 급여구보다 높은 반면 b값은 낮게 나타났다. VBN은 T3가 가장 높고 T1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TBARS는 T2와 T3가 대조구와 T1보다 높게 나타났다. 신선육의 관능검사 결과 육색과 기호성은 대조구가 나머지 세 급여구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외관은 T1이 나머지 세급여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식물성유 대체 급여로 돈육의 품질특성에는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불포화지방산의 증가로 인해 산화가 촉진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항산화제를 함께 급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리라 사료된다.

자소(紫蘇)의 산지별(産地別) 화학조성(化學組成) -제일보(弟一報) 지질(脂質)의 특성(特性) 및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 (Chemical Composition of Perilla frutescens Britton var. Crispa Decaisne Cultivated in Different Areas of Korea -Part 1. Characteristics of Lipid and Fatty Acid Composition-)

  • 박호식;김정기;조무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4권4호
    • /
    • pp.224-229
    • /
    • 1981
  • 한약재(韓藥材)로서 널리 이용(利用)되고 있는 자소(紫蘇)(Perilla frutescens Britton var. crispa Decaisne)를 지역별(地域別)(광주(廣州), 대구(大郎), 제주(濟州))로 배양(培養) 하여 얻은 종실(種實)의 일반성분(一般性分), 무기성분(無機成分) 및 지방(脂肪)의 여러가지 특성(特性)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자소종실(紫蘇種實)의 일반성분(一般成分)은 단백질함량(蛋白質含量)이 15%정도로서 산지별(産地別) 차이가 거의 없었으나 조지방(粗脂肪)은 28(제주(濟州))${\sim}$34%(대구(大邱)), 탄소화물(炭水化物)은 40(대구(犬邱))${\sim}$44%(제주(濟州))로서 산지별(産地別)로 상당한 차이(差異)가 있었다. 2. 무기성분(無機成分)의 함량(含量)은 $K(426{\sim}446mg%)$, $SiO_2(197{\sim}229m%)$, $Ca(124{\sim}136mg%)$가 비교적 많고 P, Mg, Zn, Mn, Fe 등(等)은 $30{\sim}56mg%$로서 서로 비슷한 함량(含量)을 나타내었다. 무기성분(無機成分)중 Fe 및 Mn의 함량(含量) 산지별(産地別)로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다른 무기성분(無機成分)은 산지별(産地別)로 별차이가 없었다. 3. 자소유지(紫蘇油脂)의 염화가는 $194{\sim}199$, 요오드가(價)는 $196{\sim}200$, 산가(酸價)는 $4{\sim}5$로서 산지별(産地別)로는 거의 차이(差異)가 없었으나 다른 식물유(植物油)에 비하여 요오드가(價)가 현저하게 높았다. 4. 자소유지(紫蘇油脂의) 조성(組成)으로서 triglyreride가 전체(全體)의 $92{\sim}95%$, 불염화물이 $1.7{\sim}1.9%$, phospholi-pid가 $1.2{\sim}1.3%$, free fatty acid가 $0.7{\sim}0.9%$, free sterol이 $1.1{\sim}1.4$이며 sterol이 주구성분(主構成分)으로 되여 있는 불염화물의 함량(含量) 및 phospholipid의 함량비(含量比)가 다른 식물유지(植物油脂)에 비하여 상당치 높았다. 5. 전체지방조성(全體脂肪組成)으로서 불포화지방산함량(不飽和脂肪酸含量)이 현저히 많으며 그중에서도 linolenic acid가 전체(全體)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각지방(各脂肪) fraction별(別)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은 phospholipid의 구성지방산(構成脂肪酸)이 triglyceride 구성지방산(構成脂肪酸)에 비(比)하여 포화지방산(飽和脂肪酸)인 palmitate의 함량(含星)이 현저히 높았고 sterylglycoside 구성지방산(構成脂肪酸)이 sterylester 구성지방산(構成脂肪酸)에 비(比)하여 불포화지방산함유비율(不飽和脂肪酸含有比率)이 매우 높았다. 산지별(産地別)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 차이(差異)를 보면 total fatty acid 조성(組成)에는 큰차이가 없었으나 phospholipid 구성지방산조성(構成脂肪酸組成)에는 큰 차이가 있어 광주산(廣州産)의 경우 palmitate의 함량비(含量比)가 24%인데 비하여 대구산(大邱産)은 11.8%로서 2배(倍)이상의 차이(差異)를 보여 주었다.

  • PDF

헥산 추출 종실유의 지방산 분석 및 3T3-L1 지방세포의 지방 축적과 랩틴 분비에 미치는 영향 연구 (Analysis of Seed Oil Fatty Acids and Their Effect on Lipid Accumulation and Leptin Secretion in 3T3-L1 Adipocytes)

  • 김태우;김경곤;강윤환;김대중;이정일;최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103-110
    • /
    • 2015
  • 본 연구에는 고추씨기름, 녹차씨기름, 들깨기름, 땅콩기름, 목화씨기름, 참깨기름, 호두기름, 홍화씨기름의 fatty acid 구성을 분석하여 oleic acid, linoleic acid 등의 불포화 지방산이 과반이상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들깨기름은 특이하게 linolenic acid(57.8%)가 과반이상 함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원재료의 일반성분과 추출한 기름의 품질을 측정하여 식용유 및 튀김용 기름으로 사용하기에 식품공전의 식용유지 및 튀김용유지의 기준 및 규격에 잠재적으로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종실유들의 생리활성을 예측하기위해 세포독성, 지방축적 및 leptin 방출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실험에 사용된 모든 종실유가 0.2 mg/mL 이하에서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고추씨기름(67%, 0.05 mg/mL), 들깨기름(63%, 0.05 mg/mL; 72%, 0.1 mg/mL), 땅콩 기름(58%, 0.05 mg/mL; 68%, 0.1 mg/mL)의 처리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p<0.01, p<0.001)에서 3T3-L1 세포내 지방축적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고추씨기름(119%, 0.1 mg/mL), 들깨기름(119%, 0.05 mg/mL), 땅콩기름(122%, 0.05 mg/mL; 136%, 0.1 mg/mL), 참깨기름(139%, 0.05 mg/mL; 147%, 0.1 mg/mL), 호두기름(115%, 0.1 mg/mL), 홍화씨기름(114%, 0.1 mg/mL)의 처리가 3T3-L1 세포에서 leptin의 분비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p<0.05, p<0.01, p<0.001) 증가시키는 것이 관찰되었다. 종실유의 정제 및 대량생산 공정개발 등의 향후 연구가 많이 남아있지만 본 연구를 통해 다양한 종류의 종실유들이 식용유소재 및 요리재료로 사용될 수 있는 잠재적 가능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유효한 생리활성을 포함하고 있어 기능석 소재로의 개발가치가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로 얻은 도라지 종자유의 기능성 및 에멀젼 특성 (Functional and Emulsifying Properties of Balloonflower Seeds Oil Extracted by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 김양지;임지영;김인호;김석중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226-236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사용해 도라지(balloonflower, Platycodon grandiflorum A. DC) 종자로부터 추출한 유지의 기능성과 에멀전 특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종자에 비해 도라지 종자유는 총 polyphenol(8 mg/100 g)의 함량이 낮았으나 ${\alpha}$-tocopherol(14.15 mg/ 100 g), ${\beta}$-sitosterol(116 mg/100 g) 및 stigmasterol(8 mg/100 g)의 함량은 높았다. DPPH 라디칼 소거능으로 분석한 종자유($IC_{50}=1235.5{\mu}g/mL$)의 항산화능은 종자($IC_{50}=1138.2{\mu}g/mL$)와 유사하였다. 1%(w/w) lecithin 농도에서 도라지 종자유를 사용해 제조한 에멀젼은 탁도, 지방구 입자 크기 및 형상, 유화안정성에서 콩기름을 사용한 에멀젼과 유사하였으나 들기름 사용 에멀젼보다는 탁도 및 유화안정성이 낮았고 지방구 입자는 크게 나타났다. 도라지 종자유 에멀젼의 표면장력은 들기름 에멀젼과 유사하였다.

저장조건(貯藏條件)이 들깨유(油) 및 참깨유(油)의 산패도(酸敗度)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Storage Conditions on Rancidity of Perilla and Sesame Seed Oils)

  • 김혜경;이양자;이기열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2권1호
    • /
    • pp.51-58
    • /
    • 1979
  • It is a general trend everywhere that the uses of vegetable oils are increasing due to the fact that they are effective in curing and preventing symptoms of high blood pressure and various heart failure conditions. At the same time the concept that oxidative rancidity is caused by the oxidation of unsaturated fatty acid moieties whose subsequent decomposition gives rise to various undesirable, sometimes toxic compounds is now well accepted. Linolenic acid (C, 18:3) is one of highly unsaturated and readily oxidizable fatty acid. The content of this essential polyunsaturated fatty acid in perilla seed oil (PSO) was found to be as high as 48% while only 1.5% in sesame seed oil (SSO). In this experiment the oxidative stability of PSO was compared with that of SSO. The experimental test group were as follows: A) Stored at different temperatures, namely $4^{\circ}C,\;30^{\circ}C,$ and $60^{\circ}C,$ B) Stored at room temperature $(20{\pm}5^{\circ}C)$ ; a. protected from sunlight and air, b. exposed to air without sunlight c. exposed to sunlight but protected front air, d. completely exposed to both air and sunlight.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It was found to be most stable against oxidation to store both PSO and SSO under the low temperature $(4^{\circ}C)$ condition. According to P.V. measurements it was found to be safe to keep both oils up to $30^{\circ}C$ for at least 8 weeks. When exposed to air, sunlight and high temperature $(60^{\circ}C)$, P.V. of PSO reached there peak values, which were much higher than those of SSO. This explains much of its instability as compared to SSO against oxidation. 2) The effect of high temperature $(60^{\circ}C)$ on A.V. was found to be more striking than those of all the other storage conditions. The condition of refrigeration was most effective in keeping A.V. low for both oils as was the case in P.V. 3) For both oils, I.V. decreased throughout the experimental period (8 weeks). The range of decrement was larger for PSO than SSO. 4)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compositions of fatty acids of SSO caused by various experimental storage conditions. But for PSO the compositions of stearic, oleic and linoleic acid were decreased, whereas linolenic acid was increased proportionally.

  • PDF

들깨 지방수집종의 기름함량 및 오메가 지방산 조성 차이 (Varietal Difference of Oil Content and Omega Fatty Acid omposi tion in Korea Local Perilla)

  • 류수노;이정일;이효승;박충범;성병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560-565
    • /
    • 1993
  • 우리나라 들깨 수집 재래종 317품종을 공시하여 기름 함량과 오메가 지방산 조성등을 분석 조사하여 고함유 오메가-3 지방산 품종육성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시험을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공시 들깨 317품종의 기름 함량은 35.6~55.3% 범위에 있으며 평균치는 44.5%이었다. 2. 공시 317품종의 총 불포화지방산은 92.2%였으나, 포화지방산 함량은 7.8%였으며 지방산조성은 ${\omega}$-9 지방산 (Oleic acid) 함량변이는 9.5~21.37% (평균 15.2%), ${\omega}$-6 지방산(linoleic acid) 함량변이는 9.1~20.4%(평균 13.9)이었으며 ${\omega}$-3 지방산(linolenic acid)은 50.6~70.5% (평균 63.1%)의 변이를 보였다. 3. ${\omega}$-6/${\omega}$-3 지방산의 비율은 0.13~0.34%(평균 0.22%)의 변이를 보였다. 3. ${\omega}$-6/${\omega}$-3 지방산의 비율은 0.13~0.34%(평균 0.22%)의 변이를 보였다. 4. ${\omega}$-3계 지방산 함량은 경북 예천종이 70.5%로 가장 많으면서 ${\omega}$-6/${\omega}$-3 지방산의 비율이 0.13으로 그 함량차이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5. 경남 고성종은 ${\omega}$-6/${\omega}$-3 지방산의 비율이 0.13으로 그 함량차이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6. 기름 함량과 stearic acid와 ${\omega}$-3계 지방산과는 유의적인 정 상관이었으며 ${\omega}$-6계 지방산과는 고도의 유의한 부의 상관을 보여주었다. ${\omega}$-3계 지방산은 ${\omega}$-6/${\omega}$-3 지방산 비율 및 포화지방산과 고도로 유의한 부의 상관을 보였으며 포화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간에는 고도의 유의적인 부의 상관이 되었다.

  • PDF

특용작물의 품질평가 현황과 전망 (Trend and Prospects for the Quality Evaluation of Industrial Crops)

  • 류수노;이봉호;박장환;장영석;김관수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02년도 춘계 학술대회지
    • /
    • pp.63-68
    • /
    • 2002
  • Quality of industrial crops is considered to have three categories : the nutritional value, functional value, shape and appearance. The frame of this article are composed of five section : major oil crops, sesame, perilla, peanut, rape seed, and medicinals. The authors are reviewed and discussed on the current status and prospects of the quality evaluation and researches in industrial crops to provide and refers the condensed informations on the their quality.

  • PDF

$\omega$3계 및 $\omega$6계 지방산 식이가 흰쥐의 모유와 혈청의 지방산 성분 및 비타민 E 수준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mega$3 and $\omega$6 Polyunsaturated Fatty Acid Diets on Fatty Acid Composition and Vitamin E Levels in Milk and Serum of the Rat)

  • 황혜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7권2호
    • /
    • pp.141-152
    • /
    • 1994
  • The effects of feeding diets with different fatty acids on the composition of fatty acids and vitamin E status in maternal milk & serum and pup's serum were studied. Dietary fats(10% by wt) include on oil(CO), soybean oil(SO), perilla seed oil(PO : about 60% , C18 : 3 $\omega$3) and fish oil(FO : rich in C20 : 5$\omega$3, eicosapentaenoic acid = EPA & 22 : 6$\omega$3, docosahexaenoic acid = DHA), Sprague-Dawley rats weighing 200-250g, were fed experimental diets from pregnancy through lactation period. Maternal milk was obtained by gentle squeezing after 30 minutes of oxytocin(0.2 IU, intraperitoneal) injection. The fatty acid compositions of milk and serum were analyzed at day-2 and day-15. The concentrations of vitamin E in maternal milk and serum and pup's serum were also analyzed. The groups of CO, SO and PO which had no DHA in their diet, contained DHA in their milk, The rations of EPA+DHA/arachidonic acid(AA) were higher in PO group than those in either CO or SO group. This seemed to be due not only to more conversion from C18 : 3$\omega$3 to C20 : 5$\omega$3 and C22 : 6$\omega$3 but also to inhibition of C18 : 2$\omega$6 conversion to C20 : 4$\omega$6. More DHA was found in day-2 milk than in day-15 milk. It was also noted that milk contained more DHA was found in day-2 milk than in day-15 milk. It was also noted that milk contained more DHA than serum and this difference was larger in day-2 than in day-15 milk. Even though the concentrations of vitamin E both in maternal serum and milk were lower in PO and FO groups fed highly unsaturated fat than in CO or SO groups, pup's serum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all the experimental groups indicating that the pups man secure their essential nutrients by the biomagnification mechanism.

  • PDF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추출된 도라지 종자유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Platycodon grandiflorum Seeds Oil Extracted by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 김양지;임지영;김석중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99-110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을 이용해 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m A. DC) 종자로부터 유지를 제조하여 새로운 식용유지로서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Soxhlet 용매 추출에 비해 6,000 psi 압력 및 $40^{\circ}C$ 온도조건에서의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로 더 많은 유지를 얻을 수 있었고 특히 볶은 종자로부터는 32.7%까지 얻을 수 있었다. 볶은 종자로부터 얻은 초임계 도라지 종자유는 시판 대두유나 들깨유와 마찬가지로 대부분 중성지질로 구성되어 있음을 TLC 분석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이 유지는 고도로 불포화된 지질로 대두유나 들깨유보다 linoleic acid(73.27%) 함량이 훨씬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oleic acid(13.16%) 함량이 높았다. 유지의 물리화학적 특성으로, 비중 0.92, 점도 45.37 cP, 굴절률 1.48, 색도 L=47.30, a=-3.69, b=25.72, 요오드가 141.57 g $I_2/100g$ oil, 비누화가 191.21 mg KOH/g oil, 산가는 2.60 mg KOH/g oil 였다. 이런 특성들 중에서 지질의 불포화도와 관련이 있는 굴절률, 점도 및 요오드가는 두 시판 유지들의 중간값을 나타내었다. Rancimat 법으로 측정한 산화유도기간을 비교한 결과에서도 초임계 추출 도라지 종자유(2.03 hr)는 대두유(2.94 hr)보다는 낮으나 들깨유(1.79 hr)보다는 높은 중간값을 나타내었다. 종자 볶음 공정은 유지의 추출 수율을 증가시킬뿐만 아니라 콜레스테롤에스터 함량과 산가 감소에 긍정적 효과도 있었다. 이상으로부터,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을 통해 볶은 도라지종자로부터 높은 수율로 유지를 제조할 수 있었고 이 유지는 식용유지로서 적합한 특성을 가진다고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