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rietal Difference of Oil Content and Omega Fatty Acid omposi tion in Korea Local Perilla

들깨 지방수집종의 기름함량 및 오메가 지방산 조성 차이

  • Published : 1993.12.0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basic information for breeding materials on the oil quality improvement of perilla seeds. Oil contents and omega(${\omega}$)fatty acid compositions of seeds were investigated to 317 varieties of domestic perillas. Oil contents of 317 perilla varieties ranged from 35.6 to 55.3 with 44.5% of varietal mean. The major omega fatty acids contained in the oil were oleic acid(${\omega}$-9) 15.2%, linoleic acid(${\omega}$-36) 13.9% and linolenic acid(${\omega}$-3) 63.1% in the mean value. Varietal variation of $\omega$-9, 6 and 3 fatty acids ranged of 9.5~21.4%, 9.1~20.4% and 50.6~70.5% respectively. Unsaturated fatty acid were averaged 92.2% of seed oil in fatty acid composition. The ratios of ${\omega}$-6 to ${\omega}$-3 ranged of 0.13~0.34%(0.22% in mean value). The highest linolenic acid variety was Yecheonjong being 70.5%. The lowest variety in rations of ${\omega}$-6 to ${\omega}$-3 was Goseongjong being 0.13%. Oil content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stearic acid and linolenic acid, while the negative correlation with oil content and linoleic acid. On the other han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ere showed between lionolenic acid and the ratios ${\omega}$-6 / ${\omega}$-3 fatty acid, saturated fatty acid. Saturated fatty acid was highly correlated with unsaturated fatty acid negatively being r=-0.723$^{**}$

우리나라 들깨 수집 재래종 317품종을 공시하여 기름 함량과 오메가 지방산 조성등을 분석 조사하여 고함유 오메가-3 지방산 품종육성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시험을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공시 들깨 317품종의 기름 함량은 35.6~55.3% 범위에 있으며 평균치는 44.5%이었다. 2. 공시 317품종의 총 불포화지방산은 92.2%였으나, 포화지방산 함량은 7.8%였으며 지방산조성은 ${\omega}$-9 지방산 (Oleic acid) 함량변이는 9.5~21.37% (평균 15.2%), ${\omega}$-6 지방산(linoleic acid) 함량변이는 9.1~20.4%(평균 13.9)이었으며 ${\omega}$-3 지방산(linolenic acid)은 50.6~70.5% (평균 63.1%)의 변이를 보였다. 3. ${\omega}$-6/${\omega}$-3 지방산의 비율은 0.13~0.34%(평균 0.22%)의 변이를 보였다. 3. ${\omega}$-6/${\omega}$-3 지방산의 비율은 0.13~0.34%(평균 0.22%)의 변이를 보였다. 4. ${\omega}$-3계 지방산 함량은 경북 예천종이 70.5%로 가장 많으면서 ${\omega}$-6/${\omega}$-3 지방산의 비율이 0.13으로 그 함량차이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5. 경남 고성종은 ${\omega}$-6/${\omega}$-3 지방산의 비율이 0.13으로 그 함량차이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6. 기름 함량과 stearic acid와 ${\omega}$-3계 지방산과는 유의적인 정 상관이었으며 ${\omega}$-6계 지방산과는 고도의 유의한 부의 상관을 보여주었다. ${\omega}$-3계 지방산은 ${\omega}$-6/${\omega}$-3 지방산 비율 및 포화지방산과 고도로 유의한 부의 상관을 보였으며 포화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간에는 고도의 유의적인 부의 상관이 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