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illa seed

검색결과 188건 처리시간 0.028초

들기름의 산화방지 성분 분리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Isolation of Antioxidative Components of Perilla Oil)

  • 김충기;송근섭;권용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690-695
    • /
    • 1994
  • 들깨와 들깨 증자를 $25{\sim}28^{\circ}C$ 에서 $2{\sim}3$일간 발아시켜 얻은 발아들깨로부터 n-hexane으로 들기름을 추출한 후 이들 2종류의 틀기름에 함유되어 있는 산화방지 성분을분리하고, 발아에 외한 산화방지 성분의 함량 변화가 틀기름의 산화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들기름을 acetone 및 methanol에 용해시켜 동결처리한 다음 분리된 불용성 획분의 산화안정성을 측정한 결과 들기름에 존재하는 산화방지성 물질은 methanol에 용해성이 강한 성분임을 확인하였다. 들기름에서 분리된 methanol 가용성 획분을 silica gel column chmmato-graphy로 분획하여 산화방지 활성을 검정한 결과 n-hexane : ethyl acetate의 비가 7 : 3인 획분에서 가장 높은 산화방지 활성을 나타내었다. 산화방지 활성이 가장 높았던 획분을 TLC로 분리한 결과 3개의 band가 확인되었다. 이중 $R_f$치 0.71인 band핀가 가장 높은 산화방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 band에 존재하는 산화방지 성분은 phenol성 화합물로 추청되었다. TLC에 의하여 분리된 산화방저 성분을 다시 HPLC에 의하여 분러한 결과HPLC chromatogram상에서 4가지 활성물질 peak가 분리되었다. 이들 peak중 들깨에서는 P 1, P 2의 함량이 각각 46.5%, 25.6%이었고 P 3의 함량은 22.6%이었으나, 발아들깨에서는 P 1, P 2의 함량이 각각43.8%, 20.6%로 약간 감소한 반면 P 3 함량은 29.8%로 상당량 중가하였다. 이와 같이 HPLC 분석에서 분리된 4가지 peak중 발아에 의해 P 1, P 2의 활성물질 함량은 상대적으로 감소하고 P 3의 활성물질 함량은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이들 물질외 함량 변화에 의해서도 들깨 및 발아들깨로부터 추출한 들기름의 산화안정성이 다르게 나라나는것으로 추청되었다.

  • PDF

들깨 및 들기름의 자외선 조사 중 지방질 산화와 산화방지제의 변화 (Oxidative Stability and Antioxidant Changes in Perilla Seeds and Perilla Oil Affected by UV Irradiation)

  • 왕선영;최은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8-13
    • /
    • 2012
  • 자외선 조사는 들깨와 들기름에서 지방질 산화를 유발하였으며 들기름에 비해 들깨의 산화안정성이, 볶은 들깨에 비해 생 들깨의 유지 산화안정성이 우수하였다. 자외선 조사 중 들깨와 들기름에 존재하는 토코페롤과 폴리페놀 화합물은 분해되었으며 분해 속도는 들기름보다 들깨에서, 볶은 들깨보다 생 들깨에서 높았다. 또한 자외선 조사 중 들깨에 비해 들기름이 산화방지제 농도에 더욱 민감하게 영향을 받았으며, 토코페롤에 비해 폴리페놀 화합물이 들깨 및 들기름의 산화방지에 높은 기여도를 보였다.

들깨(Perilla ocimoides L.)종자(種字)의 단백질(蛋白質) 분리(分離)에 따른 Phytate와 질소(窒素)의 용해도(溶解度) (The Solubility of Nitrogen and Phytate According to the Isolation of Perilla Seed Protein)

  • 윤형식;이재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2권4호
    • /
    • pp.321-326
    • /
    • 1989
  • 탈지들깨종자박의 질소용해도는 $pH\;4.0{\sim}5.0$에서 최저수준을 보였으며, pH11.0에서는 92.3%로 최고용해도를 나타내었다. Phytate의 용해도는 pH 4.8에서 최고수준을 나타내었으며 $pH\;8.0{\sim}11.0$에서는 $9.4{\sim}8.3%$로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원심력이 추출액 중의 질소량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는 미미하였으나 phytate의 양과 혼탁도는 원심력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다가 8,000 rpm 이상에서 거의 일정수준을 유지하였다. 추출온도의 상승$(5{\sim}60^{\circ}C)$에 따라 종자박의 졸소 및 phytate의 용해도는 증가하였으나 증가폭은 미미하였다. pH 0.5에서 $CaCl_2$의 첨가는 phytate의 용해도를 크게 감소시켰는데 $50mM\;CaCl_2$ 용액에서는 거의 0%에 가까운 용해도를 나타내었다. 들깨종자 분리단백질의 질소 및 phytate의 용해도는 pH의 상승에 따라 모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pH 11.1에서 10mM $CaCl_2$ 첨가는 phytate의 용해도를 80.5%에서 약 10%로 감소시켰다. 탈지들깨종자박의 조단백질과 phytate 함량은 각각 60.1%와 5.0%였으며, 분리단백질은 각각 89.6%와 1.1%였다.

  • PDF

들깨의 성분개량 연구 III. 들깨 품종의 단백질 함량과 아미노산 조성 (Quality Improvement in Perilla III. Varietal Differences of Protein Content and Amino Acid Composition in Perilla)

  • 이정일;박충범;손석용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5-22
    • /
    • 1993
  • 들깨 국내 수집 유전자원 80종에 대한 종실의 단백질 함량과 아미노산 조성을 분석 조사하여 고단백 양질 아미노산 품종육성에 오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시험을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들깨 종실의 단백질 함량은 최고 28.5%, 최저 17,9%, 평균 24.6%였다. 2. 단백질 함량은 숙기와 천입중에 따라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종피색에서는 암갈색에서 백색에 가까울수록 높았는데 암갈색에 비해 은회색은 1.4% 더 높았다. 3. 들깨 수집 유전자원 80종의 총 필수아미노산은 품종에 따라 최고 44.85%, 최저 36.41%, 평균 40.55% 였으며 일반 아미노산 함량은 최고 60.01%, 최저 47.23%, 평균 55.29%였다. 4. 필수 아미노산 함량과 종피색간에는 고도의 정상관(r=0.3389**) 관계로서 종피색이 암갈색에서 백색에 가까울수록 높은 경향이었다. 5. 들깨에서 필수 아미노산중 함량이 많은 것은 arginine과 leucine, 가장 적었던 것은 methionine 이었고, 일반 아미노산중 함량이 많은 것은 glutamic acide와 asparagine이었다. 6. 필수아미노산 중에서 lysine, methionine, valine 등의 평균함량은 FAO 권장량 보다 높았다.

  • PDF

들깨종자의 성숙과정중 당지방질과 인지방질의 변화 (Changes' of glycolipids and phospholipids during maturation of perilla seed(Perilla frutescens))

  • 민용규;김재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5권3호
    • /
    • pp.146-151
    • /
    • 1992
  • 들깨종자의 지방질 변화를 규명하기 위하여 수원 10호와 제주의 두 품종을 시료로 하여 성숙과정중에 지방질의 구성성분과 지방산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종자의 성숙중당 및 인지방질은 감소하였다. 완숙종자의 지방질을 구성하는 당, 인지방질은 수원 10호에는 25.4%, 4.5% 들어 있었고 제주에서는 44.5% 및 4.0% 들어 있었다. 에테르추출 당지방질의 주요성분은 세레브로시드, 갈락토실 디글리세리드 및 모노갈락토실 디글리세리드였다. 완숙 종자의 에테르추출 당지방질의 주요구성 지방산은 수원 10호가 리놀렌산이 51.1%로 올레산 19.4%보다 많았으나 제주는 올레산이 31.1%로서 리놀렌산 18.6%보다 많았다. 인지방질의 주요성분은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 글리세롤, 포스파티딜 에탄올아민,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 이었으며 그중 포스파티딜 글리세롤의 변화는 제주에서는 불규칙하나 수원 10호에서는 성숙기간에 따라 증가되었다가 후기에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메탄올추출 인지방질을 구성하는 주요 지방산은 올레산이 $28.7{\sim}35.2%$ 리놀렌산 $8.2{\sim}11.2%$, 리놀레산 $16.4{\sim}32.5%$ 및 팔미트산 $22.7{\sim}29.9%$ 범위에 있었다.

  • PDF

포도씨유, 들깨유 및 옥수수유의 급여가 흰쥐의 체내 지질패턴 및 간조직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Grape Seed Oil, Perilla Oil, or Corn Oil-Containing Diet on Lipid Patterns in Rats and Fatty-Acid Composition in Their Liver Tissues)

  • 강명화;박원종;이지현;정혜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8권1호
    • /
    • pp.3-10
    • /
    • 2005
  • 포도씨유의 생체 내 지질대사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고자 식이급원이 상이한 들깨유 및 옥수수유를 흰쥐에게 급여하여 체내 지질패턴 및 간조직의 지방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식이군과 고지방 식이를 급여받은 쥐의 체중은 7주까지 꾸준히 증가하였다. 그러나 일반식이에 들깨유을 급여받은 쥐는 7주 후 체중이 감소하였고 다른 유지군을 급여받은 군들은 8주째부터 감소하였다. 식이섭취량 은 고지방 식이군 보다 일반식이군이 높았고 식이효율은 일반식이에 들깨유을 혼합하여 급여한 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혈청 지질패턴 분석결과, 총지질 농도는 들깨유을 혼합한 일반식이군과 고지방 식이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중성지방과 인지질 농도는 일반식이군에게 들깨유 급여시 유의적으로 낮았다. HDL-C은 일반식이군이 고지방 식이군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일반식이군에 포도씨, 들깨유 및 옥수수유을 혼합하여 급여한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던 반면 고지방 식이군와 들깨유을 급여한 군에서 HDL-C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LDL-C은고지방식이군과 일반식이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는데, 특히 고지방식이에 들깨유을 급여한 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고 포도씨유 급여군도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HDL-ChDL-C 수치가 고지방식이 군에서 다른 식이지방에 비하여 PHF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던 것은 혈중 지질패턴을유익하게 바꾸어준 결과이며, 이로 인하여 동맥경화인자인Al 지수가 CHF군에 비해 PHF군과 GSHF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간조직의 총지방, 총콜레스테를 및 중성지방 함량은 일반식이군은 들깨유군에서 가장 낮았고 그다음이 포도씨유군 및 옥수수유군 순으로 관찰되었다. 간조직의지방산 조성 분석결과 고지방식이군은 포화지방산은 감소하였고 단일불포화 지방산과 다가불포화 지방산은 일반식이군에 비해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유지 급원에 따라함유하는 지방산 조성의 비율도 달라져 식이 급원에 의해 생체내 지방산 조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Extraction and Mixing Effects of Grape (Campbell) Seed Oil

  • Kang, Han-Chul;Min, Young-Kyoo;Hwang, Jong-Taek;Kim, Si-Dong;Kim, Tae-Su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2권4호
    • /
    • pp.175-179
    • /
    • 1999
  • Grape seed oil was extracted using different preparatory treatments as follows: (1) grinding, (2) grinding and roasting, (3) grinding and wet- roasting, (4) grinding, roasting, and wet-roasting, and (5) grinding, wet-roasting, and wet-roasting.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was obtained from the sample with the method (2). Initial states of oxidation were similar except method (1) that showed more oxidized state, being P.O.V.8. Acid values were observed in the range from 1.42 to 1.89. The lowest acid value was found as 1.42 in method (1) and those of others were somewhat higher, indicating that heating process of roasting produced some free fatty acids. From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the best odor and taste were obtained from the methods (2) and (3). Repetitive procedure of wet-roasting, like method 5, caused some loss of flavor components and decrease in the sensory evaluation score. Addition of grape seed oil (method 2) to soybean and perilla oil at the level of 20% retained considerable antioxidant activities as much as 4.3 and 5 times, respectively, than 100% soybean or perilla oil stored for 12 weeks. When soybean or perilla oil was mixed with 20% grape seed oils, P.O.V. decreased to half of that of unmixed oils.

  • PDF

탈지들깨박에서 분리한 페놀화합물의 항산화효과 (Antioxidant Effects of Phenolic Compounds Isolated from Deffated Perilla Seed Flour)

  • 이기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9-14
    • /
    • 1993
  • 탈지들깨박으로부터 추출한 유리페놀산, 페놀산 에스터 및 불용성 결합형 페놀산 형태의 페놀화합물들의 항산화효과를 일반 시판용 합성항산화제들과 비교하였다. Chlorogenic acid를 표준물로써 비색법으로 측정한 페놀화합물들의 총함량은 0.75%였고 총페놀산중 유리페놀산, 페놀산 에스터 및 불용성 페놀산 추출물이 차지하는 비율은 각각 87.5, 7.5, 5.0%였다. 이차원 전개법에 의한 paper chromatography 성분분석 결과 유리페놀산 형태의 추출물에서는 대부분의 폐놀화합물이 chlorogenic acid와 일치하였고 소량의 caffeic acid와도 일치되었으나, 페놀산 에스터와 불용성 결합형 페놀산 형태의 추출물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30g의 탈지들깨 종자박에서 추출된 각 형태의 페놀산 추출물들은 각각의 페놀함량 차이가 큼에도 불구하고 식용대두유 기질에서 0.02%(w/w) 농도로 첨가된 BHT와 비슷한 정도의 항산화 효과를 나타냈다.

  • PDF

황색고구마 및 수박 초임계이산화탄소 추출물이 들기름의 산화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dded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SC-CO2) Extracts from Sweet Potatoes (Ipomoea batatas L.) and Watermelon (Citrullus lantus L.) on Oxidative Stability of Perilla Seed Oil)

  • 이교연;김아나;이혜영;표민정;최성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56-364
    • /
    • 202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SC-CO2) extracts from sweet potatoes (SP) and watermelon (WM) on the oxidative stability of perilla seed oils (POs) over the existing ones. A comparison was done between the oxidative stability of perilla oil (PO) after the addition of 0.1% of SP, and WM extracts and PO without extract. The oxidative stability was measured based on the viscosity, acid value (AV), peroxide value (POV), antioxidant (DPPH) activity, p-anisidine value (p-AV), and fatty acid composition. The viscosities ranges were: PO without extract, from 53.99±0.99 to 74.38±1.61 cps, PO with SP extract, from 53.99±0.10 to 58.73±0.8 cps, and PO with WM extract, from 53.98±0.10 to 56.00±0.70 cps. While the PO containing the SC-CO2 extracts had significantly lower AV, POV, and p-AV, their antioxidant activity was approximately 10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PO without extrac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fatty acid composition between SC-CO2 extracts added groups and PO without extract (p<0.05).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SC-CO2 extracts from sweet potatoes and watermelon enhanced the oxidative stability of perilla seed oils, and are potential natural antioxidants for use in the food industry.

들깨 종자 활력 수준별 초저온 동결보존 후 발아율 및 Ascorbate Peroxidase 활성 변화 (Response of Germination Rate and Ascorbate Peroxidase Activity to Cryopreservation of Perilla (Perilla frutescens) Seeds with Variable Initial Viabilities)

  • 이영이;이명희;이정윤;이태윤;손은호;박홍재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56-262
    • /
    • 2017
  • 식물 종자를 비롯한 각종 유전자원을 액체질소에 저장하면 유전형질 특성의 손실 없이 장기간 보존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보존조건이 까다로워 단명 종자로 분류되는 들깨 종자를 초저온 동결저장 방법으로 보존할 수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수집한 들깨 품종별 종자의 초기 발아율은 40-95% 수준으로 다양하였는데, 수분함량을 3-8%로 조절한 종자를 액체질소에 처리하여도 발아율은 감소하지 않았다. 종자의 수분함량이 4-5%인 종자의 초저온 처리 후 발아율이 가장 높았으며, 초기 발아율이 낮은 품종에서는 초저온 처리에 의해 발아율이 증가하기도 했다. 인위 노화처리에 따라 종자의 발아율과 ascorbate peroxidase 활성은 감소하였으며, 품종별로 종자의 활력 저하 정도는 크게 달리 나타났다. 대조 처리 종자와 비교하였을 때, 초저온 처리과정에 발생할 수 있는 산화스트레스가 들깨 종자의 활력을 저해하지는 않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따라서 들깨 종자를 4-5% 수분함량으로 건조시켜 초저온 동결 저장하면 활력 손실 없이 장기간 보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노화가 급속히 진행되는 품종의 경우에는 고활력 자원을 확보하거나 휴면타파 처리 후 초저온 동결 보존하는 것이 유리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