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illa seed

검색결과 188건 처리시간 0.032초

파종 시기에 따른 들깨 품종별 품질 특성 변화 (Quality Characteristics of Perilla frutescens Cultivars According to Different Sowing Dates)

  • 김정인;이명희;김성업;오은영;하태정;오기원;조광수;정찬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6권4호
    • /
    • pp.403-410
    • /
    • 2021
  • 본 연구는 5월 30일, 6월 20일, 7월 10일에 파종한 종실들깨 주요 5품종(다유, 들샘, 들향, 백진, 소담)의 종자 품질 및 성분을 분석하여 다양한 작부체계에 따른 종자 품질 변이에 대한 정보 제공 및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1. 들깨의 파종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개화 및 성숙일수는 짧아졌으며, 그에 따라 종자 품질의 차이를 보였다. 2. 파종시기가 늦어질수록 천립중이 증가하였으며, 종자의 경도 또한 증가하였다. 3. 들깨의 주요 영양성분인 조단백과 조지방은 파종시기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는데 파종시기가 늦어질수록 조단백질 함량은 높아지고 조지방 함량은 낮아져 이들간에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4. 지방산의 경우 품종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나, 파종시기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5. 로즈마린산, 토코페롤 등 기능성 성분 함량 분석 결과 파종기에 따라 품종별 차이를 보여 파종기 세분화 등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들깨유의 산화에 대한 들깨 발아 싹 추출물의 억제효과 (Inhibitory Effect of Perilla Sprouts Extracts on Oxidation of Perilla Oil)

  • 김석중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330-338
    • /
    • 2012
  • 들깨 종자를 10일 간 발아시키면서 얻어지는 싹에 대하여 일반성분 및 항산화력의 변화를 분석하였고, 들깨유 산화에 대한 싹 추출물의 억제효과를 조사하였다. 종자의 수분 함량(2.9%)은 발아 10일째 싹에서 9.2%로 증가하였으나 조회분 함량은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다. 종자에서 46.8%와 20.7%이었던 조지방과 조단백질 함량은 발아 10일째 싹에서 각각 18.2%와 18.3%로 감소하였지만, 환원당과 조섬유 함량은 2.2% 및 14.8%에서 각각 12.8%와 22.4%로 증가하였다. 깻잎과 비교하면 10일째 싹은 조지방, 탄수화물, 환원당, 조섬유 함량이 더 높았고 수분, 조회분 및 조단백질 함량은 더 낮았다. 발아동안 항산화력은 증가하여 8일째에 최대치에 도달하였는데,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능에 기반한 Trolox 당량 항산화력(TEAC)은 각각 133.1과 136.8 Trolox eq. mmol/kg이었으며, 3가 철이온 환원력(FRAP)는 399.3 Fe(II) eq. mmol/kg이었다. 폴리페놀 함량(19.2 g/kg)도 이 단계에서 가장 높았다. 한편, 깻잎은 발아 8일째의 싹과 유사한 TEAC를 보였으나 FRAP은 더 높았다. 발아 8일째 싹의 메탄올 추출물을 들깨유에 첨가 시 농도 의존적으로 산화가 억제되었는데, 대조 들깨유에서 1.67 hr이었던 산화유도기간이 2.5%(w/w) 추출물 첨가 들깨유에서는 4.62 hr로 나타나 들깨유의 산화 안정성이 약 2.8배 증가하였다. 이러한 산화유도기간은는 동일농도의 BHT 첨가구와 비교 시 약 38% 수준에 해당하였다.

들깨 NaCl 농도, 온도에 따른 발아와 간척지 토양에서 용적밀도, 파종깊이, 염농도에 따른 출현 특성 (Optimal Salt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for Perilla Seed Germination and Soil Bulk Density, Sowing Depth, and Salinity on Emergence Rate in Reclaimed Soil)

  • 오양열;이광승;옥희경;이학성;정서영;서보성;신영태;정강호;강방훈;조현숙;이수환;정진;김승연;김정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8권4호
    • /
    • pp.413-421
    • /
    • 2023
  • 본 연구는 간척지 들깨 재배을 위하여 품종별 NaCl 처리, 치상온도 조건에 따른 발아율과 토양 용적밀도, 염농도, 종자 파종깊에 따른 출현 후 생존율을 분석하여 간척지 새로운 소득작물로써 들깨의 안정적 재배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1. NaCl 관개수 염농도, 치상온도, 들깨 품종 모든 요인이 발아에 영향을 주었으며, 관개수 염농도가 높아질수록 다유 > 들샘, 늘새미 > 들향, 소담 순으로 높은 발아율을 보였다. 2. 치상온도에 따른 들깨 발아율은 10℃에서는 다른 처리구보다 발아기간이 늦었으며, 35℃에서는 발아하지 못하였다. 3. 토양 용적밀도와 종자 파종깊이에 따른 들깨 출현 후 생존율은 1.1 g cm-3에서는 3 cm 깊이까지, 1.3 g cm-3 수준에서는 2 cm 깊이까지, 1.5 g cm-3 수준에서는 1 cm 깊이까지 출현을 하였다. 4. 토양 염농도에 따른 생존율은 품종별로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으며, 1.1 dS m-1까지는 안정적으로 생존이 될 것으로 보이며, 1.9 dS m-1 이상에서는 안정적인 출현이 힘들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산(韓國産) 식물식용유지(植物食用油脂)의 성분(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2보(第2報) : HPLC에 의(依)한 면실(綿實), 대두(大豆), 호마(胡麻), 소마(蘇麻), 옥배(玉胚) 및 채종유(菜種油)의 Triglyceride 조성(組成)에 관(關)하여-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Korean Plant Edible Oils and Fats -Part 2. Triglyceride composition of cottonseed, soybean, sesame, perilla, corn and rapeseed oils by HPLC-)

  • 고영수;장유경;이효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2권1호
    • /
    • pp.43-49
    • /
    • 1979
  • Triglyceride compositions of cottonseed, soybean, sesame, perilla corn and rapeseed oils have been determined by a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analysis. An optimum condition was obtained by using a ALC/GPC 244 type, from Waters Association, Japan with $\mu$ Bondapak $C_{18}(1/4^{'}\times1^{'})$ column. A similar distribution pattern of triglycerides was found in cottonseed, soybean, sesame, rapeseed and corn oils. It was noted that $C_{40}$, $C_{42}$ and $C_{44}$ were the major components in these seed oils, except perilla oil. The results showed that contents $O_{40}-C_{48}$ triglyceride types in cottonseed, sesame and corn oil were within $2.23{\sim}41.24%$ and $C_{38}-C_{48}$ triglyceride types in soybean oil were within $3.01{\sim}10.02%$ and $C_{34}-C_{46}$ triglyceride types in rapeseed oil were within $2.38{\sim}28.68%$.

  • PDF

들깨 기름 흡인에 의한 지질폐렴 1예 (A Case of Lipid Pneumonia by Green Perilla Oil)

  • 김희정;정대준;김경현;김세현;이승준;김우진;한선숙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8권6호
    • /
    • pp.354-357
    • /
    • 2010
  • Exogenous lipid pneumonia is a rare disease resulting from the aspiration or inhalation of vegetable, animal, or mineral oils. In Korea, the most frequently implicated agent is squalen, which can be obtained from shark liver oil. Lipid pneumonia by aspiration of the vegetable oil is very rare. We experienced a 77-year-old man with a history of ingestion of green perilla oil. His clinical course was favorable; after exposure to the oil was stopped, the patient's symptoms improved.

국내 들깨 재배지 식물기생선충 감염현황 (Incidence of plant-parasitic nematodes in perilla in Korea)

  • 고형래;강헌일;김은화;박은형;박세근
    • 환경생물
    • /
    • 제39권2호
    • /
    • pp.147-155
    • /
    • 2021
  • 국내 들깨 재배지의 식물기생선충 감염현황을 조사하기 위해 2020년 1월 21일부터 10월 27일까지 8개 시군의 노지, 시설 들깨 재배지에서 채취한 토양 시료 51점을 분석하였다. 들깨 재배지에는 뿌리썩이선충류, 나선선충류, 뿌리혹선충, 위축 선충이 감염되어 있었으며, 뿌리썩이선충(39%)과 나선선충(55%)이 다른 선충에 비해 높은 감염률을 보였다. 들깨는 연작연수가 증가할수록 뿌리썩이선충의 발생 빈도는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11년 이상 연작하면 5년 미만일 때보다 발생 빈도가 2배 이상 증가하였다. 잎들깨와 종실용 들깨 재배지에 감염된 선충 종류와 밀도는 차이를 보였다. 들깨 검출 선충 가운데 경제적으로 중요한 뿌리썩이선충의 분자생물학적 종 동정 결과, 2속 3종(Pratylenchus penetrans, P. vulnus, Pratylenchoides leiocauda)의 뿌리썩이선충이 감염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 따라, 들깨 밭의 선충 관리 전략 수립을 위해서는 뿌리썩이선충이 문제 선충이라는 점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들깨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암세포 기본 특성에 대한 억제 효과 (Antioxidant Activities of Perilla frutescens Britton Seed Extract and Its Inhibitory Effects against Major Characteristics of Cancer Cells)

  • 김시내;송보람;주지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208-215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들깨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 함량 및 활성을 측정하고 들깨 추출물이 암세포의 주요 특징인 성장, colony 형성, 이동, 부착성 등에 미치는 영향을 in vitro 수준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들깨의 총 폴리페놀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222.6 mg gallic acid equivalent/100 g과 285.7 mg quercetin equivalent/100 g으로 측정되었다. 들깨 추출물($87.5{\sim}350{\mu}g/mL$)의 DPPH radical 소거 활성은 24~45%, 철 환원력은 28~62%였다. 한편 $87.5{\sim}350{\mu}g/mL$ 농도의 들깨 추출물은 HCT116 대장암 세포와 H1299 폐암 세포의 성장을 18~94% 억제하는 농도 의존적 활성이 있었다. 또한 $175{\mu}g/mL$ 농도의 들깨 추출물은 HCT116과 H1299 세포에서 모두 colony 형성을 완전히 억제하는 활성이 있었다. 또한 들깨 추출물은 $87.5{\sim}350{\mu}g/mL$ 농도에서 H1299 세포의 이동을 30~37% 억제하였고, 가장 높은 농도인 $350{\mu}g/mL$ 농도에서는 HCT116과 H1299 세포의 부착을 14~16% 억제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들깨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 및 암세포의 주요 특징을 억제하는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생각되며, 향후 이러한 연구 결과가 in vivo 수준에서 재현되는지 여부와 본 활성과 관련된 세부작용기전 또한 규명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Effects of simultaneous supplementation of laying hens with α-linolenic acid and eicosapentaenoic acid/docosahexaenoic acid resources on egg quality and n-3 fatty acid profile

  • Zhang, Pingping;Tang, Chuanqiu;Ding, Zongqing;Huang, Hui;Sun, Yo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7호
    • /
    • pp.973-978
    • /
    • 2017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imultaneous supplementation of laying hens with alpha-linolenic acid (ALA) resources (flax, perilla, and Eucommia ulmoides [E. ulmoides] seeds) and eicosapentaenoic acid/docosahexaenoic acid (EPA/DHA) resources (Schizochytrium sp.) on egg quality and n-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 profile. Methods: Dietary treatments were as follows: i) diet C (control diet); ii) diet F (diet C+10% flaxseeds); iii) diet P, (diet C+10% perilla seeds); iv) diet E (diet C+10% E. ulmoides seeds); v) diet A (diet C+1.5% microalage); vi) diet AF (diet C+10% flaxseeds+1.5% microalage); vii) diet AP (diet C+10% perilla seeds+1.5% microalgae); viii) diet AE (diet C+10% E. ulmoides seeds+ 1.5% microalage). Results: Egg weight, yolk weight and production ratio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either algae or in combination with seeds (p>0.05).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ALA and DHA concentration in eggs between flaxseed, perila, and E. ulmodies seeds supplementation alone (p>0.05). N-3 PUFA in eggs was slightly improved by microalgae supplementation. The best supplementation, a combination of microalgae and perilla seeds, elevated (p<0.05) ALA from 19.7 to 202.5 mg/egg and EPA+DHA from 27.5 to 159.7 mg/egg. Highest n-3 PUFA enrichment (379.6 mg/yolk) was observed with supplementation of a combination of perilla seed and microalgae (362.2 mg/yolk), followed by a combination of flaxseed and microalgae (348.4 mg/yolk). The ALA, EPA, and DHA content obtained with a combination of microalgae and seeds surpassed the total sum of that obtained with microalgae or ALA-seeds alone. Conclusion: It is feasible to enrich eggs with n-3 PUFAs by perilla or E. ulmodies seeds instead of flaxseeds. Simultaneous supplementation of microalgae and seeds helped improve the transfer from EPA and docosapentaenoic acid into DHA.

들깨, 차조기 작물의 수확 후 저장 기간에 따른 종자 발아 변이 (Variation in Seed Germination According to the Storage Period after Harvest in the Accessions of Perilla Species)

  • 사규진;홍탁기;박대현;이주경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3권1호
    • /
    • pp.48-56
    • /
    • 2018
  • 우리나라에서 수집한 들깨와 차조기의 재배형 및 잡초형 계통들에 대하여 수확 이후 저장기간에 따른 종자발아율 변이를 이해하기 위하여 2016년 가을에 수확한 59개의 들깨, 차조기의 재배형 및 잡초형 계통(재배형 들깨 Type I 15계통, 재배형 들깨 Type II 4계통, 잡초형 들깨 20계통, 잡초형 차조기 20계통)들에 대하여 발아율 및 발아세 조사를 하였다. 수확 후 6개월 동안의 들깨와 차조기의 재배형 및 잡초형 계통들에 대한 발아율 조사에서 재배형 들깨(Type I)의 계통들은 평균 80.8%의 발아율을 보였으나, 들깨와 차조기의 잡초형들은 평균 0.9%와 8.7%의 발아율을 보였다. 또한 재배형 들깨(Type II)의 계통들도 평균 18.2%의 발아율을 보였다. 그리고 발아세의 경우도 재배형 들깨(Type I)의 계통들은 평균 75.8%를 보였으나, 들깨와 차조기의 잡초형들은 평균 0.6%와 6.9%를 보였으며, 재배형 들깨(Type II)의 계통들도 평균 14.3%를 보였다. 그 결과 들깨, 차조기의 재배형 및 잡초형 계통들은 수확 후 1개월째보다 2개월째에서 발아율 및 발아세가 다소 증가한 것으로 보였으나, 그 이후부터 6개월째까지는 크게 증가하지 않는 것으로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재배형 들깨의 경우는 2가지 Type, 즉 발아율이 높은 Type I과 낮은 Type II가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차조기의 재배형 및 잡초형 계통들은 모두 발아율이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결과는 오늘날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들깨와 차조기 작물의 재배형 및 잡초형 계통들에 대하여 수확 후 6개월까지 저장기간에 따른 종자발아 변이를 이해하는데 기초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생각된다.

Morphological Variation of Two Cultivated Types of Perilla Crop from Different Areas of China

  • Ma, Shi Jun;Lee, Ju Kyong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5권4호
    • /
    • pp.510-522
    • /
    • 2017
  • To better understand the morphological variation for Perilla crop in different areas of China, we studied the morphological variation in 87 accessions (84 cultivated var. frutescens and three cultivated var. crispa) from high latitude (Northeast China) and middle latitude (North and Northwest China) areas of China by examining seven quantitative and 10 qualitative characters. Analysis of the morphological variation determin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morphological differences in five quantitative traits between cultivated var. frutescens and cultivated var. crispa, including effective number of branches (QN2), number of internodes (QN3), number of branches (QN4), length of the largest inflorescence (QN5), and days from germination to flowering (QN7). However, two quantitative traits-plant height and number of florets of the largest inflorescence-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ultivated var. frutescens and cultivated var. crispa. In addition, significant differences for six quantitative traits were found between the accessions of cultivated var. frutescens originating from high and middle latitude areas in China, which included QN2, QN3, QN5, number of florets of the largest inflorescence (QN6), and QN7.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PCA) identified five quantitative characters [plant height (QN1), QN2, QN3, QN4, QN7] and six qualitative characters [fragrance of plant (QL1), color of reverse side of leaf (QL3), degree of pubescence (QL5), color of flower (QL6), shape of leaf (QL7), and hardness of seed (QL10)] that contributed to the positive direction on the first axis. The other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haracters contributed to the negative direction on the first axis. Most accessions of cultivated var. frutescens and cultivated var. crispa were clearly separated by the first axis. In addition, most accessions of cultivated var. frutescens are from high latitude and middle latitude areas that were clearly separated by the first axis, except for several accessions.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will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wards understanding the morphological variation of Perilla crop according to geographical distribution in high and middle latitude regions of Chi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