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illa leaf

검색결과 237건 처리시간 0.052초

농약 잔류 시험을 위한 연속수확 엽채소류의 외삽 (The Extrapolations to Reduce the Need for Pesticide Residues Trials on Continuous Harvesting Leafy Vegetables)

  • 손경애;임건재;홍수명;김찬섭;길근환;진용덕;김진배;임양빈;고현석;김장억
    • 농약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93-301
    • /
    • 2013
  • 본 실험은 작물의 농약잔류성 포장시험 결과를 다른 소면적 작물로 외삽 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온실에서 재배되는 엽채소류를 대상으로 경엽살포 후 작물간 농약잔류 경향을 비교하였다. 배추속에 속하는 겨자채(Brassica juncea L.), 케일(Brassica oleracea L.), 다청채(a kind of pak-choi (Brassica rapa subsp. chinensis L.)), 잎 브로콜리(Brassica oleracea var alboglabra) 4종과 배추속이 아닌 들깻잎(Perilla frutescens Britt.), 상추(Lactuca sativa L.), 적근대(Beta vulgaris L. subsp. vulgaris) 및 적치커리(Cichorium intybus L. var. foliosum Hegi) 4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은 온실이나 노지에서 연중 재배되며 일정한 수확기 동안 연속적으로 잎을 따서 수확하는 작물들로서 시금치처럼 포기 형태로 일시에 수확하는 작물들과 구별된다. 무게 대비 엽면적 비율이 58 $cm^2/g$으로 가장 높은 들깻잎에서 imidacloprid 등 7종 농약의 잔류량이 살포 당일부터 5일 후 까지 가장 높았다. 따라서 식품의 일일섭취량 통계에 따른 섭취량이 일정 수준을 차지하면서 시험대상 8작물중 농약 잔류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들깻잎을 농약잔류성시험의 대표작물로 선정하여 외삽 적용을 위한 작물 그룹을 제안한다.

가락동 농수산물도매시장 반입 들깻잎과 상추의 잔류농약 실태 및 안전성 평가 (Pesticide Residues Survey and Safety Evaluation for Perilla Leaf & Lettuce on the Garak-dong Agricultural & Marine Products Market)

  • 박원희;황인숙;김은정;조태희;홍채규;이재인;최수정;김진아;이윤정;김미선;김지혜;김무상
    • 농약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51-160
    • /
    • 2015
  • 2010년부터 2012년까지 서울 가락동 농수산물도매시장에서 경매되는 채소류 중 들깻잎 4,063건 상추 2,248건을 대상으로 잔류농약 검사를 실시하였다. 들깻잎은 812건에서 농약이 검출되었고 40건이 부적합판정을 받았다. 상추의 경우 108건에서 농약이 검출되었고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한 상품은 10건이었다. 검출된 농약은 들깻잎 61종, 상추는 28종이었다. 들깻잎 및 상추 섭취에 따른 다종농약 성분에 대한 안전성 평가는 들깻잎이 0.05% 이하, 상추가 0,1% 이하로서 인체에 대한 위해성은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들깨의 채엽회수와 시기가 생육특성 및 종실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eaf Harvest Number and Time on Agronomic Characters and Grain Yield in Perilla)

  • 방진기;이정일;한의동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539-542
    • /
    • 1990
  • 들깨의 종실ㆍ엽 겸용 신품종인 '엽실들깨'를 공시하여 정식기별로 채엽회수와 채엽시기를 달리할 경우 생육특성, sink 관련형질 및 종실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시험을 실시한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상품가치가 있다고 보여지는 충분히 전개된 잎을 대상으로 채엽한 결과 경장은 무채엽구에 비하여 작아지는 경향이었다. 2. 채엽이 경태, 절수, 분지수 등에는 크게 영향을 주지 않았다. 3. 채엽에 의해 sink 관련형질인 화방수, 천립중을 감소시켜 종실수량이 낮아졌으며, 채엽회수가 많을수록 채엽시기가 늦을수록 영향이 큰 경향이었다. 4. 종실ㆍ엽 겸용 들깨재배시에는 종실수량 감소가 크지 않고 채엽에 의한 소득이 증대될 수 있는 조기채엽이나 1-2회 채엽이 바람직하였다. 5. 재배목적이 종실과 엽을 동시에 생산하고자 할 경우에는 5월 10일 파종 6월 20일 정식이 가장 적기이며, 6월 10일 파종 7월 20일 정식까지는 재배가 가능할 것으로 보였다.

  • PDF

자소(紫蘇)의 조직배양에 관한 연구(II) (Studies on Tissue Culture of Perilla Species)

  • 신순희
    • 생약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7-11
    • /
    • 1986
  • The young leaf of Perilla species was cultured by two stage culture system using the medium containing mevalonic acid lactone. The growth rate and productivity of essential oil of callus were increased. The essential oil from intact plant and callus was also analysed. Sesquiterpene hydrocarbons and one sesquiterpene alcohol were identified in essential oils of callus.

  • PDF

충북지역에 유통되는 일부 채소 농산물의 잔류농약 모니터링 (Monitoring of Pesticide Residues in Vegetables Collected in Chungbuk, Korea)

  • 우나리야;고성희;박용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865-878
    • /
    • 2013
  • This study is being executed to investigate the pesticide residues for agricultural products on the markets in Chungbuk area from 2010 to 2012. The samples used were chard, perilla leaf, leek, spinach, crown daisy, marsh mallow, and winter grown cabbage, These were analyzed by GC/MSD and GC/ECD. Agricultural pesticide levels of spinach was 23.4%, winter grown cabbage 20.6%, chard 14.9%, marsh mallow 14.0%, perilla leaf 13.1%, leek 8.4%, and crown daisy 5.6%. Exceeds of residual pesticides were spinach, chard, leek, perilla leaf, and marsh mallow. Based on these results, a risk assessment was being conducted by used a percentage of acceptable daily intake (%ADI). The %ADI ranged from 0.00014% to 1.73910%, and these values was indicated to have no effects on human health.

식용 들깻잎 수확 자동화 시스템의 그리퍼 및 절단 컷터 개발 (Development of a Gripper and a Cutter for the Automatic Harvest of Green Perilla Leaves)

  • 송영호;장동일;방승훈;조한성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8권6호
    • /
    • pp.497-504
    • /
    • 2003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 harvesting gripper for perilla leaves and test its performance, which was a partial work of the automated perilla leaves harvesting system develop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s: The shear forces for harvesting the perilla were measured. The measured results showed that the average shear force required was 12.13N for cutting the petioles attached to the perilla stalks, and the maximum of 17.42N. The inner diameter of air cylinder used was 6mm and the air pressure was maintained as 0.7㎫ during the tests. The time required for cutting perilla leaves could be adjusted by the control program and cutting operation could be done within 1- 10 seconds. The performance tests were conducted to harvest the perilla leaves by the gripper developed. The average success rates of cutting were 72.2% for the first test, 78.5% for the second, and 74.2% for the last. The perilla leaves were not damaged by the gripper The whole system operation could be finished within three seconds except the delay time for dropping harvested leaves.

깻잎의 엽령 및 저장에 따른 비타민 C와 무기질 함량 (Vitamin C and Mineral Contents in Perilla Leaves by Leaf age and Storage Conditions)

  • 최영희;한재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583-588
    • /
    • 2001
  • 깻잎을 시중에서 구입할 경우 깻잎의 크기에 차이가 있는 것을 15-20매 정도 묶어 다발로 판매한다. 일부러 크기를 골라 구입하거나 먹는 것은 아니지만 엽령에 따라 그리고 저장기간과 저장온도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검토하여 깻잎을 이용하는데 대한 보다 실질적인 정보를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엽령에 따른 비타민 C의 함량은 엽령이 가장 많은 가장 아래쪽 1번 잎이 생물중량 100g당 약 67.3mg 함유되어 있었고 엽령이 어린 가장 위쪽의 6번 잎이 129.0mg 함유되어 있어 엽령이 어릴수록 비타민 C 함량이 많았다. 그러나 깻잎 한장에 대한 비율로 환산하였을 경우는 중간 잎인 4번 잎이 약 1.7mg으로 가장 많았으며 평균값은 1.5mg으로 조사되었다. 2. 엽령에 따른 무기질 함량 중 칼슘과 철분의 함량은 비타민 C와는 반대로 엽령이 많을수록 많이 함유되어 있어 칼슘의 경우 가장 아래쪽의 1번 잎이 생물중량 100g당 약 449.4mg 이었고 가장 위쪽의 6번 잎이 약 311.8mg이었다. 그러나 나트륨, 마그네슘은 엽령이 많을수록 함량이 낮았다. 칼륨의 함량은 엽령과는 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깻잎 한 장에 대한 칼슘함량은 1번 잎의 8.4mg에서 6번 잎의 3.8mg으로 엽령이 많을수록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평균값은 6.2mg으로 조사되었다. 3. 수확당일의 비타민 C 함량은 생물중량 100g당 93.47mg으로 조사되었으며 산화형으로 존재하는 비율이 환원형보다 월등히 높게 나타나 약 73%를 차지하였다. 저장기간과 저장온도에 따른 변화는 5$^{\circ}C$ 저장의 경우 저장 1일째의 잔존율은 약 93%이고,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비타민 C의 함량이 완만하게 감소하여 저장 10일째는 77%정도의 잔존율을 나타내었다. 2$0^{\circ}C$ 저장의 경우도 저장기간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 같지만 저온저장보다 감소율이 커 저장 1일째는 약 86%의 잔존율을 보이다가 저장 10일째는 약 73%로 감소하였다. 4. 칼슘의 경우 5$^{\circ}C$ 저장에서는 생물중량 100g당 348.93~408.81mg, 2$0^{\circ}C$ 저장에서는 360.26~392.25mg 정도 함유되어 있어 10일 정도의 저장기간이나 저장온도에는 그다지 영향이 없었고 다른 무기성분의 경우도 같은 경향이었다.

  • PDF

들깻잎 추출물의 항돌연변이 및 항산화 효과 (Antimutagenic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Perilla Leaf Extracts)

  • 이경임;이숙희;김정옥;정해영;박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75-180
    • /
    • 1993
  • 들깻잎의 메탄올 추출물은 Salmonella typhimurium TA98과 TA100균주에서 AFB$_1$, Trp-P-2 및 B(a)P의 돌연변이유발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었으며 이들을 용매로 더 분획 했을 때 수층에서는 효과가 없었지만 헥산획분과 부탄올 획분에서 항돌연변이 효과가 있었다. Lipid peroxidation은 들깻잎의 메탄올 추출물을 첨가하였을 때 억제되었으며 특히 부탄올 획분 첨가시 크게 억제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돌연변이 유발억제 및 항산화 효과가 관찰된 부탄올 획분에서 2-propyl furan, ethanodioate, dibutyl ester, benzaldehyde, 2-methyl-2-ethyl-3-hydroxy-propanoic acid, octahydro-3a-methyl-2H-inden-2-one등이 잠정적으로 동정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