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ceptual ambiguity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8초

중의성 해소에 기여하는 억양단서의 인지적 민감도 연구 (A Study on Perceptual Sensitivity to Prosodic Cues in Disambiguation)

  • 김미혜;강선미;김기호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3권4호
    • /
    • pp.3-11
    • /
    • 2011
  • This experimental study has a goal to explore the perceptual sensitivity to phonetic evidence such as duration, phrase accent, or pause in disambiguation. We argue that the realization of the intonational phrasal boundary at the meaningful grammatical boundary in structurally ambiguous sentences facilitates English native listeners to distinguish the meanings of the ambiguous sentences. Moreover, the duration of the phrase-final syllable, pitch range reset, or phrasal tones also provides listeners with important phonetic evidence in disambiguation. In our perception experiment, however, Korean English learners largely depend on the realization of pause. In the results from the perception experiment, all of the groups showed an increase in the response time from the perception of no pause to pause realization. This means that pause at the phonological phrasal boundary plays a role of facilitator to English native speakers with other prosodic cues such as duration, pitch accent, or phrasal tones, while an absolutely important cue to Korean English learners.

  • PDF

반복 반점화: 지각적 모호성이 물체 재인에 미치는 영향 (Repetition Antipriming: The Effects of Perceptual Ambiguity on Object Recognition)

  • 김구태;이도준
    • 인지과학
    • /
    • 제21권4호
    • /
    • pp.603-625
    • /
    • 2010
  • 물체의 신경 표상은 시각 피질 전반에 걸쳐 분산되어 있고 다른 물체의 신경 표상과 중첩된 형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특정 물체를 반복적으로 접하면 그 물체의 재인은 촉진되지만 다른 물체의 재인은 상대적으로 손상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각각 반복 점화(priming)와 반점화(antipriming)라고 한다. 본 연구는 반복 반점화 즉, 반복된 물체 자체가 반점화 될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학습 단계에서 참가자들은 다양한 수준으로 화질이 손상된 물체 사진들의 재인 수준을 평정하였고 검사 단계에서는 정상적인 화질의 물체 사진을 보고 범주 판단 과제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실험 1과 2에서 모두 학습 단계에서 쉽게 재인되었던 물체는 검사 단계에서 더 효율적으로 처리되었지만(반복 점화), 반대로 학습 단계에서 지각적으로 모호했던 물체는 검사 단계에서 비효율적으로 처리되었다(반복 반점화). 이러한 결과는 지각적으로 모호한 물체를 경험할 때 세부특징에 관한 감각 표상과 다수의 물체 표상들 간의 연결이 강화되어 후속 재인 과정을 방해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 PDF

식음 공간 디자인의 심미적 평가 반응 -지각적.감정적 판단에 따른 미적 변수와 선호도의 관계를 중심으로- (The Aesthetic Evaluative Response of Eating and Drinking Space Design -Focused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Aesthetic Variables and Preference by Perceptual-Cognitive and Affective Judgment-)

  • 최은희;권영걸
    • 디자인학연구
    • /
    • 제20권1호
    • /
    • pp.21-32
    • /
    • 2007
  • 디자인의 심미적 요인은 물리적, 기능적, 행태적, 경제적 요인에 비해 정량적으로 측정되거나 평가되기가 쉽지 않다. 그렇지만 심미적 요인들은 디자인 조형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공간의 심미적 가치평가나 심미적 영향 요소들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편이다. 그래서 본 연구는 상업 공간디자인의 시각적 선호도와 지각적-인지적, 감정적 차원의 미적 변수들 사이의 상호관계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실증 조사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상업 공간디자인의 선호도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미적 변수로는 지각적-인지적 차원의 '통일', '질서', '명료성'과 감정적 차원의 '기분 좋은', '편안한'을 들 수 있다. 반면, 선호도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미적 변수로는 지각적-인지적 차원의 '대비', 복잡성', 그리고 명료성의 반대 개념인 '불명료성'과 감정적 차원의 '호기심 있는', '긴장되는'을 들 수 있다.

  • PDF

UHD TV를 위한 가상 음상의 인지 위치 (Perceptual Localization of a phantom sound image for Ultrahigh-Definition TV)

  • 이영우;김선민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7권5호
    • /
    • pp.9-17
    • /
    • 2010
  • 이 연구는 다양한 라우드 스피커 구성인 2-horizontal, 2-vertical, triplet 라우드 스피커 구성에서 UHD TV를 위한 가상 음상의 인지 위치 결과를 제시한다. 비등간격 라우드 스피커 구성에서 가상 음상을 생성하기 위해 잘 알려진 vector-based amplitude panning 알고리즘을 수정하여 적용하였다. 실제 상황에서의 위치 인지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청취 평가는 일반적인 청취환경에서 TV의 on-axis와 off-axis에서 수행되었다. 인지 각도의 모호함에 의한 오차를 줄이기 위해 각도 조정 테스트 방법이 옥타브 밴드 신호의 각도 평가에 이용되었다. 피실험자는 실제 음원과 가상 조정된 음원의 각도가 일치할 때까지 조정각도를 변화하였다. 공간적 블러링은 각 밴드에서 인지된 조정 각도의 차이를 비교하여 측정되었다. 청취 평가 결과는 triplet panning 방법이 vertical panning 방법보다 on-axis와 off-axis 둘 다, 인지 위치와 공간적 블러링 관점에서 더 나은 성능을 보여주었다.

복수의 수중 소나를 활용한 수중 로봇의 3차원 지형 맵핑에 관한 연구 (Study on Seabed Mapping using Two Sonar Devices for AUV Application)

  • 조한길;유선철
    • 로봇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94-102
    • /
    • 2021
  • This study addresses a method for 3D reconstruction using acoustic data with heterogeneous sonar devices: Forward-Looking Multibeam Sonar (FLMS) and Profiling Sonar (PS). The challenges in sonar image processing are perceptual ambiguity, the loss of elevation information, and low signal to noise ratio, which are caused by the ranging and intensity-based image generation mechanism of sonars. The conventional approaches utilize additional constraints such as Lambertian reflection and redundant data at various positions, but they are vulnerable to environmental conditions. Our approach is to use two sonars that have a complementary data type. Typically, the sonars provide reliable information in the horizontal but, the loss of elevation information degrades the quality of data in the vertical. To overcome the characteristic of sonar devices, we adopt the crossed installation in such a way that the PS is laid down on its side and mounted on the top of FLMS. From the installation, FLMS scans horizontal information and PS obtains a vertical profile of the front area of AUV. For the fusion of the two sonar data, we propose the probabilistic approach. A likelihood map using geometric constraints between two sonar devices is built and a monte-carlo experiment using a derived model is conducted to extract 3D points. To verify the proposed method, we conducted a simulation and field test. As a result, a consistent seabed map was obtained. This method can be utilized for 3D seabed mapping with an AUV.

올라퍼 엘리아슨의 설치 작품에 나타난 공간 경험 및 디자인 방법 - 인간, 환경 사이의 관계성을 중심으로 - (Spatial Experience and Design Method in the Installation Projects of Olafur Eliasson - Focusing on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Surrounding -)

  • 이송학;김종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3권5호
    • /
    • pp.33-40
    • /
    • 2014
  • The Danish-Icelandic artist, Olafur Eliasson who was born in 1967 is known for installation projects employing materials such as colour, fog, mirror and light to rethink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surrounding. Since he started the early projects, Eliasson has been interes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n art, a viewer and space. He has used the medium from nature because he thought nature is very common subject to derive new idea of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surrounding. Eliasson revealed the idea of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surrounding by three characteristics of spatial design such as 'reinterpretation of placeness by juxtaposition of mediums and defamilarization', 'ambiguity and extensity of depth distance of space by mediums' and 'change in spatiality by movement of viewers and time'. This paper focused on four case projects : The mediated motion in 2001, The weather project in 2003, The blind pavilion in 2003, Your rainbow panorama in 2011. It is aimed to discover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surrounding in the case projects under three characteristics. This study found that three characteristics were differently applied in the case projects in terms of spatial experience and design methods. Inside & outside locations, formal quality, visual-perceptual relationships in and around each case are crucial elements and tools. The uniqu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surrounding of Eliasson and three characteristics are applicable to architecture and spatial design.

영화 <이다>에 나타난 의미적 맥락의 시각화 (A The Visualization of Semantic Context in the Film )

  • 김태규;김규남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145-159
    • /
    • 2021
  • 영화 <이다>(Ida, 2013)는 서사와 인물의 심리적 동기를 모호하게 하고, 선형적 시간성을 파괴하며, 다양한 기법을 통해 디지털 이미지의 조작 가능성을 상기시키는 현대의 실험적 영화라 볼 수 있다. 인간의 주체와 자아인식 변화 과정이 사회적 트라우마와 연결된다는 점에서 다른 국가나 사회의 역사적 맥락을 대비시켜 추론할 수 있다. 영화 <이다>는 화면 밖의 공간, 부재하는 공간, 여백과 프레임 안에 내포된 의미를 중심으로, 보이는 공간의 정보와 화면 밖 공간과의 정보를 나눔으로써 관객으로 하여금 제시되지 않은 정보에 대해서 추론하게 하는 능동적 인지과정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시대적 배경을 자세히 기술하지 않으면서도 역사적 의미를 시각화했고, 초월적 존재인 신과 한계적 존재인 인간 사이의 갈등과 고민의 문제를 인간과 인간의 갈등 구조 안에서 표현하고자 했다. 아울러 상실과 부재의 슬픔을 공간적 미학으로 풀어내고자 시도했으며 인물의 대비와 대조, 빛과 어둠의 대비를 통해 상황의 전개를 나타냈다. 본고에서는 영화 <이다>가 함축하고 있는 개인(인물)의 이야기와 사회, 역사적 배경과 종교적 영역을 아우르는 해석을 시도하고, 의미적 맥락의 시각화를 다루고자 한다. 또한 정체성과 역사적 사건의 재구성, 종교적 가치를 다룬 영화 <이다>의 시퀀스 장면 분석을 통해 그 의미와 특징을 살펴보고, 영화가 추구한 총체적 의미를 구체적으로 분석할 것이다. 이는 영화 <이다>가 내포하고 있는 트라우마의 재현과 해석 차원으로 개인과 지역, 국가적 트라우마를 안고 있는 문제를 다루었다는 측면에서 한국적 상황에 주는 함의를 고려해 볼 수 있다. 나아가 과하게 표현하지 않으면서도 인간과 사회적 성장, 고민을 잔잔하게 다루는 모습을 통해 새로운 영상기술과 독창적 시각화 기법의 영화를 창조하려는 흐름에 또 다른 영감을 주는 연구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