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ceptions of the disabled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36초

신문기사에 나타난 장애인스포츠에 대한 인식 -의미연결망을 활용한 빅데이터 분석- (Perceptions of Disabled Sports in Newspapers Using Semantic Networks Analysis)

  • 한민규;김원경;윤지운
    • 재활복지
    • /
    • 제20권4호
    • /
    • pp.157-175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텍스트 빅데이터 분석의 일종인 의미연결망을 활용하여 신문기사에서 나타나는 장애인스포츠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 목적을 위하여 '장애인스포츠'를 검색어로 네이버 포탈을 이용하여 21개 언론사 745건의 기사를 수집하였으며 Krkwic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자료정제와 공출현 빈도를 산출하였다. 장애인스포츠에 대한 인식은 Netminer 4.0을 활용하여 연결중앙성, 매개중앙성, 위세중앙성을 지표로 분석하였다. 의미연결망 분석을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문기사에서 나타난 장애인스포츠를 규정하는 핵심단어는 감동, 도전, 축제, 꿈, 희망이다. 그리고 장애인스포츠의 인식을 나타내는 핵심단어는 장애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다. 둘째, 장애인스포츠에 대한 인식을 장애유형별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크게 경기력관련 인식과 감성관련 인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체장애 스포츠 대상의 경기력관련 인식은 패럴림픽, 로봇, 감동 등이며 감성관련 인식은 행복, 희망 등이다. 지적장애 스포츠 대상의 경기력관련 인식은 패럴림픽, 스페셜올림픽, 축제 등이고 감성관련 인식은 사랑, 감동 등이다. 시각장애 스포츠 대상의 경기력관련 인식은 메달, 달리기 등이며 감성관련 인식은 희망, 나눔 등이다. 결론적으로 신문기사에서 나타나는 장애인스포츠에 대한 인식은 패럴림픽, 스페셜올림픽 등의 장애인스포츠 경기대회는 장애인들의 도전과 꿈을 이룰 수 있는 축제의 장이며 경기를 통해 일반대중들에게 감동을 선사한다고 의미화 할 수 있다.

치과의사의 장애인 보철 진료 실태와 인식 (The dentists' perceptions and current prosthodontic treatment status for the disabled in Korea)

  • 심수현;김석규;최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86-294
    • /
    • 2009
  • 연구목적: 우리 사회가 선진화 됨에 따라 장애인과 장애인의 사회복지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가되고 있으며 장애인의 의료환경에 대한 연구도 차츰 늘어가고 있다. 하지만 그 동안 증가하는 장애인 치과 진료의 수요 및 관심에 비해 장애인 보철 진료에 대한 연구가 전무한 실정이었다. 본 연구는 치과의사가 바라본 현행 대한민국의 장애인 보철 진료 실태와 인식에 관해 조사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전국의 장애인 진료를 하는 치과 병의원 및 복지기관, 보건소의 치과의사 87명을 대상으로 총 11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발송하여 68부의 유효한 설문지를 회수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결과 및 결론: 1. 조사 대상 치과의사 중 45.6%가 일반인과 마찬가지로 장애인에게도 심미보철 진료가 필요하다는 데에 긍정적으로 답변하여 시대의 흐름에 따라 과거 기능회복 위주였던 장애인 치과치료에서 점차 심미적인 고려가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2. 보철 진료의 이상적인 진료비 지불방식에 대한 조사결과 정부로부터의 재정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79.4%를 차지하였고, 그 중 66.7%의 응답자가 그 규모를 일반보철 수가의 최소 50%이상을 정부가 지원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응답했다. 현재 우리나라 장애인 보철 진료 실태에 관해 97.1%의 응답자들이 열악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의 원인으로는 장애인의 협조도 부족 문제를 제외하면 재정적인 부분이 가장 컸다. 따라서 향후 정부의 장애인 보철 진료에 대한 현실적인 지원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장애아동의 비만실태와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valence and Predisposing Factors for Obesity Among Mentally Disabled Children in Korea)

  • 하영미;윤순녕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7-43
    • /
    • 200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obesity rate among mentally disabled children in six public schools in Korea. Furthermore, this study identified several factors that correlated with these children's obes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help identify mentally disabled children who are at an increased risk for obesity and can be used to promote good health in this population. Methods: 1,102 subjectsfrom six public special schools were classified 4 groups who assessed for BMI for age-gender specific reference chart(1998) based on our previous data. Moreover, 207 parents were surveyed to identify predisposing factors for children's obesity, including characteristics of the children and parents, socioeconomic factors, children's eating habits, and children's exercise habits. Results: The prevalence of obesity among the 1,102 mentally disabled children was 17.3%.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obesity and factors, such as age, maternal education, parents' perceptions about their child's obesity, frequency of breakfast, and exercise habits. Each of these factors was determine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obesity when all other factors were controlled in a multivariate analysis with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Conclusions: Parental perceptions had an especially strong impact on the weight of their mentally disabled child. This is presumably due to the great influence that parents have on the lifestyles of their children, including dietary habits and frequency of exercise. Furthermore, the rate of obesity was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age of the child. The results of this study strongly indicate the need for preemptive health education programs that stress weight management for mentally disabl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장애자녀 보호자와 공무원의 성년후견제도에 대한 인식비교 융복합 연구 (A Comparative Convergence Study on the Perceptions of Disabled Child Carers and Officials on the Adult Guardianship System)

  • 유수진;윤선희;황문영;백진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6호
    • /
    • pp.275-28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장애자녀 보호자와 공무원의 성년후견제도에 대한 인식을 비교하고, 인권존중과 사회통합을 지향하는 제도로서의 정착 방안을 고찰하고자 한다. 먼저, 성년후견제도에 대해 보호자 68.9%, 공무원 43.9%가 인지하고 있었으며, 보호자(90.2%)와 공무원(94.3%) 모두 성년후견제도가 인권존중을 위해 유용하다고 응답하였다. 후견인으로 선호하는 유형은 보호자는 '부모', 공무원은 '전문가'였다. 개선사항으로는 조사대상 모두 '국가 전담기구 설치'가 가장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성년후견제도가 인권존중과 사회통합에 기여하는 제도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성년후견제도에 관한 대국민 홍보, 질적인 공공후견인 양성, 성년후견제도 전반에 대한 통합적인 지원, 관리, 감독, 홍보를 수행할 수 있는 국가차원의 전담기구 설치가 필요하다.

공공도서관 장애인 서비스에 관한 이해 관계자 요구 분석 연구 (A Study on Needs Analysis of Stakeholders in Public Library Service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 김보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45-69
    • /
    • 2022
  • 이 연구는 공공도서관 장애인 서비스와 관련한 이해 관계자를 대상으로 요구 분석하여 개선 방안을 제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공공도서관 장애인 서비스 현황 분석과 공공도서관 서비스 수혜자인 장애인과 서비스 제공자인 담당 직원을 대상으로 IPA 분석과 FGI를 진행하여 이해 관계자 요구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공공도서관 장애인 서비스 현황에서는 장애인 이용자, 장애인 서비스 관련 예산, 장애인용 특수자료 등에서 매우 열악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공공도서관의 장애인 서비스 요구 분석에서는 IPA 분석 결과 정책 차원의 개선과 이용자 요구를 반영하여 통합형 프로그램 운영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FGI 분석 결과에서는 장애인과 비장애인 그리고 직원 등 상호 간의 장애인식 개선이 필요하며, 공공도서관의 서비스를 장애인 이용자도 보편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이용안내와 홍보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공공도서관 장애인 서비스 개선을 위한 기본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공공도서관 서비스 대상으로서 '장애인'을 핵심 이용자 계층으로 수용, 둘째, 장애 유형별 다각화한 맞춤형 서비스 개발, 셋째, 보편적 공공도서관 서비스에 기반한 장애인 서비스 디자인 적용의 필요성과 유니버설디자인을 적용한 방향으로의 전환이다.

대학생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과 태도 (Study of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s the Disabled)

  • 권말숙;이정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3667-3674
    • /
    • 2014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장애인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과 태도를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D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으로 학년을 고려하여 같은 비율로 목적유층표집을 실시한 794명이며, 수집된 자료는 t-test, one-way ANOVA, Scheff$\acute{e}$ 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장애인은 복지 생활시설에서 생활하는 사람이 많을 것이며, 국가나 지역사회가 돌봄의 주체가 되고, 장애의 정도나 종류에 따른 특수학교나 일반학교에서 공부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거주지역내 특수학교 설치가 교육에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인식하는 대학생이 많았다. 정보수집 경로는 매스컴을 통해서, 인식개선은 정부차원에서 적극적으로 장애인을 지원하는 방안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의 영역별 장애인에 대한 긍정적 태도는 감정적 행동적 인지적 교류적 태도 순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장애인에 대한 태도는 전공계열, 성별, 학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학생의 장애인에 대한 올바른 인식정립과 긍정적 태도를 확립하는 방안 마련에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Study on Librarian Service Providers' Awareness and Perceptions of Library Services for the Disabled

  • Noh, Young-Hee;Ahn, In-Ja;Park, Mi-Yo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1권2호
    • /
    • pp.29-42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library promotional marketing for the disabled by identifying requirements of public library disability servic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librarian service providers' awareness of library programs for the disabled in order to prepare a systematic plan for promoting such library services. Research methods used are a literature analysis and survey. First, the ratio of respondents with experience promoting activities and services for the disabled was less than 50%. Second, regarding methods for promoting library disability services, the respondents used library homepages, press releases, library user guides, library newsletters, and library pamphlets in that order. Third, when asked what kind of PR media the library disability service providers had experience with and how often they use it, library boards and banners were the most common response. Fourth, suggested improvements to the current design and content of PR materials included: clearer word choice (or greater understandability), more detailed descriptions, simpler layouts, and more interesting or eye-catching content in that order. Fifth, the library disability services which are in the most need of public relations were guide information for library disability services, Library and Information Service (DOI services and search services), using alternative materials and the library collection, and aiding the information search. Overall, when evaluating the promotion of disability services in Korea, the library's public relations for disabled services needs to improve because currently neither librarians nor the disabled community they are targeting has frequent or quality experience with it. Thus, the policy department for the library disability services must develop a variety of promotional strategies adjusted for each type of the disability and distribute PR materials to service providers individually, making sure to utilize effective PR methods.

도서관 공간에 대한 장애인 이용행태 및 요구 분석 (A Study on the Disabled' Use Behavior and Needs towards the Library Space)

  • 배경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25-42
    • /
    • 2019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공간적 기능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장애인이 실제로 도서관 공간에서 느끼는 경험은 어떤지를 고찰하고, 장애인이 원하는 공간에 대한 요구사항은 무엇인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도서관 이용경험이 있는 시각 청각 지체 장애인 각 5명씩 총 15명의 피실험자를 선정하여 개별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도서관 공간에서의 장애인 이용자 경험은 장애유형별로 차이가 있었으나 대체로 긍정보다는 부정적인 경험이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도서관 직원 및 비장애인의 잘못된 장애인에 대한 인식이 부정적인 경험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도서관 공간에 대한 요구사항에 대해서는 장애유형별로 매우 다양한 의견이 존재하였으며,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통합서비스 공간에 대해서는 현재의 도서관 공간수준을 유지할 경우 대체로 부정적인 인식이 많았다.

신체적 장애아 가족의 스트레스와 적응 과정에 관한 고찰 (Stress and Adaptation in Family with Physical Disabled Children)

  • 양숙자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38-247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tress and adaptation in families with a disabled child through literature review using McCubbin's Double ABCX family crisis framework. The literature review focused on (1) family stress and factors affecting family stress, (2) the critical individual, familial and social resources which families acquire and employ over time in managing crisis situation. (3) the changes in definition and meaning families develop in an effort to make sense out of their predicament. (4) the coping strategies families employ. and (5) the range of outcomes of these family efforts The results showed that families reported financial difficulties and the burden of care-giving demands as major family stressors. Siblings of disabled children manifested depressive symptoms and social isolation. but was not consistent study results. The parents' views of the cause of the disabling condition fundamentally affected their behavior toward their disabled child. Especially. the fathers' views of the child's characteristics made the greatest contribution to positive changes in the mothers' perceptions. The term perceived social support refers to the cognitive appraisal by individuals that they are cared for and valued, that significant others are available to them if needed, and that they are satisfied with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was more protective than social support source. network size and network density. Parental adaptation was found to be related to the child's communication competence rather than family coping strategies proposed by Lazarus and Folkman. On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depressive symptoms and physical health between mothers with a disabled child and those without all though mothers with a disabled child had negative attitudes and perceived themselves as having significantly less social support and lower family functioning. But a longitudinal study revealed decreases in the negative impact of the child and increases in sibling and overall family adaptation.

  • PDF

Analysis of workers's perception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of the mentally disabled

  • Park, Jeong-Hwa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12호
    • /
    • pp.253-259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건강서비스 기관 종사자의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하는 것이다. D광역시의 정신건강서비스 기관인 정신건강복지센터와 정신재활시설의 종사자 132명을 대상으로 정신장애인 직업재활, 가족지지, 종사자 역량, 종사자 욕구로 구성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독립된 t 검정, 분산분석, 피어슨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정신건강서비스 기관 종사자의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에 대한 종사자 욕구는 정신재활시설이 정신건강복지센터보다 높게 나타났고, 종사자의 역량이 정신장애인 직업능력이나 가족지지에 비해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향후 정신건강서비스 기관 종사자의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에 대한 역량을 강화시킴으로써 궁극적으로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