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Prevalence and Predisposing Factors for Obesity Among Mentally Disabled Children in Korea

장애아동의 비만실태와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2005.12.01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obesity rate among mentally disabled children in six public schools in Korea. Furthermore, this study identified several factors that correlated with these children's obes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help identify mentally disabled children who are at an increased risk for obesity and can be used to promote good health in this population. Methods: 1,102 subjectsfrom six public special schools were classified 4 groups who assessed for BMI for age-gender specific reference chart(1998) based on our previous data. Moreover, 207 parents were surveyed to identify predisposing factors for children's obesity, including characteristics of the children and parents, socioeconomic factors, children's eating habits, and children's exercise habits. Results: The prevalence of obesity among the 1,102 mentally disabled children was 17.3%.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obesity and factors, such as age, maternal education, parents' perceptions about their child's obesity, frequency of breakfast, and exercise habits. Each of these factors was determine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obesity when all other factors were controlled in a multivariate analysis with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Conclusions: Parental perceptions had an especially strong impact on the weight of their mentally disabled child. This is presumably due to the great influence that parents have on the lifestyles of their children, including dietary habits and frequency of exercise. Furthermore, the rate of obesity was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age of the child. The results of this study strongly indicate the need for preemptive health education programs that stress weight management for mentally disabl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Keywords

References

  1. 강윤주(2004). 서울시내 초.중.고 학생들의 최근 18년간(1979-1996년) 비만도 변화 추이 및 비만아 증가 양상. 서울시 학교보건원 연구논문
  2. 권은령, 최하정, 이상로, 백은숙, 이가영, 박태진(2002). 부산 일부 초등학생에서 체중군에 따른 부모의 소아비만에 대한 인식도. 가정의학회지, 23(1), 68-79
  3. 교육인적자원부(2004). http://www.moe.go.kr/
  4. 구복자, 이경애(2000). 초등학생의 영양교육을 위한 식습관 및 영양지식 조사.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15(3), 201-213
  5. 길미경(1999). 비만관련 습관 및 비만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 분석.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6. 김나영, 윤호열(2002). 자녀의 장애유형에 따른 부모의 스트레스, 우울, 가족결합력. 발달장애학회지, 6(2), 59-71
  7. 김명식(2001). 정신지체 학생의 거주별 및 장애정도별 비만도 비교. 용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경기도 용인
  8. 김명자(1994). 정신지체아의 성.연령에 따른 생활습관과 비만정도 및 체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9. 김미자(2000). 정신지체아.일반아 부모의 스트레스와 가족 응집성 및 적응성 수준. 대구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대구
  10. 김성수, 강선영, 강승애, 김재동(2000). 정신지체아의 지체정도를 중심으로 한 비만에 관한 문헌고찰. 고려대학교 부설 스포츠과학연구소 논총, 11, 57-64
  11. 김은경(2004). 장애 아동의 성장발달 및 영양상태 개선을 위한 연구. 보건의료기술 연구 개발사업 최종 보고서
  12. 김형기, 이대선, 유선미, 정유석, 박일환(2001). 아산시 어린이의 비만 유병률과 비만에 관련된 위험요인. 가정의학회지, 22(10), 1484-1493
  13. 노형규 오광진(2003). 장애아동의 신체활동 프로그램 참여에 대한 부모의 인식. 한국특수체육학회지, 11(1), 1-14
  14. 대한소아과학회(1999). http://www.pediatrics.or.kr/
  15. 박경원, 이가영, 박태진, 권은령, 하성자, 문혜정, 김진경(2003). 소아에서 비만위험군 및 비만군으로 이행하는 데 관련된 요인-부산 일부지역 6학 년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가정의학회지, 24(7), 739-745
  16. 박미아(1997). Case-control study를 이용한 초등학생의 비만관련요인 연구.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서울
  17. 박영신, 이동환, 최중명, 강윤주, 김종희(2005). 23년간 서울지역 초.중.고등학생의 비만추이. 서울시 학교보건원 연구논문
  18. 박성진(2002). 서울시 중학생의 비만도와 생활습관 및 비만에 대한 태도조사. 세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19. 박영란(2002). 학령기 아동의 비만도 변화에 관한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20. 박영숙(1998). 자폐증 아동의 영양소 섭취 및 영양장애 관련요인 분석에 관한 조사연구. 정서.학습장애 연구, 14(2), 39-60
  21. 박종, 류소연, 이철갑, 안현옥, 박영봉, 박상기, 문경래, 양은석, 노영일, 배학연(1998). 초등학교 아동들의 비만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2년 추적조사 연구-. 대한비만학회지, 7(2), 134-141
  22. 방윤영(2000). 정신지체 아동의 식생활 및 건강상태에 관한 조사 연구. 인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서연태(1996). 장애인의 신체적, 심리적 핸디캡을 극복하기 위한 체육.스포츠의 역할. 부산광역시장애인 체육회 학술자료
  24. 송난영(1998). 발달장애아동의 식습관 특성. 우석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전주
  25. 안호현, 김주혜, 송경희 (1996). 서울시내 여고생들의 비만도에 따른 영양상태와 식습관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영양학회지, 9(4), 521-528
  26. 오수진(1997). 정신지체아동의 식습관과 비만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27. 윤군애(2002). 아동기 과체중 위험인자로서의 TV 시청시간, 사회계층요인, 부모의 과체중 및 부모의 활동수준.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7(2), 77-187
  28. 이도혁(2001). 남자 중학생의 비만판정법에 대한 신뢰성 검증에 관한 연구. 신라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부산
  29. 이승훈, 황정숙, 박혜순(2003). 소아기 체중의 청소년기 비만에 대한 예측-7년간의 후향적 추적을 통해-. 가정의학회지, 24(6), 642-647
  30. 이진복, 이정오, 김성원, 강재헌, 양윤준(2000). 서울 시내 일부 초등학교 아동에서 비만의 유병률 및 위험요인. 가정의학회지, 21(7), 866-874
  31. 이철원(2001). 일반아와 정신지체아의 체격 및 체력 특성 비교. 한국특수체육학회지, 9(2), 61-71
  32. 이홍재(2000). 정신지체아의 신체적 특성. 한국체육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33. 임여진(2001). 비만청소년과 가족의 비만에 대한 인식과 비만관리행위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33(7), 1028-1037
  34. 정은숙(2000). 춘천지역 초등학생의 영양지식, 식습관 및 기호도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춘천
  35. 조경자(2004). 부산지역 초등학생의 비만도에 따른 식습관 조사.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19(1), 106-117
  36. 최하정, 이상로, 백은숙, 이가영, 박태진(2002). 부산 일부 초등학생에서 체중군에 따른 부모의 소아비만에 대한 인식도. 가정의학회지, 23(1), 68-79
  37. 한민규(2002). 정신지체아의 장애정도별 형태학적 특성. 한국특수체육학회지, 10(2), 73-80
  38. 허은실, 이경혜, 장동수, 이갑연, 이주희, 주정, 윤상(1999). 창원지역 일부 비만아의 식습관과 식행동 및 영양지식에 대한 조사연구(I). 대한영양사회 학술지, 5(2), 153-163
  39. 황미경(1996). 인천지역 정상아동과 장애아동간의 식습관 및 기호도 조사.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인천
  40. Braddon FE, Wadsworth ME, Davies JM, Crepps HA(1988). Social and regional differences in food and alcohol consumption and their measurement in a national birth cohort. J Epidemiol Commun Health, 42, 341-349 https://doi.org/10.1136/jech.42.4.341
  41. Eizo Takeuchi(1994). Incidence of Obesity Among School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in Japan. Am J on Mental Retardation. 99(3), 283-288
  42. International Obesity Task Force(2004). http://www.iotf.org/
  43. Jaana L, Chris P, Marjo-Riitta(2001). Family social class, maternal body mass index, childhood body mass index, and age at menarche as predictors of adult obesty, Am J Cli Nutr, 74, 287-294
  44. Lobstein, Baur, Uauy(2004). Obesity in children and young people: a crisis in public health. Obe Rev, 5(1), 4-85 https://doi.org/10.1111/j.1467-789X.2004.00133.x
  45. S Arenz, R Ruckerl, B Koletzko, R von Kries(2004). Breast-feeding and children obesity-a systematic review. Int J Obe, 28, 1247-1256 https://doi.org/10.1038/sj.ijo.08027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