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ception of organic products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22초

소비자의 친환경농산물 인식 및 구매행동에 대한 이해 (Understanding of Consumers' Perceptions on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EAP) and Purchasing Behaviors by Comparing Purchasers and Nonpurchasers)

  • 김상오;김민희;심재한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1-42
    • /
    • 200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some alternatives to facilitate consumers' purchase of EAP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by comparing purchasers and nonpurchasers in terms of their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EAP purchasing behaviors and perceptions, and overall evaluation on EAP. Data were collected by 562 Gwangju citizens selected through snowball and convenient sampling procedures in 2007. Purchasers were more likely to be female, older, and in a higher income level than nonpurchasers. Purchasers, who were more knowledgeable about EAP, had a higher tendency to obtain EAP information through more diverse sources, and more relied on EAP certification mark to distinguish EAP. Purchasers were also more concerned about the safety from pesticides and had more confidence in the safety of EAP than nonpurchasers. Purchasers were more likely to perceive the importance of 'facilitation of EAP' and 'providing education and information about EAP' than nonpurchasers. Generally purchasers tended to be more satisfied with EAP and higher intention to increase their EAP purchase in the futur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were discussed.

  • PDF

패션산업에서 3D 프린트 제품에 대한 소비자 태도 및 구매의도연구 (A study on consumer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s for 3D printed products in the fashion industry)

  • 김지수;신상무
    • 복식문화연구
    • /
    • 제26권6호
    • /
    • pp.919-933
    • /
    • 2018
  • Recently, the textile and fashion industry has adopted 3D printing technology, through which filaments are accumulated continuously in the form of sections to produce digitalized three-dimensional fashion products. Little research has been done regarding the consumer perspectives on 3D printed fashion produc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nsumer innovativeness, uniqueness, and perception factors on consumer attitudes and purchasing intentions for 3D printed fashion products. A questionnaire was given to consumers living in Seoul and Kyunggi, South Korea. The data obtained from the 159 completed questionnaires was analyzed by regression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Cronbach's alpha using SPSS 24.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onsumer innovativeness and uniqueness, in descending order, positively affect the perceived social image. Consumer innovativeness positively affects perceived aesthetics and consumer uniqueness positively affects perceived novelty. Second, social image has a positive effect on consumer attitudes to 3D printed fashion products. Third, consumer attitude positively affects purchasing intentions towards 3D printed fashion products. Fourth, consumer innovativeness and uniqueness, in descending order, have a positive effect on consumer attitudes and purchasing intentions for 3D printed fashion products. Fifth, social image and novelty, in descending order, positively affect purchase intentions for 3D printed fashion products. Therefore fashion firms should develop their marketing strategy to focus on innovative, unique consumers as a main target and aim to enhance buyers' social image by using 3D printed fashion products.

식품 소비기한에 대한 소비자 인식 및 개선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umers' Perception and the Improvement for the Use-by-Date of Food)

  • 박미성;홍연아;양성범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35-350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operate and manage the new food period system by investigating consumer perception of sell-by-date and use-by-date, and change of purchasing and consumption period by food period label. Although they have opinions that fit the purpose of introducing the system, such as the need to introduce a use by date, extending the food intake period, and reducing food waste, they still lack an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system, so education or publicity is needed. In addition, no matter what form of use by date is introduced, products with food expiration date are still likely to be returned or discarded.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adjust the setting criteria or safety factor for each deadline rather than changing the food period labeling method. In order to reduce consumer confusion and food waste, it is judged that the parallel marking of the sell by date and use by date is appropriate.

유기농업에 대한 환경성·공익성 인식과 친환경 농산물 소비 및 활성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Awareness of Organic Farming on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Product Consumption and Revitalization)

  • 신예은;김상범;최진아;한석준;안경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46-55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일반 시민을 대상으로 유기농업과 친환경 농산물에 대한 인식 및 구매행태를 조사하고, 유기농업에 대한 인식이 친환경 농산물의 소비와 가격 저항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또한 향후 유기농업 활성화를 위한 조건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 도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설정된 연구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기농업의 환경성/공익성 인식은 친환경 농산물 소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둘째, 유기농업의 환경성/공익성 인식은 유기농업 활성화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마지막으로, 친환경 농산물 소비 경험은 유기농업 활성화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유기농업의 환경적·공익적 요인을 도출하여 전국 성인남녀 1,500명을 대상으로 인터넷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로지스틱 회귀분석 등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유기농업에 대한 환경적·공익적 인식이 친환경 농산물 소비까지로 이어지는 요인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으나, 환경적·공익적 인식이 높은 경우 친환경 농산물 소비에 가장 큰 제약 원인인 가격에 대한 저항성이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환경적·공익적 인식이 강할수록 유기농업의 확대에 대한 지지와 친환경 농산물 구매의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기농업에 대한 소비자 인식과 태도를 확인함으로써 향후 친환경 농산물 소비 및 유기농업 활성화 대책 마련의 기초 자료로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충남지역 친환경 급식의 날 운영에 따른 초·중학생의 친환경 농산물에 대한 인식 및 급식만족도 (Perception of 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and Food Service Satisfaction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Eco-friendly Food Service Day in Chungnam)

  • 정지형;김은진;김명희;최미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14-119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학교급식에서 친환경 급식의 날을 운영하는 초등학교와 중학교, 운영하지 않는 초등학교와 중학교 학생의 친환경 농산물에 대한 인식과 학교급식 만족도를 조사하여 친환경 급식의 날 운영 특성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학교급식의 질과 만족도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친환경 급식의 날을 운영하는 초 중학생의 친환경 농산물에 대한 인식에서 운영교 학생은 친환경 농산물이란 유기농산물이라고 답한 비율이 높은 반면, 비운영교 학생은 무농약 농산물이라고 답한 비율이 높았다. 친환경 농산물을 선택하는 방법은 초 중학생 모두 품질인증 표시를 보고 구분한다는 응답이 가장 높았다. 가정에서 친환경 농산물을 사용하는 빈도는 초등학생의 경우 친환경 급식의 날 운영교에서 매일 사용한다는 응답이 42.1%로 비운영교의 25.0%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1). 학생의 친환경 급식의 날 운영에 따른 급식만족도는 친환경 급식의 날을 운영하는 초등학교와 중학교가 운영하지 않는 학교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할 때 친환경 급식의 날을 정기적으로 운영하는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학생들의 학교급식 만족도가 비운영교의 학생에 비하여 높았다. 앞으로 학교급식에서 학생들의 기호를 고려한 메뉴 개발 및 조리법의 다양화 등으로 우수하고 안전한 친환경 농산물의 사용을 보다 폭넓게 확대하는 방안에 대한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대구지역 학교급식 영양(교)사의 우수농산물에 대한 인식 및 적용 실태 (Actual Status of School Dietitians' Recognition and Use of Superior Agricultural Products in Daegu)

  • 장진아;안선우;최미경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12-320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the school dietitian on superior agricultural products (SAP) and the status of using superior agricultural products in school meals.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185 school dietitians after face to face interview, and a total of 181 responses were used for analysis. 82.3% of the respondents were using SAPs in school meals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lementary school (95.1%), middle school (76.8%) and high school (66.7%) dietitians (p < 0.001). 85.2% of the dietitians, who were using SAP, were purchasing SAPs through electronic bidding, and the main reason of not using SAPs was the higher price of SAPs than that of general agricultural products. The good agricultural practices (GAP) product was considered the most appropriate agricultural products for school meals by the majority of respondents (66.9%), and organic products was the next (13.3%). In addition, the most important selection criterion for a SAP perceived by school dietitians was safety (58.0%), and the main reason of using SAPs in school meals, when two choices were allowed, was 'to provide healthful food to children' (98.9%). The major barriers to using SAPs in school meals (two choices were allowed) were 'too expensive' (73.5%) and 'unstable supply' (32.6). In conclusion, it was suggested that there should be an improvement in SAP supply and management systems to increase the use of SAPs in school meals.

충남 영양(교)사의 학교급식지원센터 운영 필요성에 대한 인식 분석 (Analysis of Nutrition Teachers' Awareness of Necessity for an Operating School Meal Support Center in Chungnam)

  • 김종화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506-515
    • /
    • 2018
  • Objectives: We investigated the operation needs of school meal support centers (SMSC) in Chungnam-do based on analysis of nutrition teachers' perception of them. Methods: The Chungnam government established the first SMSC in 2012. Thirteen SMSCs are currently being operated in Chungnam-do. To analyze the results quantitatively, we investigated nutrition teachers opinions regarding the necessity for SMSCs as a dependent variable and derived the independent variables based on the causal relationships with dependent variables using the ordered logit model. Those independent variables included region, school type, number of students, attitude regarding free meal policy, satisfaction with school meal policy, and preference for local food. Results: Briefly, teachers in the region in which the SMSC was located more strongly supported the SMSC. In addition, teachers in public schools with a smaller number of students believed that having a SMSC is more beneficial, and that other variables also affected the necessity for SMSCs. Moreover, nutrition teachers preferred local foods rather than organic foods because of the unstable supply of organic foods.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recommended that the local government implement the policy consistently. Moreover, it was recommended that the government operate the SMSC more efficiently, enhance the roles of the SMSC as the local organization responsible for student nutritional planing and expand the coverage of agricultural products.

소비자인지도화령수상사회책임(消费者认知度和零售商社会责任): 종미국시각출발적도덕구매행위적탐색성연구(从美国视角出发的道德购买行为的探索性研究) (Consumer Awareness and Evaluation of Retailers' Social Responsibility: An Exploratory Approach into Ethical Purchase Behavior from a U.S Perspective)

  • Lee, Min-Young;Jackson, Vanessa P.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20권1호
    • /
    • pp.49-58
    • /
    • 2010
  • 企业社会责任已经成为学者们进行研究的一个重要课题. 多数认为企业社会责任对企业去定义他们在社会中的责任是必要的, 并且为他们的商业活动提供社会和道德标准. 其结果是, 相当数量的零售商已经采用企业社会责任为一个战略工具来宣传他们的商业活动. 为此, 本研究企图探索美国消费者在他们对零售商主观的感知和评估的基础上在道德购买和消费中的态度和行为. 本文的目的包括: 1)测定参与者对零售商企业社会责任的认知度. 2)评定参与者如何评估零售商企业社会责任. 3)测定参与者对零售商企业社会责任的评估过程是否影响他们对零售商的态度. 4)评定参与者对零售商企业社会责任的态度是否影响他们的购买行为. 本文并没有关注实际的零售商企业社会责任表现. 因为消费者的决定过程是基于个体的评定而不是实际的事实. 本研究调查了美国大学生对零售商企业社会责任的认知和评估. 本研究的参与者是56名来自美国东南大学的大学生. 他们的年龄在18岁到26岁之间. 使用开放性译码和选择性译码进行内容分析. 我们收集和分析了超过100张单倍行距的答复. 使用两步骤的译码(即开放性译码和选择性译码. 译码结果和分析笔记用来理解参与者对企业社会责任的认知和从书写的回复中提炼出来包括直接引用的答案所支持的伦理购买行为. 为保护参与者隐私, 这里使用的都是化名. 参与者被要求写下有关零售商, 他们对企业社会责任问题的认识和评估一个零售商的企业社会责任表现. 大部分应答者(n=28)表明他们对企业社会责任有一定的认识但是不觉得需要按这个要求去做. 少数应答者(n=8)表明他们对企业社会责任有一定的认识但是基本不关心. 结果表明当大学生评估零售商的几页社会责任表现时, 他们使用企业社会责任的三个纬度: 员工支持, 社区支持和环境支持. 我们发现如何对待和支持员工是一个评估零售商的企业社会责任的重要准则. 应答者表明作为一个员工和零售商有好的经历会使他们对此零售商有积极的感知和态度. 和员工支持相关的有四个主题: 根据员工表现的奖励和惩罚, 工作环境, 员工教育和训练课程, 以及员工和员工家人折扣. 良好的赏罚机制被认为是一个重要的属性. 和工作环境相关的因素包括: 零售商如何良好的遵守与工作时间相关的规则, 午餐时间和休息同样被认为是重要的属性之一. 有关社区支持, 有三个方面: 对当地社区销售比率的贡献, 对慈善组织的财政贡献和对社区大型活动的支持. 在环境方面, 有两个主题: 循环利用和销售有机或绿色产品. 在回复中有提到, 零售商正在尝试去做对环境友好所能做的. 一位应答者提到这个公司正在创造有环保设计的店铺. 并且能在这家公司的网站上轻松的找到为帮助环境所做的事情的信息. 应答者还注意到这些店铺可提供有机和亲环境产品. 应答者在此类中还提到关于这个公司如何使用环保的杯子和他们如何帮助新奥尔良的居民重建家园. 应答者注意到零售商为购买产品的消费者提供可再使用的袋子. 一位应答者说一家零售商通过提供有机棉来使他们的产品帮助环境. 在分析应答者之后, 我们发现参与者对零售商的企业社会责任的评估影响他们对零售商的态度. 然而, 在态度和购买行为之间有显著的差异. 尽管参与者对零售商的企业社会责任有积极的态度, 但资金和时间的缺乏也影响他们的购买行为. 总体来看, 一半的应答者(n=28)提到在购物时企业社会责任表现影响他们的购买决定. 本研究的结果为零售商针对消费者提高他们的形象而考虑企业社会责任提供了支持. 本研究暗示出消费者根据员工, 社区和环境三方面的支持来评估零售商. 评估, 态度和购买行为似乎是密切相关的. 也就是说, 评估是基于消费者对零售商企业社会责任的认识. 这些认识可以影响他们对零售商的态度从而进一步影响他们的购买行为. 参与者同时表明企业社会责任会使他们对零售商印象良好但是并不会影响他们的购买行为. 在参与者中, 价格和便利似乎超越了企业社会责任的重要性. 本文还讨论了此研究的启示, 对未来研究的建议和研究的局限.

보석 컷팅디자인을 활용한 보석산업활성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f Design With Application On Of Gem Cutting Technique)

  • 장명수;박승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0호
    • /
    • pp.483-490
    • /
    • 2012
  • 현대사회의 발전에 따라 삶의 질이 향상되면서, 귀금속보석은 사치품이라기보다는 패션의 일환으로 신변장식품이라는 의식변화와 함께 그 수요가 점점증가하고 있다. 인터넷(Internet) 등 멀티미디어(Multimedia)가 급속히 증가됨에 따라 파격적(破格的)인 디자인(Design)과 독특한 제품을 애용하는 인구가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앞으로는 한정된 천연보석의 고갈로 인하여, 천연보석만으로 그 수요를 감당할 수 없기 때문에 합성보석, 인조보석, 모조보석(模造寶石), 유기질, 물질 비경질 형태의 준(準) 광물(鑛物) 등(等)을 보석대용으로 사용한다. 그래서 합성보석의 대체성(代替性)은 필연적이기 때문에 다양한 합성보석, 유리( 琉璃)등의 소재가 개발되고 있고. 보석가공기술 및 독창적인 디자인개발이 뒤 따른다면, 합성보석에 대한 부가가치를 극대화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귀금속보석 산업에 있어서도 그 역할(役割)이 크게 기여(寄與) 할 것으로 본다. 세계 여러 나라는 귀금속보석 산업이 부를 추구 하는 효자산업으로 발전하고 있고, 우리나라도 2007년(年) 7월(月) 재경부가 우리나라의 귀금속보석 산업을 국가의 새로운 "신 성장 동력산업으로 육성 발전시켜 나가겠다는 귀금속보석 산업의 활성화정책"을 발표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귀금속산업의 활성화 방안을 찾아보기 위하여 합성보석을 이용한 보석 컷 디자인을 연구함으로써, 보석의 획일적(劃一的)인 연마형태(硏磨形態)에서 벗어나 독특하고 패션적인 커팅과 보석에 색상과 문양을 주어 다양한 보석디자인을 개발을 하고, 천연보석중심의 보석 디자인보다는 대중적이며, 많은 사람들이 함께 공유할 수 있는 합성보석을 이용하여 보석을 디자인 하였으며, 보석의 한정된 디자인 형태에서 벗어나 보석의 새로운 디자인을 발견하고 차별화된 제품을 생산함으로써 품질의 고급화로써 경쟁력(競爭力)을 확보(確保)하여 주얼리 디자인(Jewelry Design)의 창작영역 확대에 기여(寄與)하고자 보석 디자인 중심으로 연구를 하게 되었다.

쌀빵에 대한 인식 및 학교급식 적용 가능성 분석: 교육청 학교급식 담당자를 중심으로 (Perception of School Foodservice Officials on Rice Bread as School Foodservice Menu)

  • 양일선;이민아;차성미;조윤희;이소영;이소정;이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729-737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교육청 학교급식 담당자를 대상으로 쌀빵을 학교급식에 적용하는데 있어서의 가능성 타진을 목적으로 학교급식 담당 실무자의 입장에서 쌀빵에 대한 인식 및 학교급식에의 적용가능성에 대해 분석 조사하였다. 응답한 33부의 설문지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대부분(93.9%)은 여자였으며, 교육청 근무경력은 평균 2년 3.5개월, 학교급식관련 근무경력은 평균 8년 8.4개월이었다. 교육청 관할 하에 있는 학교로는 시 도 교육청 그룹에서는 초등학교의 경우 농어촌형 직영 272.3개교, 중학교의 경우 농어촌형 직영 115.5개교, 고등학교의 경우 농어촌형직영 73.0개교로 가장 많은 유형으로 나타났다. 지역교육청의 관할 하에 있는 학교 유형으로는 초등학교의 경우 도시형 직영 23.3개교, 중학교에서는 도시형 직영 11.6개교, 고등학교의 경우 도시형 위탁 5.3개교로 가장 높은 값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청의 학교급식 지원 분야에 대해 복수응답하게 한 결과, 응답한 교육청 모두에서 저소득층 급식비를 지원하고 있었고 식품비 분야에서는 친환경농산물 12개청(50.5%), 우리농산물 5개청(20.8%), 지역농산물 4개청(16.7%)순으로 지원하고 있었다. 시 도 교육청에서는 저소득층 급식비(중앙값 839.0개교)에, 지역교육청에서는 지역농산물 식품비(중앙값 37.5개교)에 가장 많은 학교를 지원하고 있었다. 지원 금액으로는 시 도 교육청이 저소득층 급식비에 평균 168억원, 지역교육청이 급식종사자 인건비가 평균 10억 5천만원을 지원하고 있었다. 셋째, 학교급식에서의 쌀 이용현황을 살펴보면 초등학교에서는 평균 91.26%가 정부미, 40.64%가 지역쌀을 사용하고 있었고, 중학교와 고등학교 역시 정부미와 지역쌀을 주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쌀 이용 증진에 대한 교육청의 관심도는 평균 5.00점(Likert 7점 척도)이었고 쌀 이용을 위한 교육청의 지원의지는 평균 4.66점으로 관심이 있다고 조사된 반면, 교육청이쌀 이용 증진을 위한 방안 및 정책을 시행한 경험은 평균 3.31점으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정책 시행 경험이 적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학교급식에 쌀빵 메뉴 적용을 위한 방안 및 정책에 대해 교육청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관심도는 평균 4.35점, 쌀빵 지원의지는 평균 4.14점, 급식에 쌀빵 적용의 바람직성은 4.71점, 급식에 쌀빵 적용 실현가능성은 4.69점으로 높은 점수를 나타낸 반면, 쌀빵 적용 방안 및 정책의 시행 경험은 2.18점으로 낮은 수준으로 조사되었다. 쌀빵을 학교급식에 적용하기 위한 바람직한 지원방법은 '관련 조리기기 지원'(예: 오븐) 19명(57.6%), '보조금 지급', '납품가 할인' 각 9명(27.3%), '현물(쌀빵)제공' 8명(24.2%)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쌀빵을 학교급식에 적용할 때의 장점으로는 다수가 '쌀 소비 촉진' 24명(72.7%)이라고 응답하였고, '영양적우수성' 18명(54.4%), '건강 지향적인 학교급식 이미지 제고' 17명(51.5%), '제공메뉴의 다양성' 12명(36.4%) 등의 의견이 있었다. 반면, 장애요인으로는 '조리시설(오븐 등)의 부족' 24명(72.7%), '비교적 높은 원가' 18명(54.5%), '식단 적용의 한계', '제한적인 조리방법'은 각 13명(39.4%), '급식정책의 미흡' 5명(15.2%), '업체의 홍보부족' 4명(12.1%) 등의 순으로 응답하였다. 다섯째, 교육청의 학교급식에서의 쌀 이용에 대한 의견과 쌀빵 적용에 대한 의견과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학교급식에서의 쌀 이용 증진에 대한 '관심'과 '지원의지'는 매우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p<0.001), 또한 '관심'과 '지원의지'는 쌀 이용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 및 정책을 시행한 '경험'과 관련성이 있다고 조사되었다(각 p<0.05, p<0.01). 또 학교급식 메뉴에의 쌀빵을 적용하는 것에 있어서도 쌀빵 적용에 대한 '관심'과 '지원의지'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p<0.001), 쌀빵 적용의 '바람직성'과 '지원의지', 쌀빵 적용의 '실현가능성' 역시 매우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p<0.001). 쌀 이용에 대한 관심이 적은 그룹과 관심이 많은 그룹 간에는 학교급식 메뉴에 쌀빵을 적용하는 것에 대한 인식의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다고 나타났으며, 쌀 이용 증진을 위한 지원의지가 높은 그룹과 낮은 그룹 간에는 쌀빵 적용을 위한 정책을 시행한 경험에 대한 문항을 제외하고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쌀 이용 증진을 위한 정책을 시행한 경험 여부에 따른 두 그룹 간 학교급식 메뉴의 쌀빵 적용에 대한 인식을 비교한 결과, 쌀빵 적용에 대한 관심, 지원의지, 정책 시행 경험 문항에 있어서 경험 많은 군이 경험 적은 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여주었다(p<0.01). 이상의 연구 결과는 쌀빵을 학교급식에 적용 및 확대하는데 앞서 정책실행의 주체가 되는 교육청 담당자들의 인식을 파악한 것으로 앞으로의 쌀빵 적용 증진 계획을 효율적으로 세우는 것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판단된다. 연구결과와 같이 대부분의 교육청 급식 담당자들이 쌀 소비 촉진 및 영양과 건강증진 등의 이유로 쌀뿐만 아니라 쌀빵을 학교급식에 적용하는 것에 의지와 관심이 높음을 알 수 있었으나 실제로 실행에 옮기는 경우는 상대적으로 적은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따라서 앞으로 쌀빵을 학교급식에 확대 적용하기 위해서는 교육청 담당자들의 이런 의지와 관심을 더욱 확고히 하고 현실적인 지원, 예를들어 오븐 및 현물 지원 등의 적극적인 지원 방안이 수립되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는 조사대상자인 교육청 급식담당자의 표본수 확보에 한계를 보였고, 아직까지 상용화 및 급식현장에서 제공되는 비율이 미미한 쌀빵이 조사의 주제어였기에 응답자의 인지도 및 인식 부족이 연구의 한계점으로 작용하였다. 향후 급식현장에서의 목소리를 담아낼 수 있는 영양(교)사,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쌀빵관련 연구가 진행된다면 쌀빵 사용 확대에 현실적인 지원책 마련에 일조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