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ception of Home Economics as a subject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초

자기개방과 부부적응에 관한 상관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sclosure and Marital Adjustment)

  • 전길양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09-224
    • /
    • 198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between spouse's self-disclosure and marital adjustment. A measurement tools used for this study are self-disclosure scale, which was adapted and reproducted from Jourard's Self-Disclosure! Questionnaire(JSDQ), and marital adjustment scale, which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form Dyadic Adjustment Scale (D.A.S). developed by Spanier. The subjects were 154 married couples dwelling in Seoul and questionnaires are recorded separately by both spouses. Statistical methods such as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one way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For husband, self-disclosure degre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level of education. That is, the more husband was higher level of education, the more husband tended to disclose to wife. 2) Among the variables to have influence on the marital adjustment, level of education and marriage pattern had influence on wive's martial adjustment and family income and marriage pattern had influence on husbands' marital adjustment. 3) Wives were higher disclosed than husbands and wives were more disclosed than perceived husbands' disclosure. 4)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elf-disclosure of husbands and the marital adjustment of wives. (r+.3872, p<.005) And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elf-disclosure of wives and the marital adjustment of husbands. (r=.4997, p<.005) 5) For wives, the perception of husbands' disclosure correlates with wives' marital adjustment. (r=.4592, p<.005) For husbands, the perception of wives' disclosure correlates with husbands' marital adjustment.(r=.5610, p<.005) From this results, full and honest self-disclosure is needed for high marital adjustment of a married couple. In the future,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sclosure and marital adjustment is need to various measure of many subject.

  • PDF

전통 생활 문화 교육을 위한 스토리텔링 기반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 개발: 전통 문양과 오방색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Maker Education Programs Based on Storytelling for Traditional Living Culture Education: Focusing on Traditional Patterns and Obangsaek(Korean Traditional Five Colors))

  • 김샛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51-76
    • /
    • 2020
  • 본 연구는 2015 개정 고등학교 가정과 교육과정에 적용할 수 있는 전통 생활 문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 제안하는 것이다. 가정 교과는 전통 생활 문화를 교과 내용으로 다루고 있으며, 현대생활에 적합한 새로운 문화를 재창조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기존 학교에서의 전통 생활 문화 교육은 이론 교육 위주 혹은 일회성의 체험 위주의 교육이 이루어져 왔다. 또한 주로 초등학생과 중학생 대상의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고등학생을 위한 프로그램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고등학생을 위한 가정과 프로그램을 개발해 전통 문화 교육의 발전적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식, 한복, 한옥에 공통적으로 다룰 수 있는 전통 문양과 오방색을 전통 생활 문화 교육 주제로 선정하고, ADDE의 단계를 따라 전통 생활 문화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분석 단계에서는 2015 개정 고등학교 가정과 교육과정과 12종 가정 교과서의 만들기 활동, 교사와 학습자의 생활 문화 교육에 대한 경험과 요구를 분석하였다. 설계 단계에서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스토리텔링 기반 메이커 교육 모형 설계와 수업 주제 도출, 만들기 활동, 메이커 도구와 재료를 선정하였다. 개발 단계에서는 전통 의·식·주 생활문화 교육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평가 단계에서는 가정과 교육 전문가 12명을 대상으로 타당도 검사 및 피드백을 받아 수정하여 프로그램을 완성하였다. 추후 연구로 이 프로그램을 적용해 학생들의 전통 생활 문화에 관한 인식과 전통 생활문화의 발전과 계승 의지 등의 효과를 살펴보는 연구를 제언한다.

학교급식 잔반에 대한 인식 및 태도 - 광주지역 일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 (Perception and Attitudes to Leftover Food at School Food Service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wangju Area-)

  • 김미숙;전은례;황금희;정난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37-147
    • /
    • 2011
  •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초등학교 6학년 17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급식 및 급식 잔반에 대한 인식 및 태도, 잔반 교육 실시 여부에 따른 영양소 섭취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첫째, 급식의 만족도는 그저 그렇다, 급식의 좋은 점은 도시락을 가지고 다니지 않아서 편하다, 급식비와 급식의 질은 현재 모두 적당하다고 한 경우 가장 높았다. 급식의 싫은 점은 식당 배식원의 불친절, 급식의 보완 요망 음식으로는 과일 및 음료, 급식의 잔반 종류로는 김치를 포함한 나물류, 급식의 잔반 원인은 싫어하는 음식이어서, 급식의 잔반 횟수는 주 1~2회, 급식의 음식 섭취 순서는 먹어본 경험이 있는 음식을 먼저 먹는다, 급식의 편식 여부는 편식을 한다, 편식의 종류로는 콩류 및 잡곡류의 경우 가장 높았다. 둘째, 급식 잔반에 대한 인식 및 태도에 있어 음식물 잔반 여부는 거의 남기지 않는다, 잔반 감소 방법은 음식을 맛있게 요리해서, 잔반 교육 여부는 받은 적이 있다, 잔반 감소교육 방법으로는 학교수업 시 담임선생님의 지도를 통해서, 잔반 처리 방법은 가축 사료 등으로 재활용, 잔반 감소 필요성의 인식은 환경을 오염시켜 우리에게 피해를 주기 때문,실천 가능한 잔반 감소 방법은 잔반 없는 날 운영이 가장높게 나타났다. 셋째, 총 식품 섭취량은 잔반 교육 실시반의 경우 517.46 g로 미실시반의 경우 474.75 g보다 높았고, 영양소 섭취량도 잔반 교육 실시반이 미실시반보다 각 영양소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01).

모피의류의 편익과 위험 지각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소비자 감정의 다중 매개효과 (Effects of Benefits and Risk Perception on Purchase Intention for Fur Apparel: A Multiple Mediation Model of Consumer Emotions)

  • 이진명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5권6호
    • /
    • pp.609-623
    • /
    • 2017
  • Fur apparel is a representative luxury item that displays wealth and social status; however, it is also recognized as an unethical product criticized for its animal maltreatment in the production process. Understanding consumer responses to an ambivalent object, such as fur apparel, is an important research topic both academically and practicall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hierarchical effects of perceived benefits and risks of fur apparel on consumers' emotions and purchase intention by applying the ABC model of attitude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s of consumer emotion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390 female consumers that verified hypotheses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bootstrapping analysis using phantom variables. The initial results of the survey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conspicuous benefits and purchase intention towards fur apparel was partially mediated by positive emotion.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epistemic benefits and purchase intention was completely mediated by positive emotion.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ethical risk and purchase intention was completely mediated by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Fourth, perceived social risk did not affect the purchase intention of fur apparel significantly. The results support that cognitive beliefs about the subject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s through emotions as suggested in the ABC model of the attitude. This study provides an in-depth understanding of consumer responses to ambivalent objects by revealing the individual mediating effects of consumers'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자유학기제 수업에 대한 초임 기술 교사들의 인식 분석 (Analysis of Beginning Technology Teacher's Perception for Free Semester Program Class)

  • 김성일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25-139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 초임 기술 교사를 대상으로 '자유학기제'의 수업 내용과 수업 운영에 대한 기술 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하여 자유학기제 기술 수업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 연구 데이터는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를 지도하고 있는 100명의 기술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분석한 것이다. 연구에 사용된 설문 조사 도구는 문헌 연구를 통하여 연구자가 개발하였고, 전문가 4인의 검토를 받아 수정 보완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통계 프로그램(SPSS, Ver. 18)을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교사들의 자유학기제 수업 경험별 수업 내용 및 만족도 응답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남녀 교사별 수업 내용 및 만족도 응답에서는 남교사들이 여교사들 보다 '진로탐색'에 더 도움이 된다고 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실습 공간 유무에 따른 응답에서, 진로탐색에 대한 만족도는 실습 공간이 있는 교사의 만족 평균(M=3.64)이 실습공간이 없는 교사의 평균(M=3.25)보다 높았고,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자유학기제를 경험한 교사들에 대한 응답을 분석한 결과, 남교사들은 여교사들보다 평가준거를 정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기술교사들은 자유학기제 기술 수업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 실습재료 부족, 수업시수 증가, 실습 공간 및 수업 내용 부족 등의 해결을 요청하였다. 다섯째, 자유학기제 수업자료는 주로 인터넷이나 기술 교과 연구회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자유학기제에 대한 연수와 정보 공유를 요청하고 있다.

비만정도에 따른 우울 및 스트레스 - 정상체중, 비만, 고도비만 집단의 비교 - (Depression and Stress Related to Obesity among Normal, Obese, and Severe Obese Groups - Comparison among Normal, Obesity, and Severe Obesity Groups -)

  • 남수정;박종호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1199-1210
    • /
    • 2012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obesity on depression and stress by analyzing the results of the national survey on health and nutrition. Relationships between normal, obese, and severely obese groups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obesity caused by demographic variables showed a relationship to both gender and average monthly income. In the case of the seriously obese group, females had higher rates of depression than males, and the high obesity group had lower average monthly income than the normal and obese groups. Second, obesity caused by health-related variables found that high blood pressure, hyperlipidemia, and diabetes that was not angina-related displayed higher rates of depression in the serious obesity group than in the other groups. As for subjective evaluations of one's own health condition, the serious obesity group showed a high tendency to evaluate their own health conditions negatively. Third, the difference between depression and stress related to obesity level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the normal weight group and the obesity group; however, the seriously obese group demonstrated relatively higher occurrences of depression and higher stress scores. Fourth, the result for depression and stress level caused by demographic variables, health-related variables, and obesity demonstrated a direct relationship to gender, subjective level of satisfaction with one's personal finances, average monthly income, subjective perception of one's own health and severely obesity status. More specifically, it was found that the ratio of depression and stress score was higher when the subject was female, among those whose subjective evaluation of their own finances and health condition was negative, and those who suffered from severe obe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