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centage of consonants correct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3초

학령기용 음소지각검사 표준화를 위한 기초연구: 청각장애아동을 대상으로 (A preliminary study on standardization of phoneme perception test for school-aged children : Focused on hearing impaired children)

  • 신은영;조수진;이효인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99-107
    • /
    • 2022
  • 본 연구는 학령기용 음소지각검사(Phoneme Perception Test for School-Aged Children, PPT-S)를 활용하여 보청기와 인공와우를 착용하고 있는 청각장애아동의 자음지각능력과 오류를 분석하고, 청각장애아동에 대한 검사 목록의 적합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청각장애아동들은 초성에 비해 종성을 지각하는 데 어려움을 더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표어와 보기어의 조음방법과 조음위치가 유사한 PPT-S의 어려운형을 쉬운형보다 더 어렵게 느꼈다. 초성은 기식음에 대한 오답률이 더 높았고, 종성의 경우 'ㄷ'와 'ㅁ'에 대한 오답률이 상대적으로 더 높았다. 검사자의 성별에 따른 정답률에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는 청각장애아동 대상 음소지각검사의 표준화와 청능재활 전·의 중재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말소리장애 아동의 단어와 자발화 문맥의 음운오류패턴 비교 (A comparison of phonological error patterns in the single word and spontaneous speech of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 박가연;김수진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7권3호
    • /
    • pp.165-173
    • /
    • 2015
  • This study was aim to compare the phonological error patterns and PCC(Percentage of Correct Consonants) derived from the single word and spontaneous speech contexts of the speech sound disorders with unknown origin(SSD).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the development phonological error patterns and non-developmental error patterns of the target children, in according to speech context. The subjects were 15 children with SSD up to the age of 5 from 3 years of age. This research use 37 words of APAC(Assessment of Phonology & Articulation for Children) in the single word context and 100 eojeol in the spontaneous speech context. There was no difference of PCC between the single word and the spontaneous speech contexts. Significantly different developmental phonological error patterns between the single word and the spontaneous speech contexts were syllable deletion, word-medial onset deletion, liquid deletion, gliding, affrication, fricative other error, tensing, regressive assimilation. Significantly different non-developmental phonological error patterns were backing, addtion of phoneme, aspirating. The study show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of PCC between elicited single word and spontaneous conversational context. And there were some different phonological error patterns derived from the two contexts of the speech sound disorders. The more important interventions target is the error patterns of the spontaneous speech contexts for the immediate generalization and rising overall intelligibility.

조음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의 말운동통제 보상능력 비교 (Compensation Ability in Speech Motor Control in Children with and without Articulation Disorders)

  • 송윤경;심현섭
    • 음성과학
    • /
    • 제15권3호
    • /
    • pp.183-201
    • /
    • 2008
  • This study attempted to reveal the physiologic etiology or related factors associated with speech processing by comparing the compensation ability in speech motor control in children with and without articulation disorders. Subjects were 35 children with articulation disorder and 35 children without articulation disorder whose age ranged from 5 to 6 years. They were asked to rapidly repeat /$p^ha$/, /$t^ha$/, /$k^ha$/, /$p^hat^hak^ha$/ diadochokinetic movement while mandible was free and mandible was stabilized with bite block. The results showed that children with articulation disorder revealed significantly greater difference in elapsed time for diadochokinetic movement between mandible free and stabilized state compared to the without articulation disorder group. Bu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ercentage of consonants correct and the compensation ability in speech motor control in the articulation disorder group was irrelevant. These results point out to the fact that children with articulation disorder have poor compensation ability in speech motor control compared to the children without articulation disorder. On the other hand, the poor ability does not have any relation with the severity of articulation disorder. These results suggest either general or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articulation disorder.

  • PDF

음질, 운율, 발음 특징을 이용한 마비말장애 중증도 자동 분류 (Automatic severity classification of dysarthria using voice quality, prosody, and pronunciation features)

  • 여은정;김선희;정민화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3권2호
    • /
    • pp.57-66
    • /
    • 2021
  • 본 논문은 말 명료도 기준의 마비말장애 중증도 자동 분류 문제에 초점을 둔다. 말 명료도는 호흡, 발성, 공명, 조음, 운율 등 다양한 말 기능 특징의 영향을 받는다. 그러나 대부분의 선행연구는 한 개의 말 기능 특징만을 중증도 자동분류에 사용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음성의 장애 특성을 효과적으로 포착하기 위해 마비말장애 중증도 자동 분류에서 음질, 운율, 발음의 다양한 말 기능 특징을 반영하고자 하였다. 음질은 jitter, shimmer, HNR, voice breaks 개수, voice breaks 정도로 구성된다. 운율은 발화 속도(전체 길이, 말 길이, 말 속도, 조음 속도), 음높이(F0 평균, 표준편차, 최솟값, 최댓값, 중간값, 25 사분위값, 75 사분위값), 그리고 리듬(% V, deltas, Varcos, rPVIs, nPVIs)을 포함한다. 발음에는 음소 정확도(자음 정확도, 모음 정확도, 전체 음소 정확도)와 모음 왜곡도[VSA(vowel space area), FCR (formant centralized ratio), VAI(vowel articulatory index), F2 비율]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특징 조합을 사용하여 중증도 자동 분류를 시행하였다. 실험 결과, 음질, 운율, 발음 특징 세 가지 말 기능 특징 모두를 분류에 사용했을 때 F1-score 80.15%로 가장 높은 성능이 나타났다. 이는 마비말장애 중증도 자동 분류에는 음질, 운율, 발음 특징이 모두 함께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마비말장애 성인의 자음정확도와 비음치가 말명료도 및 말용인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ercentage of Correct Consonants and Nasalance Score on the Speech Intelligibility and Acceptability in Adults with Dysarthria)

  • 장선정;최현주
    • 재활복지
    • /
    • 제20권3호
    • /
    • pp.67-82
    • /
    • 2016
  • 본 연구는 표준문단 읽기 과제를 사용하여 얻어진 동일한 말샘플을 통하여 마비말장애 성인의 자음정확도와 비음치가 말명료도 및 말용인도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은 마비말장애 성인 10명과 일반 성인 16명이었다. 비음치 측정을 위한 과제로는 모음 연장, 구강음과 비강음 문장, 표준문단 읽기를 사용하였으며, 동일한 표준문단을 사용하여 자음정확도를 측정한 후, 평정자 20명에게 시각적 아날로그 척도를 사용하여 말명료도, 말용인도를 평정하게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강음과 비강음 문장, 표준문단에서는 마비말장애 성인 집단의 비음치가 일반 성인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나, 모음연장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마비말장애 성인의 자음정확도는 말명료도 및 말용인도와 유의한 상관을 보였으나, 비음치는 말명료도 및 말용인도와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자음정확도를 통제한 상황에서도 비음치는 말명료도 및 말용인도와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셋째, 회귀분석 결과 마비말장애 성인의 자음정확도가 말명료도와 말용인도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마비말장애 성인의 자음정확도는 말명료도, 말용인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나, 비음치는 말명료도 및 말용인도와의 상관이 유의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문장 따라말하기 과제에서 3~7세 아동의 말소리발달 (Phonological development of children aged 3 to 7 under the condition of sentence repetition)

  • 김수진;박나래;장문수;김영태;신문자;하지완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2권1호
    • /
    • pp.85-95
    • /
    • 2020
  • 아동이 산출하는 말소리를 평가할 때 단어와 문장을 유도하여 산출한 말소리를 분석하고, 자발화를 이용하여 분석하기도 한다. 단어 검사와 자발화 검사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평가 방법으로 문장 따라말하기 과제가 있다. 문장 따라말하기 과제를 통한 아동의 말소리 평가는 자발화와 유사한 특성을 보이면서 단어와 같이 제한된 시간 안에 다양한 음소를 평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모음문맥에서 자음을 배치하고 모든 음소가 3회 이상의 출현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계획된 11개의 문장 따라말하기를 통해 연령과 성별에 따라서 단어단위 음운지표와 개정자음정확도의 발달을 살펴보았다. 전국에 거주하는 3세부터 7세까지 아동 535명을 대상으로 UTAP2에 새롭게 포함된 11개 문장 따라말하기 과제를 실시하였다. 말소리발달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 PCC-R, PWC, PMLU, PWP을 구하였다. 아동은 연령별 6개월 단위로 10개의 집단을 구분하고 각 지표에 대해 연령집단과 성별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모든 지표에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수치가 상승하였으며 연령집단 간 차이는 유의하였다. 성별에 따른 차이와 연령과 성별의 상호작용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전국에서 자료를 수집하였고, 연령집단을 6개월로 나누어 보았으며, 집단별 데이터를 충분히 수집하였다는 점과 단어와 자발화 검사의 한계점을 보완할 수 있는 문장 따라말하기라는 새로운 말소리 평가 방법의 연령별 준거 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유리피판을 이용한 설재건 후의 기능평가 (Functional Assessment after Tongue Reconstruction using Free Flap)

  • 박성호;정철훈;이종욱;장용준;노영수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19-122
    • /
    • 2009
  • Objectives : Ablation of carcinoma of the tongue leads to deficits in speech and swallowing, but none to date has provided all of the qualities of mobility and sensation to simulate the complex function of the tongue. The authors evaluated postoperative swallowing and pronouncing function in patients who underwent tongue reconstruction using free flap. Material and Methods : This is a retrospective review documenting the outcome of 42 patients between January of 1991 and August of 2008. We classified patients according to the size of resection of the tongue like as 7 partial glossectomy, 25 hemiglossectomy, 2 subtotal glossectomy, and 8 total glossectomy. Swallowing function was graded into 4 point scale and pronouncing function was analyzed using picture consonant articulation test. Aspiration was evaluated with videofluoroscopic swallowing study. Results : The average points for swallowing function were 3.43 in partial glossectomy, 3.52 in hemiglossectomy, 3 in subtotal glossectomy, and 2.63 in total glossectomy. The percentage of consonants correct showed 76.5% in partial glossectomy, 72.29% in hemiglossectomy, 47.69% in subtotal glossectomy, and 29.94% in total glossectomy. Aspiration was noted in 3 patients(1 hemiglossectomy and 2 total glossectomy) and 2 total glossectomy patients were taken permanent feeding gastrostomy. Conclusion : Free flap gave us proper volume in tongue reconstruction and showed good result in preserving swallowing function. Swallowing function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ize of defect showe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whereas articulation function was shown to decrease in accuracy as the size of defect was larg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