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ceived fit

검색결과 345건 처리시간 0.031초

주관적 에이징웰 척도의 타당화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Subjective Agingwell Scale)

  • 홍지웅;주해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1호
    • /
    • pp.415-424
    • /
    • 2021
  • 본 연구는 노년의 행복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주관적 에이징웰 척도(Subjective Agingwell Scale: SAS)를 타당화하고자 하였다. 척도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수도권에 거주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주관적 에이징웰, 주관적 안녕감, 낙관주의, 지각된 통제력, 건강준수 행동을 측정하는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에는 최종 342명의 응답결과가 사용되었다.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신뢰도 분석결과, 11문항의 SAS의 전체 및 하위 척도 신뢰도는 수용할만한 수준이었다. 둘째, 확인적 요인분석 및 상관분석 결과, SAS는 구성타당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요인(인지, 정서, 영) 구조의 적합도는 양호한 편이었고, 주관적 에이징웰과 주관적 안녕감, 낙관성은 정적 상관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회귀분석 결과, 주관적 에이징웰은 건강행동 준수를 예측하였고 준거타당도가 지지되었다. 본 연구는 주관적 관점의 에이징웰 측정도구를 국내 노인에게 적용할 수 있도록 타당화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건설현장의 지각된 안전관리 활동과 안전성과의 관계에 대한 비재귀 경로모형분석 (Non-recursive Path Model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nd Safety of Construction Sites)

  • 김용훈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8권4호
    • /
    • pp.786-794
    • /
    • 2022
  • 건설현장에서는 사후적 안전관리를 벗어나 실효성 있는 예방적 안전관리가 요구되고 있다.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자율적이고 예방적 안전관리를 위한 안전관리 활동, 안전문화 핵심요소, 안전, 불안전 행동관리, 안전성과의 관계모형을 제시하고 그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방법:설문조사 데이터를 구조방정식에 적용하여 관계를 분석하고, 검증된 가설이 시사하는 부분을 해석하여 외생변수로부터 안전성과에 도달하는 경로를 탐색하고 주요 논점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예비모형과 경로모형을 분석한 결과, 적합한 모형적합도를 확인하였고 외생변수가 내생변수에 미치는 유의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결론: 안전관리 활동, 안전, 불안전 행동관리, 안전문화 핵심요소관리로 안전사고 발생 전에 지속적인 안전성과 향상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Effects of Temporal Distance on Brand Extension Evaluation: Applying the Construal-Level Perspective to Brand Extensions

  • Park, Kiwan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7권1호
    • /
    • pp.97-121
    • /
    • 2015
  • In this research, we examine whether and why temporal distance influences evaluations of two different types of brand extensions: concept-based extensions, defined as extensions primarily based on the importance or relevance of brand concepts to extension products; and similarity-based extensions, defined as extensions primarily based on the amount of feature similarity at the product-category level. In Study 1, we test the hypothesis that concept-based extensions are evaluated more favorably when they are framed to launch in the distant rather than in the near future, whereas similaritybased extensions are evaluated more favorably when they are framed to launch in the near rather than in the distant future. In Study 2, we confirm that this time-dependent differential evaluation is driven by the difference in construal level between the bases of the two types of extensions - i.e., brand-concept consistency and product-category feature similarity. As such, we find that conceptbased extensions are evaluated more favorably under the abstract than concrete mindset, whereas similarity-based extensions are evaluated more favorably under the concrete than abstract mindset. In Study 3, we extend to the case for a broad brand (i.e., brands that market products across multiple categories), finding that making accessible a specific product category of a broad parent brand influences evaluations of near-future, but not distant-future, brand extensions. Combined together, our findings suggest that temporal distance influences brand extension evaluation through its effect on the importance placed on brand concepts and feature similarity. That is, consumers rely on different bases to evaluate brand extensions, depending on their perception of when the extensions take place and on under what mindset they are placed. This research makes theoretical contributions to the brand extension research by identifying one important determinant to brand extension evaluation and also uncovering its underlying dynamics. It also contributes to expanding the scope of the construal level theory by putting forth a novel interpretation of two bases of perceived fit in terms of construal level. Marketers who are about to launch and advertise brand extensions may benefit by considering temporal-distance information in determining what content to deliver about extensions in their communication efforts. Conceptual relation of a parent brand to extensions needs to be emphasized in the distant future, whereas feature similarity should be highlighted in the near future.

금융업의 인공지능(AI) RPA 지속사용의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tinues Use Inten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RPA in the Financial Industry )

  • 서경록;박현숙
    • 산업진흥연구
    • /
    • 제8권1호
    • /
    • pp.55-68
    • /
    • 2023
  • 본 연구는 금융업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금융업에서 이용되는 RPA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의향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함이며, 특히 수용의지와 수용 갈등의 인식이 업무와 정보 기술간의 관계에서 개인의 특성적인 면을 고려해서 파악하고자 함에 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현재 가장 많이 활용되는 단순 업무 자동화기반의 RPA 보다는 인공지능이 포함된 지능형 프로세스 자동화기반의 RPA시스템을 통하여 디지털화된 기업 전환에 더욱 강화되어야 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신기술수용을 위해서는 인지부조화의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지만 금융업에서의 RPA 수용과 지속사용에 대해서는 인지부조화의 현상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보다 전문화된 반복 업무의 자동화에 대해서 상당히 긍정적인 사용자의 인식이 두드러짐을 알 수 있다. 향후 금융업에서 반복 업무에 대한 기술의 적합도가 높아서 보다 노동 조직의 변화가 가속화 될 것으로 사료된다.

Applying Theory of Planned Behavior to Examine Users' Intention to Adopt Broadband Internet in Lower-Middle Income Countries' Rural Areas: A Case of Tanzania

  • Sadiki Ramadhani Kalula;Mussa Ally Dida;Zaipuna Obeid Yonah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12권1호
    • /
    • pp.60-76
    • /
    • 2024
  • Broadband Internet has proven to be vital for economic growth in developed countries. Developing countries have implemented several initiatives to increase their broadband access. However, its full potential can only be realized through adoption and use. With lower-middle-income countries accounting for the majority of the world's unconnected population, this study employs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to investigate users' intentions to adopt broadband. Rural Tanzania was chosen as a case study. A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over three weeks, using 155 people from seven villages with the lowest broadband adoption rates. Non-probability voluntary response sampling was used to recruit the participants. Using the TPB constructs: attitude toward behavior (ATB), subjective norms (SN),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PBC), ordinal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to predict intention.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yielded mean scores (standard deviation) as 3.59 (0.46) for ATB, 3.34 (0.40) for SN, 3.75 (0.29) for PBC, and 4.12 (0.66) for intention. The model adequately described the data based on a comparison of the model with predictors and the null model, which revealed a substantial improvement in fit (p<0.05). Moreover, the predictors accounted for 50.3% of the variation in the intention to use broadband Internet, demonstrating the predictive power of the TPB constructs. Furthermore, the TPB constructs were all significant positive predictors of intention: ATB (β=1.938, p<0.05), SN (β=2.144, p<0.05), and PBC (β=1.437, p=0.013).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insight into how behavioral factors influence the likelihood of individuals adopting broadband Internet and could guide interventions through policies meant to promote broadband adoption.

블루 진의 시각적 이미지에 관한 연구 - 한국과 중국 20대 여성을 중심으로 - (Research on the Visual Image of Blue Jeans - Focusing on Korean and Chinese Women in Their 20s -)

  • 덩한쉬;김정미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16
    • /
    • 2024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blue jean styles and the visual images associated with them. To achieve this, literature reviews, case studies, and surveys were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Based on previous studies, it was found that the design elements influencing the style of blue jeans and their visual images include waistline position, silhouette, details, decorations, and color. Additionally, differences in the preferences and visual evaluations of Korean and Chinese individuals regarding the style of blue jeans were confirmed. 2) Skinny blue jeans are typically characterized by a high waistline and a length that reaches the ankles, featuring a snug fit with stretchy fabric. Straight blue jeans, on the other hand, usually have a natural or high waistline and cover the instep, with a straight silhouette descending from the thigh to the hem. Bell-bottom blue jeans are primarily high-waisted and cover the instep with a silhouette forming a bell shape from the knee to the hem. 3) Korean and Chinese women in their 20s evaluated skinny, straight, and bell-bottom styles of blue jeans as having a 'casual' image. However, they also associated bell-bottom style blue jeans with 'unique' and 'attractive' images. Interestingly, Korean women described skinny-style blue jeans as making someone look 'youthful', while Chinese women perceived them as 'sophisticated', 'making the waist look thicker', and 'unassuming'. As for straight-style blue jeans, Korean women saw them as 'well-fitting', while Chinese women described them as 'making one appear taller', 'desirable', and 'free-spirited'.

럭셔리 패션브랜드의 친환경 활동에 대한 메시지 측면성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조절초점의 역할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Effect of Message Sidedness on Brand Attitudes of Luxury Fashion Brands Regarding Eco-Friendly Activities: The Moderating Role of Regulatory Focus)

  • 정혜연;추호정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51-264
    • /
    • 2024
  • This study identified the structural impact relationships, mediated by information reliability and brand authenticity, of different types of environmental messages from the perspective of luxury fashion brands, leading to formation of brand attitudes. Additionally, the study investigated how the impact of message sidedness on the formation of information reliability and brand authenticity varies according to consumers' regulatory focus tendencie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nline surveys targeting individuals from Generation MZ, utilizing a professional research firm. A total of 300 respondents (150 for one-sided scenarios and 150 for two-sided scenarios) were selected. The collected data were validated using SPSS and AMO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message sidedness influenced information reliability and brand authenticity, both of which demonstrated positive effects on brand attitude as mediating factors. However, message sidedness did not directly affect brand attitude. Second, consumers with both promotion and prevention focus tendencies perceived higher information reliability in two-sided message scenarios, and the perception difference in information reliability based on message sidedness was more pronounced among consumers with a prevention focus. Additionally, consumers with a prevention focus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rand authenticity between one- and two-sided message scenarios, while consumers with a promotion focus demonstrated an increase in brand authenticity in two-sided message scenarios compared to one-sided ones.

고휘도 디스플레이의 색상이동모델과 색 보정 (Hue Shift Model and Hue Correction in High Luminance Display)

  • 이태형;권오설;박태용;하영호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4권4호통권316호
    • /
    • pp.60-69
    • /
    • 2007
  • 인간 시각은 고휘도를 접할 경우 색 민감도가 떨어진다. 이러한 현상으로 인해, 인간이 고휘도와 일반 휘도를 가지는 두 디스플레이를 볼 때, 측정 상 동일한 색을 가지는 패치에 대해 두 색이 다르다고 인지하게 되고, 이를 색상이동 현상이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고휘도와 일반휘도 디스플레이의 색상이동현상을 모델링하고, 두 디스플레이의 색이 인간시각에 동일하게 인지되도록 하는 색 보정 방법을 제안하였다. 색상이동모델은 색상 매칭 실험으로써 결정된다. 먼저 실험은 고휘도와 일반휘도 디스플레이의 3단계 밝기에서 비율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수행한다. 실험에 쓰이는 패치는, CIELAB 색 공간에서 밝기와 채도를 고정하여 색상만 변화하는 패치를 사용한다. 실험에서 관찰자는 휘도차가 나는 두 패치를 동시에 보면서, 고휘도 디스플레이의 인지되는 색상이 일반 휘도의 디스플레이와 같을 때까지 색상 값만을 수정하고, 수정된 색상 값의 차이가 색상이동양으로 사용된다. 실험에서 얻어진 각 패치의 색상 이동양은 일곱 개의 구간으로 나뉘어 모델링 되어 색상이동모델로 사용된다. 고휘도 디스플레이의 색 보정은 픽셀단위로 수행되며, 먼저 입력 RGB 값을 CIELAB 값으로 변환 후, 색상 값만을 보정하기 위하여 LCh(lightness, chroma, hue)값으로 변환한다. 여기서, 색상 값만을 색상이동모델을 사용하여 수정한 후, 역 과정을 통하여 출력 RGB값을 추정한다. 평가를 위해 관찰자의 선호도 테스트를 하였고, 대부분의 관찰자는 고휘도 디스플레이에서 색상이동모델이 적용된 영상이 일반휘도를 가지는 디스플레이의 영상과 인지되는 색상이 유사하다고 판단하였다.울어진 분포를 보여주고 있어 응용분야에 따라 정확한 분석이 필요한 경우 이러한 펄스 모양을 고려한 방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펄스 모양을 처리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론이 제시되어있다.는데 더 부합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높았고 외해역에서 다소 낮은 경향이었으며 지세포항 내에 위치한 정점은 '심각한 교란(heavily disturbed)'을 나타내기도 하였으나 연구 해역 전반적으로 '경미한 교란(slightly disturbed)'을 나타내고 있었다. 지세포항 인근 연안역의 저서생태계는 다소 불안정하거나 교란된 군집을 형성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나 연구 해역 전반적으로는 계절적으로 큰 변동 없이 비교적 안정된 군집을 형성하고 있다고 보여진다.의 치료 방법으로서 관혈적 방법과 고식적 관절경적 수술보다 좋은 치료라고 판단된다.해는 30명 중 28명으로 완전관해율은 93%였다. 3년 국소제어율은 87%, 전체환자의 3년 생존율은 93%, 무병생존율은 87%였다. 4명(13%)에서 국소실패를 보였고 1명(3%)에서 원격전이를 보였다. 치료 중 급성 합병증으로 11명(37%)에서 RTOG grade 1-2의 장염을 보였으며 1명은 대장의 천공이 발생하여 수술로 치유되었다. 12명(40%)에서 RTOG grade 1-2의 급성 방광염을 보였다. 3명(10%)에서 RTOG grade 1-2의 백혈구 감소증이 보였으며 1명에서 심한 백혈구 감소증(RTOG grade 4)이 나타났으나 회복되어 치료를 완료하였다. 만성 합병증으로 5명(15%)에서 RTOG grade 1-2의 만성 장염을 보였으며 별다른 치료 없이 지내고 있으며 1명(3%)에서 R

스마트워크 환경에서 지속사용의도에 대하여 IT기업과 비IT기업 간의 차이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nalysis of Difference between IT and Non-IT Companies on the Smart Work Environment Continuous Use Intention - Focusing on Korean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 정수용;신용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3호
    • /
    • pp.249-259
    • /
    • 2018
  • 본 연구는 중소기업에 근무하고 있는 직원들을 대상으로 현재 스마트워크가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최종적으로 스마트워크 환경이 IT기업과 비IT기업 간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서 중소기업에 근무하고 있는 직원들로부터 설문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설문자료를 통해 실증분석을 하였으며, 신뢰도분석, 타당성분석, 판별타당성분석, 구조방정식 모델의 적합도 검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연구모형을 검증하고 최종적으로 IT기업과 비IT기업의 차이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분석 결과는 직무특성의 직무효율성, 직무자율성 요인은 매개변수인 지각된 유용성과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형태의 시간유연성은 매개변수인 지각된 유용성과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공간유연성은 직무만족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변수인 지각된 유용성은 직무만족, 지속사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최종적으로 직무만족은 지속사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IT기업과 비IT기업 간의 차이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스마트워크 환경을 통해 근무자, 조직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유도시킬 수 있으며, 근무자들에게 기존보다 기업의 특성에 맞게 더 나은 업무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자아이미지 일치성이 소매점자산과 고객의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tailer-Self Image Congruence on Retailer Equity and Repatronage Intention)

  • 한상린;홍성태;이성호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17권2호
    • /
    • pp.29-62
    • /
    • 2012
  • 최근 유통환경과 소비자 라이프스타일의 변화 속에서 단순히 제품을 판매하고 유통시키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닌 소매점자산을 증대시켜 고객을 획득하고 유지할 수 있는 차별화된 경쟁우위가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대안으로 소매점 이미지의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소매점의 이미지와 자아이미지 일치성이라는 요인과 고객기반 소매점자산과의 구조적관계를 조사하여 소비자들의 재이용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가장 큰 학문적 기여점은 소매점자산에 영향을 주는 자아이미지일치성이라는 선행 요인을 찾아내는데 있으며, 또한 소매점자산이 재이용의도에 강력한 선행요인임을 확인하는데 있어서 기존의 연구들이 보여준 Second-order Construct 유형의 소매점자산척도와 결과 변수간의 단일차원 인과관계가 아닌, 소매점자산을 구성하는 각각의 요인들과 재이용의도의 좀 더 구체적인 변수간의 구조적관계를 실증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는 소매점과 자아의 이미지일치성을 두 가지 차원(실제 자아이미지일치성, 이상적 자아이미지일치성)으로 나누고 소매점자산의 구성요소인 소매점인지, 소매점연상, 지각된 소매점 품질, 소매점충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고 자아이미지일치성을 토대로 평가된 소매점자산 요인들이 소매점의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소매점의 이미지의 관리와 투자에 대한 마케팅 측면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연구모델에 대한 분석결과 소매점-실제 자아이미지일치성과 소매점-이상적 자아이미지일치성 모두 모두 소매점자산 요인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그 중 이상적 자아이미지일치성이 소매점자산 요인들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이 더 크게 나타났다. 또한 소매점자산을 구성하는 각각의 요인들은 소비자의 소매점 재이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타겟 소비자들의 자아 이미지와 소매점의 상징적 이미지를 일치시키는 마케팅 노력을 통해 소비자들과 소매점 사이의 강력한 감정적 결속이 형성되어 해당 소매점의 자산을 높게 평가하고 지속적인 이용의도를 가져올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