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ptic ulcer

검색결과 136건 처리시간 0.027초

Helicobacter pylori에 감염된 소아의 위점막에서 Lewis 항원의 발현 (Expression of lewis antigen in gastric mucosa of children with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 정주영;임성직;한태희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4권1호
    • /
    • pp.97-103
    • /
    • 2007
  • 목 적 : Lewis b($Le^b$) 항원과 BabA 단백은 H. pylori가 위점막에 부착하는 것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소아에서 H pylori 감염에 대한 위점막의 면역 반응은 성인에서의 반응과 차이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Le 항원의 발현에 관한 연구는 매우 드물다. 이에 저자들은 국내 소아 H. pylori 양성 환자의 위점막에서 Le 항원의 발현 양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2002년 1월부터 2004년 1월까지 상부 위장관 증상 때문에 소아과를 방문하여 내시경 검사를 시행받은 소아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위전정부에서 최소한 2개 이상의 조직 검체를 생검하여 CLO 검사와 조직 특수 염색(Warthin-starry) 검사를 각각 시행하여 모두 양성인 경우에 H. pylori에 감염된 것으로 판정하였다. H. pylori 양성 35명과 H. pylori 음성 19명의 위점막 파라핀 조직에서 DNA를 추출하여 cagA, babA2 특이 시발체를 이용하여 PCR을 시행하였다. 위점막 생검 조직을 대상으로 $Le^a$, $Le^b$, $Le^x$$Le^y$ 항체를 사용하여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시행한 다음 각각의 Le 항원의 발현 정도를 평가하였다. 결 과 : H. pylori 양성 환자에서 $Le^a$ 항원은 60%(21명/35명), $Le^b$ 항원 97%(34명/35명), $Le^x$ 항원 88%, $Le^y$ 항원은 100%에서 발현이 확인되었다. H. pylori 음성 환아군에서는 $Le^a$, $Le^b$, $Le^x$$Le^y$ 항원이 각각 52%, 100%, 89%, 100%에서 발현되었다. H. pylori 양성 유무에 따른 $Le^b$ 항원 발현의 차이는 없었다. CagA 및 babA2 유전자는 H. pylori 양성 환자군 중 각각 65.7%(23명/35명), 25.6%(8명/35명)에서 확인되었다. Lewis 항원들의 발현에 따른 H. pylori 감염, cagA 양성 및 babA2 양성율의 차이는 없었다. 결 론 : 국내 소아의 위점막에서 높은 $Le^x$$Le^y$ 항원의 발현율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H. pylori 감염 및 babA2의 양성 여부와는 관련이 없었다. Lewis 항원 이외의 다른 점막 수용체들과 세균 독소들에 대한 지속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Helicobacter pylori 감염의 유병률과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The Seroprevalence and Related Factors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 김영욱;이수일;조병만;고광욱;김영실;강수용;차애리;김돈균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9권3호
    • /
    • pp.669-678
    • /
    • 1996
  • Helicobacter pylori 감염은 만성 위염과 소화성 궤양의 원인인자로 작용하며 위암과도 강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증명되어 기존의 위 십이지장 질환의 치료와 관리에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저자들은 Helicobacter pylori 감염의 유병률을 측정하고 유병상태와 관련되는 요인을 조사할 목적으로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에 거주하는 소아 몇 청년 552명을 대상으로 1996년 4월부터 6월에 걸쳐 본 연구를 시행했다. 연구 대상자들의 혈청에 존재하는 Helicobacter pylori Ig G 항체는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ELISA) 방법으로 측정했으며 설문조사를 통해 기본적인 인구학적 특성, 유병상태와 관련되는 요인에 관한 정보를 얻었다. 연구 대상자들의 총 Helicobacter pylori 감염률은 25.7%였고 $1\sim3$세군에서의 5.8%에서 $20\sim29$세군의 44.4%까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유병률도 비례해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chi^2$ for trend=57.9, p<0.0001). 특히 학동기 전 연령인 $4\sim6$세 군에서 초등학교 1, 2, 3학년 연령인 $7\sim9$세 군간에 유병률의 급격한 상승이 관찰되어 이 시기에 Helicobacter pylori 감염이 본격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 모델에서 연령, 가족수 및 거주하는 주택의 형태가 유병상태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각각의 교차비(95% 신뢰구간)는 연령 $1\sim9$세를 기준으로 $10\sim19$$3.6(2.0\sim6.4)$, $20\sim29$$7.3(4.1\sim13.1)$ 였고, 가족수 $1\sim3$명을 기준으로 $4\sim5$$2.1(1.3\sim5.4)$, 6명 이상 $2.7(1.3\sim5.4)$였으며 주택의 형태는 아파트 거주를 기준으로 일반주택 및 연립주택 $1.9(1.1\sim3.5)$ 이었다.

  • PDF

H. pylori Infection 감염과 위암 발생 (H. pylori Infection and Gastric Carcinogenesis)

  • 한상욱;조용관;정재연;박현진;김영배;남기택;김대용;주희재;최준혁;김진홍;이기명;김명욱;함기백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2권2호
    • /
    • pp.73-80
    • /
    • 2002
  • In spite the fact that H. pylori infection might be the causative organisms of acute and chronic gastritis, peptic ulcer diseases and the definition as the class I carcinogen by WHO IARC, still debates exist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H. pylori and gastric carcinogenesis. Epidemiological and animal studies demonstrated a link between gastric cancer and chronic infection with H, pylori, but the exact mechanism responsible for the development of gastric cancer in H. pylori-infected patients still remain obscure. In order to declare the clear association, definate evidences like that decrement in the incidence of gastric cancer after the eradication of H. pylori in designated area compared to noneradicated region or the blockade of specific mechanism acting on the carcinogenesis by H. pylori infection. The other way is to identify the upregulating oncogenes or downregulating tumor suppressor genes specifically invovled in H. pylori-associated carcinogenesis. For that, we established the animal models using C57BL/6 mice strain. Already gastric carcinogenesis was developed in Mongolian gerbils infected with H. pylori, but there has been no development of gastric cancer in mice model infected with H. pylori after long-term evaluation. Significant changes such as atrophic gastritis were observed in mice model. However, we could observe the development of mucosal carcinoma in the stomach of transgenic mice featuring the loss of TGF-beta sig naling by the expressions of dominant negative forms of type II receptor specifically in the stomach. Moreover, the incidence of gastric adenocarcinoma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group administered with both MNU and H. pylori infection than MNU alone, signifying that H. pylori promoted the gastric carcinogenesis and there might be host susceptibility genes in H. pylori-associated gastric carcinogenes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chronic, uncontrolled inflammation might predispose to carcinogenesis, there have been several evidences showing chronic atrophic gastritis predisposed to gastric carcinogenesis in H. pylori infection. Although definite outcome of chemoprevention was not drawn after the longterm administration of anti-inflammatory drug in H. pylori infection, the actual incidence of atrophic gastritis and molecular evidence of chemoprevention could be obtained. Selective COX-2 inhibitor was effective in decreasing the development of gastric carcinogenesis provoked by H. pylori infection and carcinogen like in chemoprevention of colon carcinogenesis.

  • PDF

만성 반복성 복통 환아에서 Helicobacter pylori 감염에 대한 Proton Pump Inhibitor 및 Amoxicillin 2주 치료 효과 (The Effect of 2-Week Dual Therapy with Proton Pump Inhibitor and Amoxicillin in the Eradication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for Treatment of Children with Recurrent Abdominal Pain)

  • 이영목;이창한;정기섭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3권1호
    • /
    • pp.23-29
    • /
    • 2000
  • 목 적: 소아의 만성 반복성 복통에서 H. pylori의 역할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지만 중요한 원인 중의 하나일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성인과는 달리 소아에서는 궤양성 질환이 없는 경우에도 제균 치료를 하는 것이 상례이다. H. pylori 제균 치료는 제균효과와 안전성 그리고 환자의 순응도와 경제성 등의 기준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하고 있다. 편이성과 경제성이 좋은 2제 요법으로는 omeprazole과 clarithromycin 병용 투여의 효과가 인정받고 있으며, omeprazole과 amoxicillin 병용 투여에 대해서는 보고에 따라 제균 효과가 35~85%로 일정하지 않았다. 이에 저자들은 만성 반복성 복통 환아에서 H. pylori 감염증에 대한 omeprazole 및 amoxicillin 2주 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1998년 4월부터 1999년 4월까지 연세의대 세브란스병원 소아과에 만성 반복성 복통으로 내원하여 위십이지장 내시경을 시행받은 환아 중 생검 조직의 CLO 검사 또는 은염색에서 H. pylori 감염증으로 진단받은 57례에서 omeprazole (0.7 mg/kg/day)과 amoxicillin (50 mg/kg/day)을 2주간 투여하였으며, 이들 중 추적 검사가 가능하였던 24례에 대해 H. pylori 제균 효과를 알아보았다. H. pylori 제균은 투약 종료 4주 이후에 위십이지장 내시경을 시행하여 얻은 생검 조직의 CLO 검사와 은염색에서 모두 음성인 경우로 정의하였다. 결 과: 대상 환아는 남아 15례(63%), 여아 9례(37%)였고 7세 미만이 4례(17%), 7세에서 12세 사이가 14례(58%), 12세 이상이 6례(25%)였다. 내시경 진단은 결절성 위염이 11례(46%), 표재성 위염7례(29%), 소화성 궤양 4례(17%), 정상이 2례(8%)였다. Omeprazole 및 amoxicillin 2제 2주 투약 종료 4주 후 시행한 내시경 검사상 12례에서 H. pylori가 제균되어 제균율은 50%이었으며, 나머지 12례에서는 제균이 되지 않았다. 제균이 되지 않았던 12례의 환아들 중 8례는 추적 관찰이 되지 않았고, 나머지 4례에서는 omeprazole, amoxicillin, clarithromycin, colloidal bismuth subcitrate ($Denol^{(R)}$), metronidazole 중 2~3가지 약제를 조합하여 2~3주 병용요법을 시행한 결과 모두 제균이 되었다. 결 론: 만성 반복성 복통 환아에서 H. pylori 감염증에 대한 PPI (omeprazole) 및 amoxicillin 2제의 2주 치료요법의 제균율은 50%로 기존의 다른 보고들에서와 유사하였다. 그러나, H. pylori 제균요법의 선택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H. pylori 제균율이므로, 만성 반복성 복통 환아에서 H. pylori 감염증에 대한 PPI (omeprazole) 및 amoxicillin 2제의 2주 요법은 일차 치료로서는 효과적이지 않은 것으로 생각된다.

  • PDF

Helicobacter pylori 감염 진단 시 $^{14}C$-요소호기검사의 계수측정 방법에 따른 진단성능 비교 (Comparison of the Diagnostic Performance of $^{14}C$-urea Breath Test According to Counting Method for the Diagnosis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 김민우;임석태;이승옥;손명희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21-25
    • /
    • 2005
  • 목적: $^{14}C$-요소호기검사(UBT)는 Helicobacter pylori (H. pylori) 감염을 진단하는데 비침습적이고 유용한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기존의 $^{14}C$-UBT는 액체 섬광계수기(LS)를 이용하여 측정하므로 검사과정이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단점이 있다. 저자들은 동일한 환자에서 최근에 개발되어 간편해진 $Geiger-M\ddot{u}ller$계수기(GM)를 이용한 측정과 기존의 LS를 이용한 측정을 시행하여 진단성능을 비교하여 GM을 이용한 방법이 기존의 LS를 이용한 방법을 대체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상부위장관 증상이 있어 일주일 이내에 위십이지장 내시경, LS와 GM을 이용한 $^{14}C$-UBT가 모두 시행된 49명(M:F=30:19, 나이 $41{\pm}14$ yrs)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최소 6시간 금식을 한 후 37 KBq의 $^{14}C$-urea 캡슐을 복용한 후 LS 와 GM 측정법에 따른 호기 샘플을 얻어 각각 측정하였다. 위십이장 내시경시 시행된 조직 검사 결과를 금과옥조로 H. pylori 감염에 대한 두 계수측정 방법의 진단성능을 비교하였고, 두 측정법의 일치 정도와 측정값 사이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결과: 49명중 조직검사를 시행받은 사람은 18명이었으며 이중 H. pylori 감염은 13명(72.2%)에서 관찰되었고 LS와 GM 측정법은 모두 동일한 결과를 보여 민감도 100%, 특이도 100%, 정확도 100%를 보였다. 49명의 대상 환자 전체에서 시행된 두 계수측정법의 일치율은 98%(48/49)이었으며 불일치률은 2% (1/49)였다. LS와 GM에 의한 측정값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 (r=0.859, p<0.001)를 보였다. 결론: GM을 이용한 $^{14}C$-UBT는 LS 측정법과 동일한 진단성능을 보여, 보다 간편하고 빠른 검사법으로 LS측정법을 대체하여 임상적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질환에 대한 한양방동시종합검진 결과에 대한 보고 (The Purpose and background of this study)

  • 권경숙;이태환;송정모;김인섭;윤호영;임준규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9-27
    • /
    • 1994
  • 연구(硏究)의 목적(目的) 및 배경(背景) : 본 연구는 노령인구의 증가와 더불어 심각한 사회문제화 되고 있는 노인병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노인건강검진 사업의 일환으로 전주우석대부속한방병원 및 부설우석의원에서 국내최초의 한양방동시종합검진을 실시한 바 있어서, 이를 토대로 노인질환의 분포와 건강실태를 파악하고 한양방동시종합검진의 효율성을 검토해 보기 위함이다. 연구(硏究) 방법(方法) : 연구대상은 전라북도 김제군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노인 641명을 대상으로 전주우석대부속한방병원 및 부설우석의원에서 1994.6.24부터 1994.7.13까지 실시한 한양방동시종합검진(1차 검진) 결과를 대상으로 하였다. 양방의 1차검진은 X-ray 검사, 혈액검사, 소변검사, 혈압, 시력, 청력 등의 측정으로 행해졌고, 한방검진은 한방의 사진법(四診法)(望,聞,問,切(망,문,문,절))과 현증력(現症歷), 주소증(主訴證), 과거력(過去歷), 가족력(家族歷), 사회력(社會歷) 등을 살피는 문진표(問診表)와 사상체질(四象體質) 테스트법을 이용하여 행해졌다. 결과(結果) 및 결론(結論) : 본 연구의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한양방종합판정상 검진 대상자 641명중 운동기계질환자 75.8%, 소화기계질환자 43.4%, 순환기계질환자 41.5%, 호흡기계질환자 22.3%, 안이비인후과질환자 8.1%, 내분비계질환자 5.6%, 비뇨생식기계질환자 5.3%의 순으로 질병을 앓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병명에 따른 질환의 빈도를 살펴보면, 요통, 위염 및 소화성궤양, 슬통, 심장병, 고혈압, 만성기관지염, 기관지천식, 빈혈증, 당뇨병, 폐결핵, 시력장애, 중풍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3) 연령별 질환의 빈도를 살펴보면, 60-75세, 76-85세, 86세 이상으로 구분할 때 대부분의 질환이 60-75세에 다발하는 경향을 보이고, 오히려 연령이 높아질수록 질병이환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 반면, 안이비인후과질환만이 점진적 증가를 보여 대조를 이루었다. 4) 가족력과 질환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중풍환자의 25.0%가 중풍의 가족력을, 고혈압환자의 11.6%가 고혈압의 가족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가족력과의 상관관계가 매우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고, 그밖에 결핵은 5.6%, 당뇨병은 2.6%가 가족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음주와 질환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호흡기질환의 36.4%, 고혈압의 34.7%, 심장병의 33.3%, 소화기질환의 28.4%가 음주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음주의 정도는 조사되지 않아 음주와 질환과의 필연적 관계는 알 수 없었다. 6) 흡연과 질환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호흡기질환의 44.1%, 심장병의 38.0%, 고혈압의 29.8%가 흡연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흡연의 정도는 조사되지 않아 흡연과 질환의 필연적 관계는 알 수 없었다. 7) 사상체질의 분포는 태음인(太陰人) 44.6%, 소양인(少陽人) 30.7%, 소음인(少陰人) 24.7%, 태양인(太陽人) 0.0%의 순으로 나타났고, 체질별 질환빈도는 모든 체질에서 운동기계 질환과 소화기계 질환의 이환율을 높았는데, 태음인에서는 순환기계질환(50.0%), 호흡기계질환 (23.1%)이 타체질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소양인에서는 운동기계질환(77.7%), 난청등 안이비인후과 질환(12.2%)이 타체질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고, 소음인에 있어서는 소화기계 질환(65.8%)이 타체질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8) 양방의 1차검진상 이상소견자의 빈도와 한양방종합판정에 의한 질환의 빈도 사이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노인질환의 특성상 건강검진에 한방의 참여가 필요한 이유가 되는 내용이라 사료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 이번에 실시한 국내최초(國內最初)의 한양방동시종합검진(韓洋方同時綜合檢診)은 양방위주의 건강검진보다 노인의 질환과 건강실태를 파악하는데 있어서 훨씬 효율적(效率的)이었다고 사료되는 바이나, 처음 실시한 만큼 미진한 면이 많았다. 앞으로 한방이 공중보건사업에 효율적으로 차여하기 위해서는 많은 문제점을 개선하여 한양방동시종합검진의 모델과 한방보건사업의 프로젝트가 제시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