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pression of lewis antigen in gastric mucosa of children with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Helicobacter pylori에 감염된 소아의 위점막에서 Lewis 항원의 발현

  • Chung, Ju-Young (Department of Pediatrics, Sanggyepaik Hospital,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im, Seong Jig (Department of Pathology, Sanggyepaik Hospital,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Han, Tae Hee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Sanggyepaik Hospital,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정주영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임성직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병리학교실) ;
  • 한태희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진단검사의학교실)
  • Published : 2007.05.30

Abstract

Purpose : Lewis antigen has been known to have a role in the attachment of H. pylori to the gastric mucosa, but its expression pattern in children with H. pylori infection is still unclear. The recently described blood group antigen-binding adhesin BabA is known to mediate adherence of H. pylori to Lewis B receptors on gastric epithelium. We investigated the expression of Lewis antigen in gastric mucosa of Korean children with H. pylori infection. Methods : The expression of Lewis A ($Le^a$), B ($Le^b$), X ($Le^x$), and Y ($Le^y$) was evaluated by immunohistochemistry in H. pylori positive biopsy specimens from 35 children (antral gastritis in 30, peptic ulcer in 5) and in H. pylori negative specimens from 19 children. PCR assays for cagA and babA2 gene of H. pylori were performed. Results : We confirmed the expression of $Le^a$ in 60%, $Le^b$ in 97%, $Le^x$ in 100%, and $Le^y$ in 100% of the superficial epithelium of the 35 H. pylori positive children. In H. pylori negative patients, $Le^a$, $Le^b$, $Le^x$, and $Le^y$ expression was 52%, 100%, 89%, and 100%, respectively. The cagA gene was detected in 65% and babA2 gene in 25% of 35 patients. No differences in neutrophil activity and chronic inflammation were found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cagA and babA2 genes in H. pylori. Conclusion : $Le^b$, $Le^x$ and $Le^y$ antigen were highly expressed in gastric mucosa of Korean children, but they were not associated with the status of H. pylori infection and the positivity of babA2 gene. Further studies for other mucosal receptors and toxins are needed to define the immune responses to H. pylori infection in gastric mucosa of Korean children.

목 적 : Lewis b($Le^b$) 항원과 BabA 단백은 H. pylori가 위점막에 부착하는 것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소아에서 H pylori 감염에 대한 위점막의 면역 반응은 성인에서의 반응과 차이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Le 항원의 발현에 관한 연구는 매우 드물다. 이에 저자들은 국내 소아 H. pylori 양성 환자의 위점막에서 Le 항원의 발현 양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2002년 1월부터 2004년 1월까지 상부 위장관 증상 때문에 소아과를 방문하여 내시경 검사를 시행받은 소아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위전정부에서 최소한 2개 이상의 조직 검체를 생검하여 CLO 검사와 조직 특수 염색(Warthin-starry) 검사를 각각 시행하여 모두 양성인 경우에 H. pylori에 감염된 것으로 판정하였다. H. pylori 양성 35명과 H. pylori 음성 19명의 위점막 파라핀 조직에서 DNA를 추출하여 cagA, babA2 특이 시발체를 이용하여 PCR을 시행하였다. 위점막 생검 조직을 대상으로 $Le^a$, $Le^b$, $Le^x$$Le^y$ 항체를 사용하여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시행한 다음 각각의 Le 항원의 발현 정도를 평가하였다. 결 과 : H. pylori 양성 환자에서 $Le^a$ 항원은 60%(21명/35명), $Le^b$ 항원 97%(34명/35명), $Le^x$ 항원 88%, $Le^y$ 항원은 100%에서 발현이 확인되었다. H. pylori 음성 환아군에서는 $Le^a$, $Le^b$, $Le^x$$Le^y$ 항원이 각각 52%, 100%, 89%, 100%에서 발현되었다. H. pylori 양성 유무에 따른 $Le^b$ 항원 발현의 차이는 없었다. CagA 및 babA2 유전자는 H. pylori 양성 환자군 중 각각 65.7%(23명/35명), 25.6%(8명/35명)에서 확인되었다. Lewis 항원들의 발현에 따른 H. pylori 감염, cagA 양성 및 babA2 양성율의 차이는 없었다. 결 론 : 국내 소아의 위점막에서 높은 $Le^x$$Le^y$ 항원의 발현율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H. pylori 감염 및 babA2의 양성 여부와는 관련이 없었다. Lewis 항원 이외의 다른 점막 수용체들과 세균 독소들에 대한 지속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