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ople recognition

검색결과 1,348건 처리시간 0.03초

20대 남성의 하반신 체형별 신체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hysical Recognition of Men in Their Twenties by Body Shape of the Lower Parts of the Body)

  • 은영자;김선혜
    • 복식문화연구
    • /
    • 제12권3호
    • /
    • pp.485-496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356 men in their twenties to investigate their recognition of their bodies. Also physical measurements were conducted on them and the lower parts of the bodies were classified into several types. The study examined the relevance of the subjects' recognition of their bodies to the physical types of the lower parts of the body.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re are four factors that constitute the physical shapes of the lower parts of the body and the lower parts of the body are classified into three physical types by cluster analysis. In terms of the degree of recognition of lower parts of the body shapes, the respondents' recognition of their bodies was similar to the actual measurements except for heights and leg lengths regardless of physical types, showing that they recognized well their actual physical types. With respect to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body types, the surveyed were dissatisfied with thick circumference items and short length items. The actual measurements and the degree of recognition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in almost all the items while the actual measurements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in the circumference items.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height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almost all measurements, demonstrating that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the males in their twenties with the lower pats of body has closer correlations with the height items of the actual measurements that the circumference items.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bodies was more dependent on people's recognition than the actual measurements.

  • PDF

멀티터치 기술과 영상인식 기술 기반의 스마트 팩토리 플랫폼 (Smart Factory Platform based on Multi-Touch and Image Recognition Technologies)

  • 홍요훈;송승준;장광문;노정규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23-28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팩토리 작업장에 설치된 여러 종류의 멀티터치 기술 기반 센서로부터 수집된 이벤트와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작업장의 상태 감시와 이벤트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플랫폼을 개발하였다. 영상인식 기술을 활용하여 팩토리 작업장 내 사람들의 얼굴을 인식하여 작업자별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며, 얼굴인식을 통한 개별 작업자 인증으로 콘텐츠 보안을 강화하도록 하였다. 제스처 인식을 통한 콘텐츠 제어 기능을 구축하여 작업자가 간단하게 문서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였고, 모바일 장치에서도 얼굴인식 기능을 구현하여 작업자를 위한 콘텐츠 제공이 가능하게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작업장 안전, 콘텐츠 보안, 작업자 편의 등을 향상시키는데 이용할 수 있으며 향후 스마트 팩토리 구축을 위한 기반기술로 활용할 수 있다.

아이겐공간에서 벡터 양자기를 이용한 얼굴인식 (Face Recognition using Vector Quantizer in Eigenspace)

  • 임동철;이행세;최태영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1권5호
    • /
    • pp.185-192
    • /
    • 2004
  • 본 논문은 얼굴의 아이겐공간에서 벡터 양자화 기법을 이용한 얼굴 인식을 제안한다. 아이겐페이스 방법의 문제점은 하나의 아이겐페이스로 얼굴의 다양한 변이를 표현하기에 부족하다는데 있다. 이러한 약점을 극복하기위해 제안된 방법은 아이겐페이스 공간에서 얼굴의 변이를 벡터 양자화 기법으로 군집화한다. 벡터 양자기는 학습과정을 통해 각 사람의 아이겐 페이스 집합을 양자화된 대표점들로 표현한다. 그리고 인식 과정을 통해 벡터 양자기는 얼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대표점들과 입력된 얼굴 특징벡터와의 양자화 오차를 최소로 하는 대표점을 찾는다. 실험은 Faces94 데이터베이스에서 600장의 얼굴을 가지고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기존의 아이겐페이스 방법은 최소 64개의 오인식을 하였고 제안된 방법은 코드북의 크기를 4개로 하였을 때 최소 20개의 오인식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제안된 방법은 얼굴의 변이를 수용하여 인식률을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사료된다.

영상기반 행동패턴 인식에 의한 운전자 보조시스템 (Driver Assistance System By the Image Based Behavior Pattern Recognition)

  • 김상원;김중규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1권12호
    • /
    • pp.123-129
    • /
    • 2014
  • 복합 기능 기기의 발전에 따라 카메라는 방범 시스템, 운전자 보조 시스템 등 여러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많은 사람들은 이러한 시스템에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시스템은 인간의 행동을 인식할 수 있고 인식된 행동으로부터 얻은 정보를 이용하여 유용한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은 이차원 영상 이미지에서 인식된 기계적 학습 접근 방법을 사용한 인간 행동 패턴 인식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인식된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유용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먼저 소개하는 방법은 전화 통화 행동 인식이다. 차량 내부에 운전자 방향으로 설치된 블랙박스가 전화 통화 행동을 인식한다면 안전 운전을 위해서 운전자에게 경고를 줄 수 있다. 두 번째 제안하는 방법은 안전 운행을 위한 전방 주시 행동 인식으로서 운전자가 전방 주시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기 위한 방법과 기준을 제안한다. 본 논문은 실시간 영상 조건에서 제안하는 인식 방법의 효용성을 실험 결과를 통해서 보여준다.

멀티 모달 감정인식 시스템 기반 상황인식 서비스 추론 기술 개발 (Development of Context Awareness and Service Reasoning Technique for Handicapped People)

  • 고광은;심귀보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34-39
    • /
    • 2009
  • 사람의 감정은 주관적인 인식 작용으로서 충동적인 성향을 띄고 있으며 무의식중의 사람의 욕구와 의도를 표현하고 있다. 이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이나 지능형 로봇의 사용자가 처한 환경의 상황정보 중에서 사용자의 의도를 가장 많이 포함하고 있는 정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감정을 파악할 수 있는 지표는 사람의 얼굴 영상에서의 표정과 음성신호에서의 Spectrum 통계치 및 생체신호(근전위, 뇌파, 등)등 이다. 본 논문에서는 감정인식 활용의 편의와 효율성 향상을 주목적으로 하여 사용자의 얼굴 영상과 음성을 이용한 감정인식에 대하여 개별 결과물만을 산출하고 그 인식률을 검토한다. 또한 임의의 상황에서의 인식률 향상을 위하여 영상과 음성의 특징을 기반으로 최적의 특징 정보들을 구별해 내고, 각각의 개별 감정 특징에 대한 융합을 시도하는 특징 융합 기반의 Multi-Modal 감정인식 기법을 구현한다. 최종적으로 감정인식 결과를 이용하여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 발생 가능한 상황 설정 시나리오와 베이지만 네트워크를 통해 유비쿼터스 컴퓨팅 서비스의 확률 추론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한된 학습 데이터를 사용하는 End-to-End 음성 인식 모델 (End-to-end speech recognition models using limited training data)

  • 김준우;정호영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2권4호
    • /
    • pp.63-71
    • /
    • 2020
  • 음성 인식은 딥러닝 및 머신러닝 분야에서 활발히 상용화 되고 있는 분야 중 하나이다. 그러나, 현재 개발되고 있는 음성 인식 시스템은 대부분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인식이 잘 되는 실정이다. 이것은 음성 인식 모델이 대부분 성인 남녀 음성 데이터베이스를 학습하여 구축된 모델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노인, 어린이 및 사투리를 갖는 화자의 음성을 인식하는데 문제를 일으키는 경향이 있다. 노인과 어린이의 음성을 잘 인식하기 위해서는 빅데이터를 구축하는 방법과 성인 대상 음성 인식 엔진을 노인 및 어린이 데이터로 적응하는 방법 등이 있을 수 있지만, 본 논문에서는 음향적 데이터 증강에 기반한 재귀적 인코더와 언어적 예측이 가능한 transformer 디코더로 구성된 새로운 end-to-end 모델을 제안한다. 제한된 데이터셋으로 구성된 한국어 노인 및 어린이 음성 인식을 통해 제안된 방법의 성능을 평가한다.

치과내원환자의 감염관리에 관한 인식도 조사 (About dentistry infection from dentistry medical institution recognition research of patient)

  • 이연경;김순덕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617-625
    • /
    • 2010
  • Objectives : The research which sees collected information about dentistry infection management recognition of the patients and the infection management which the medical treatment consumer does in necessity is what, grasped and satisfaction and became the fundamental data which makes the hospital will be able to trust about dentistry image rise and dentistry environment of the medical treatment consumer who assists a dentistry character executed. Methods : From 2009 April 1st until May 28th 233 people common people who have the experience which visits a Gyeongsangnam-do area dentistry the object with the entry question law which sleeps did and the data analysis SPSS, 12.0 For Window under using produced each question item by frequency and a ratio, the analytical degree of infection management One - Way ANOVA stamps and executed t-test. Results : Information experience experienced about dentistry infection of the investigation object person to be, appeared with 74.7% and the after that dentistry assistance at the time of conduct change which experiences the answer back regarding of Former times attentively observes organization disinfecting' was most with 46.6%. The protective equipments wearing goal of the dentistry medical attendance appeared the dentistry medical attendance and patient protection 77.7%, dentistry medical attendance protection 12.9%, by patient protection 9.4% order. Before medical treatment starting of the dentistry medical attendance the hand Does not confirm' appeared 72.1%, with. The hand washing, is whole and the degree which appears is high with 4.11 points the stamp. Is high there was a possibility of knowing the thing about the recording infection where the educational background will be high and considers statistically the difference which was visible Conclusions : The education which is active and continuous is necessary about infection management and sets the guides which are standardized to the patients and about infection management and about infection prevention and exposes from dentistry practices well to emboss the thing is thought that there is a necessity to plant a trust feeling about the dentistry where the patients assist.

국내 한정식 전문점의 서비스 품질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Consumers' Recognition of Service Quality in Korean Restaurants)

  • 정효선;윤혜현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96-605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consumers' recognition of service quality in Korean restaurants, and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perceived service quality according to consumers' general characteristics. 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by 1,494 subjects and data were analysed by frequency, factor, reliability, and subjected to t-test and one-way ANOVA.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outlined as follows: Factor analysis on perceived service quality resulted in 4 factors: staff service (5 variables), menu quality (4 variables), price and value (4 variables) and atmosphere and convenience (5 variables). Cronbach's alpha values for the reliability were over 0.8 for all the factors. The mean value in the elicited factors was indicated to be in order of menu quality ($4.73{\pm}1.19$), atmosphere and convenience ($4.57{\pm}1.09$), price and value ($4.55{\pm}1.15$), and staff service ($4.46{\pm}1.12$).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service quality, which was perceived according to consumers' general characteristics. A higher mean value in perceived service quality was shown in women than in men, in the older than in the younger, in people with a high frequency of visiting Korean restaurants than those who do so with low frequency, and in people with high cost expenditure when visiting than those with low cost expenditure. In terms of region, the mean value in perceived service quality was significantly lower for consumers in the Gwangju region than in other regions.

패션디자인분야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도 연구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Importance about the Curriculum of Fashion Design Field)

  • 최해주
    • 복식
    • /
    • 제66권6호
    • /
    • pp.149-157
    • /
    • 2016
  • For the Korean fashion industry to become more competitive, not only does it need to develop a higher value-added fashion products, but also needs to raise creative and professional talented peop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ways to develop new curriculum for education in the fashion design field by analyzing the degree of recognition about the importance of curriculum in fashion design. Based on the curriculums of fashion design field of universities,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questionnaire to measure the degree of importance and the degree of application for the curriculum of fashion design field. The study gathered data from 235 students from 6 universities in Seoul. Major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referred career courses after graduation were fashion designer for woman's or menswear, patterner. Second, clothing construction field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important subject in the present, while material planning field is considered to become the most important in the future. The fashion design field was evaluated as an important field in the present and the future. Third, fashion design, accessory design, fashion design CAD, fashion illustration were evaluated as important subjects and highly available for career. Fourth, fashion design CAD, fashion illustration, and textile design were evaluated as the courses that needed more emphasis. Flat sketch, spec sheet, on-the-job training were needed to be included. Fashion designer, and patterner were preferred for career courses. Clothing construction, material planning, and fashion design were evaluated as important fields. Accessory design, fashion design CAD, and fashion illustration were evaluated as important and highly available subjects for career. For the new curriculum in the fashion design field, more courses on fashion design CAD, fashion illustration, textile design and on-the-job training are needed.

제스처 영상 인식기반의 인터렉티브 전시용 제어기술 연구 (A Controlled Study of Interactive Exhibit based on Gesture Image Recognition)

  • 차재상;강준상;노정규;최정원;구은자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1-5
    • /
    • 2014
  • 최근 산업의 발달로 인한 빌딩 등의 인텔리젼트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됨에 따라, 사무실환경, 주거환경에 있어서 쾌적성, 효율성, 편리성을 추구하게 되면서, 인간은 생활에서 다양한 디바이스를 사용 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스마트TV 과 스마트폰 등이 널리 보급되면서 인간과 스마트 기기간의 인터랙션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이러한 인터랙션을 위해 다양한 방법들이 연구되었지만 사람이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인터랙션 해야 한다는 불편함과 한계점이 발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가 LED 제어를 컨트롤러 없이 제스처(손동작)를 통해 간편하게 인터랙션 및 제어 할 수 있도록 Kinect를 이용한 방법을 소개한다. Kinect 센서로부터 획득한 제스처의 관절 정보를 이용하여 발광 소재를 제어하는 인터페이스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제스처(손동작)을 구현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LED를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개별 제어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 설계한 인터페이스는 LED 제어 및 다양한 분야에 응용하여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