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체의 안전진단을 위해 많이 적용되고 있는 전기비저항 탐사 자료 해석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제체의 상태에 따른 전기비저항 물성의 변화 양상을 실내시험 및 실측 자료의 분석을 통해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제체의 심벽 재료와 유사한 성질을 가지는 kaolinite를 이용하여 압밀조건에 따른 비저항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일축 압축에 의하여 전단강도가 떨어지는 경우에는 함수량에 관계없이 비저항 값이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사실은 제체 내의 심벽부분에 공극이 크게 발달하는 경우, 함수량에 상관없이 비저항은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코어부의 누수 현상과 관련한 이러한 관측은, 단순히 비저항이 낮은 곳만을 탐지하는 것이 누수대역을 조사하는데 있어 목표가 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암시한다. 또한 전기비저항 물성이 지반 강성도와 갖는 상관성을 파악하기 위해, 제체에 대한 시추를 통해 표준관입시험을 수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제체 보강을 위해 수행된 그라우팅 효과의 검증을 위해, 그라우팅에 따른 비저항변이 알고리듬을 제안하고, 실제 관측 자료와의 비교를 통해 알고리듬을 파악하였다.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nalytical uncertainties associated with sampling and analysis of major greenhouse gaseous pollutants(carbon dioxide and methane), we attempted to quantify their adsorptive loss due to the contact with the container wall(such as Tedlar bag and vial). Using the GC/FID method, some basic experimental parameters(such as reproducibility and method detection limit) have been evaluated as part of the essential QA/QC The reproducibilities of carbon dioxide and methane were estimated as 2.02 and 0.2%, respectively. In addition, method detection limits were measured as 0.61 and 0.06 ng, respectively. A test of sample loss rate has also been made for Tedlar bag and vial by assessing the absolute amount of sample loss on the wall. By transferring the samples contained in Tedlar bag to various sizes of Tedlar bags, we measured differences in the absolute loss quantity due to such transfer. In addition, we also examined such loss mechanism as a function of elapsed time and light penetration rate for vial. As results, carbon dioxide and methane have shown about 2% of sample loss due to such contact. It is also noticed that the amount of loss with vial surface is lower than that of Tedlar bag. Therefore, field collection of greenhouse gases using various container types should be made more cautiously to minimize the possibility of sample loss and bias related to such loss.
만성 당뇨병 질환자는 일 2회 이상 모세혈액을 채취하여 혈당검사를 행함으로써 자신의 혈당 수준을 지속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모세혈액 채취를 위하여 채혈침으로 빈번하게 피부관통을 행해야 하므로 채혈시 뒤따르는 통증은 대단히 중요한 문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수동 및 자동 채혈침들이 가지는 통증 유발요인들을 모두 최소화하는 기전을 고안하였다. 경사각을 이루는 taper형 스프링, 채혈침을 일관성있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guiding tunnel, 현존하는 기술로 제조할 수 있는 가장 가는 30G 채혈침을 적용함으로써 통증을 최소화 하였다. 침의 침투 깊이를 피하 2mm로 제한하여 통증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출혈량을 감소시켰다. 또한 환자 간 감염 및 이차 감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이 용이한 재사용 방지기전을 설치하였다. 당뇨질환자. 일반인 및 간호실습생들을 대상으로 한 임상실험 결과 통증 및 사용편의성과 안전성 모두 우수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일회 채혈로 모두 성공적인 혈당검사가 가능하였으며 단순한 구조의 소형화 ·일체화된 일회용 자동채혈침의 형태로 구현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혈담검사를 위한 모세혈액 채취시 최적의 방법을 제공하였으며 실용성 또한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In the present study, the effect of primary infection to reinfection with Ascaris suum larvae was experimented in mouse model. Mice were challenged with 1,000 infective stage eggs of Ascaris suum. The embryonated eggs were directly introduced into stomach of mice. Reinfection was performed at 50 days after the primary infection with same method as primary infection. Mice were sacrificed 3, 5, 7, 10, 15 and 20 days after infection in both groups respectively. Larvae collected from livers and lungs with Baermann's apparatus were enumerated and measured after sacrifice. Sera of mice were also collected at same time.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were as follows: With antigen prepared from coelomic fluid of adult Ascaris suum and sera collected from mice before reinfection, the production of antibody in experimental mice was confirmed by the gel-diffusion technique. In the livers of reinfected mice, the larvae were recovered up to 10 days after challenge, otherwhile in the primary infected mice, the larvae were observed up to 7 days. The maximum number of larvae were observed in the lungs of primary infected mice on 10 days after inoculation. In the lungs of reinfected mice, maximum number of larvae were recovered on 7 days after, only few larvae were recovered on 10 days after reinfection. As regards the growth of the larvae, the third stage larvae, over $500{\mu\textrm{m}}$ in length, appeared in livers at 5 days after reinfection, but it couldn't be found on 7 days and 10 days after challenge. The third stage larvae continuously developed were observed in lungs of mice from 5 days after reinfection.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development of larvae in livers of immune mice were probably repressed by the immune mechanisms being rises in livers and defence mechanism is also acting by interfering with the process of larval penetration into the lung from the liver.
Background: Biological control of plant pathogens using benign or beneficial microorganisms as antagonistic agents is currently considered to be an important component of integrated pest management in agricultural crops.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potential of Bacillus subtilis strain HK-CSM-1 as a biological control agent against Colletotrichum panacicola. Methods: The potential of B. subtilis HK-CSM-1 as a biological control agent for ginseng anthracnose was assessed. C. panacicola was inoculated to ginseng plants and the incidence and severity of disease was assessed to examine the efficacy of the bacterium as a biological control against C. panacicola. Results: Inoculation of Panax ginseng plants with B. subtilis significantly suppressed the number of disease lesions of C. panacicola and was as effective as the chemical fungicide iminoctadine tris(albesilate). The antifungal activity of B. subtilis against C. panacicola was observed on a co-culture medium. Interestingly, treatment with B. subtili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diameter of the lesions, suggesting that the mechanism of protection was through the reduction in the incidence of infection related to the initial events of the infection cycle, including penetration and infection via spore germination and appressorium formation rather than by the inhibition of invasive growth after infection.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B. subtilis HK-CSM-1 can be used as an effective and ecologically friendly biological control agent for anthracnose in P. ginseng.
The development of new concepts of liners is required in order to effectively neutralize the enemy's attack power concealed in the armored vehicles. A multiple-layer liner is one of possibilities and has a mechanism for explosion after penetrating the target which is known as "Behind Armor Effect." The multiple-layer explosive liner should have sufficient kinetic energy to penetrate the protective structure and explosive material react after target penetration. With this in mind, double-layer liner materials were obtained by cold spray coating methods and these material properties were experimentally characterized and used in this simulation for double-layer liners. In this study, numerical simulations in the three different layer types, i.e., single, A/B, A/B/A in terms of the layer location were verified in terms of finite element mesh sizes and numerical results for the jet tip velocity, kinetic energy, and the corresponding jet deformation characteristics were analysed in detail depending on the structure of layer types.
의료정보시스템 상에서 ad hoc 기반으로 디자인 된 네트워크는 일반적인 정보시스템 네트워크와 보안 요구사항이 다르다. 의료정보 네트워크 구조상에서는 트래픽 소통경로를 따라 악성코드 침투와 보안기능이 수행된다. 의료정보시스템 보안도메인이란 침투와 방어기능이 수행되는 네트워크 구조상에서의 트래픽처리 영역과 그룹을 차별화 하여 구분시키는 개념이다. 의료정보시스템 보안도메인별 영역과 기능을 기준으로 도메인별로 차별화된 침투발생이 가능하고 따라서 도메인별로 차별화된 보안 메커니즘이 개발되고 적용되어야 한다. Ad Hoc 기반 의료정보시스템은 어떤 기준으로 효율성 구조 Infrastructure 설계가 이루어져야 하는가 방법론 도출을 위해 본 연구를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의료정보시스템 네트워크 형상(Topology) 결정 요소, 보안도메인 설정기준, 구조도 선택기준, 차단위치 결정 구성기준을 제시한다. 제안된 방법론을 적용할 경우 의료정보시스템 보안도메인 영역기준에 따라 차별화된 설계가 필요하며 보안효율을 증대시킬수 있음을 본 연구를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The head penetrations for control rod drive mechanism and instrumentation systems are installed at the reactor pressure vessel head of PWRs. Primary coolant water and the operating conditions of PWR plants can cause cracking of these nickel-based alloy through a process called primary water stress corrosion cracking (PWSCC). Inspection of the head penetrations to ensure the integrity of the head penetrations has been interested since reactor coolant leakages were found at U. S. reactors in 2000 and 2001. The complex geometry of the head penetrations and the very low echo amplitude from the fine, multiple flaws due to the nature of the see made it difficult to detect and size the flaws using conventional pulse-echo UT methods. Time-of-flight-diffraction technique, which utilizes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flaw tips while pulse-echo does the flaw response amplitude from the flaw, has been selected for this inspection for it's best performance of the detection and sizing of the head penetration see flaws. This study defines the limits of the detectable and accurately sizable minimum flaw size which can be detected by the General TOFD and the Delta TOFD techniques for circumferentially and axially oriented flaws respectively. These results assures the reliability of the inspection techniques to detect and accurately size for various kind of flaws, and will also be utilized for the future development and qualifications of the TOFD techniques to enhance the detecting sensitivity and sizing accuracy of the flaws of the reactor head penetrations in nuclear power plants.
고무입자로 강인화된 폴리카보네이트의 강인화 메커니즘을 연구하기 위하여 synchrotron X-선을 이용한 소각 X-선 산란법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변형 과정에서의 폴리카보네이트 내의 micro-void의 생성과 성장과정을 조사하였다. 시료는 직경 $0.3{\mu}m$의 가교화된 아크릴 고무입자로 강인화된 폴리카보네이트이며 wedge test 방식으로 시료에 변형을 가하면서 X-선을 조사하여 산란빔의 세기 변화를 살펴보았다. 변형이 증가함에 따라 산란빔의 세기가 증가하며 이는 폴리카보네이트 매트릭스 내의 micro-void의 생성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micro-void는 폴리카보네이트 매트릭스 내부에 생선된 것으로서 이는 고무입자와 매트릭스간의 계면분리 현상이나 고무입자 내부의 cavitation에 의한 void는 아닌 것으로 추정된다. 이 micro-void는 큰 void들과는 달리 특정한 변형 정도에 이르러 일정한 크기를 갖고 생성되기 시작하며 변형 정도가 증가하여도 그 크기는 증가하지 않고 단지 그 양만이 계속적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식물의 추출물로 제조할 수 있는 유기산 재료는 포설 시 지중 속에서 미생물의 증식을 유도하며, 미생물에 의해 지반에서 압밀을 가속화시키고 빠르게 간극수압을 소산시킨다. 추가적으로 일부 미생물에 의해 탄산칼슘을 생성시켜 공극을 채워 강도를 증대시키거나 투수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기산 재료의 지반개량 메커니즘 규명을 위하여 화강풍화토, 라테라이트성 적토에 유기산 재료 혼합 전 후의 강도와 투수시험을 실시하였으며, SEM, XRD로부터 원인을 규명하였다. 유기산 재료 혼합 후 재령 96일에서 강도는 약 1.5~2.5배 증가하였으며, 투수계수는 72.9~93.1%의 감소율을 보였다. SEM으로부터 흙 입자의 구조가 변하거나 공극이 감소한 것을 관찰하여 강도증대, 투수감소의 원인을 규명할 수 있었으며, XRD로부터 탄산칼슘의 생성도 고결화의 주된 요인이라고 결론내릴 수 있었다. 이에 본 유기산 재료는 친환경적으로 지반을 개량할 수 있는 공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