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ctoral fin

검색결과 160건 처리시간 0.024초

한국산 씬벵이과 어류 1미기록종 Antennarius pictus (First Record of the Frogfishes Antennarius pictus (Antennariidae, Lophiiformes) from Korea)

  • 김병엽;김맹진;송춘복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68-171
    • /
    • 2011
  • 씬벵이과 (Antennariidae)에 속하는 Antennarius picus 2개체가 제주도 연안에서 처음으로 채집되었다. 이 종은 뒷지느러미 연조가 7개, 가슴지느러미 연조 10개, 등지느러미 연조 127개, 꼬리지느러미 연조 9개를 가지며, 제2등지느러미 가시의 말단은 기부보다 좁고 뒷방향으로 굽어져 있는 특징을 갖는다. 그리고 어류의 머리, 몸통, 지느러미 부위에 다양한 크기의 검은 점들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본종의 신한국명을 "흑점박씬벵이"로 명명하였다.

한국산 숭어과(Mugilidae) 어류, Moolgarda cunnesius (Valenciennes, 1836)의 첫기록 (First Record of Longarm Mullet Moolgarda cunnesius (Valenciennes, 1836) (Mugiliformes: Mugilidae) in Korea)

  • 서연주;김진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6권6호
    • /
    • pp.909-915
    • /
    • 2023
  • A specimen of longarm mullet Moolgarda cunnesius (Valenciennes, 1836) belonging to the family Mugilidae was collected from Yerae-dong, Seogwipo-si, Jeju-do Island, Korea, on July 19, 2023, using a hand net. The specimen was identified as Moolgarda cunnesius based on its morphological traits, including pectoral fin reaching the third or fourth spine of the first dorsal fin, anal fin higher than the first and second dorsal fin, two dorsal and caudal fin membranes with small melanophores, and a slightly convex interorbital region. Furthermore, molecular analysis, specifically comparison of the 623 base pairs of mitochondrial DNA COI sequences, confirmed that our specimen perfectly matched M. cunnesius. It is well known that the species is widely distributed in the Indo-West Pacific Ocean, including the Red Sea, Taiwan, and northern Australia, and this study shows that it also inhabits the Jeju-do Island, Korea. Additionally, we propose a new Korean name 'gin-pal-sung-eo' for this species.

한국산 동자개과 어류의 분류학적 재검토 (A Taxonomic Revision of the Family Bagridae (Pisces, Siluriformes) from Korea)

  • 이충렬;김익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17-137
    • /
    • 1990
  • 우리나라 서남해안으로 유입되고 있는 하천 및 각 수계에 서식하는 동자개과 어류를 재검토한 결과 모두 2속 6종 즉 Pseudobagrus fulvidraco, Pseudobagrus koreanus sp. nov., P. brevicorpus, Leiocassis nitidus, L. ussuriensis, L. longirostris 등으로 분류되었다. 이 중에서 P. koreanus sp. nov.와 P. brevicorpus는 한국특산 어종이다. 지금까지 Pseudobagrus sp. 로 기재해온 눈동자개는 독립종으로 하여 Pseudobagrus koreanus Uchida로 명명하였다.

  • PDF

한국산 자리돔속 어류의 형태학적 연구 - I. 한국산 자리돔속 어류 3종, 자리돔 Chromis notata, 노랑자리돔 C. analis, 연무자리돔 C. fumea의 외부형태학적 연구 (Morphological Study of the Genus Chromis from Korea - I. External Morphology of Three Damselfishes of the Genus Chromis(Teleostei: Pomacentridae) from the Korean Waters)

  • 김용억;김진구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23-32
    • /
    • 1996
  • 1993년 4월부터 1994년 8월까지 우리나라의 제주도와 남해안 등지에서 채집된 자리돔속 Chromis 어류 3종, 자리돔 Chromis notata 연무자리돔 Chromis fumea 노랑자리돔 Chromis anlis에 대한 외부형태학적 검토 및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노랑자리돔은 체장에 대한 체고의 비가 자리돔과 연무자리돔에 비해 크며, 자리돔은 채집지역에 따른 형태적 변이를 보였는데 제주도에서 북쪽으로 갈수록 가슴지느러미 기저의 흑색 무늬가 삼각형에서 원형으로 되며 배지느러미의 길이는 더욱 짧아졌다. 연무자리돔은 자리돔과 가슴지느러미 기저의 흑색 무늬의 유무, 전새개골의 형태에서 서로 달랐다. 본 조사에서 자리돔은 남해안 및 제주도에 걸쳐 광범위하게 서식하며, 노랑자리 돔과 연무자리돔은 제주도에만 서식하였다.

  • PDF

한국산 꼼치과(Lipardae) 어류 1 미기록종, Careproctus colletti (First Record of a Snailfish, Careproctus colletti (Scorpaeniformes: Liparidae) from the East Sea, Korea)

  • 박정호;지환성;윤병선;최영민;반태우;김진구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46-49
    • /
    • 2013
  • 쏨뱅이목 꼼치과에 속하는 Careproctus colletti 1개체(표준체장 373.2 mm)가 강원도 동해시 주변해역에서 자망에 의해 채집되었다. 본 종은 양턱에 피침형의 날카로운 송곳니가 나 있고, 새공의 하단이 가슴지느러미 상단에 이르지 못하고, 가슴지느러미 하단의 연조가 항문을 지나 길게 신장되며,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의 가장자리가 어두운 점이 특징이다. 우리나라에서 처음 보고되는 본 종의 국명으로 "먹분홍꼼치"를 제안한다.

Infestation Status of Parasitic Copepod, Clavella adunca (Strom) on Black Rockfish, Sebastes melanops

  • Chun, Kae-Shik
    • 환경생물
    • /
    • 제20권4호
    • /
    • pp.300-302
    • /
    • 2002
  • The occurrence and infection level of parasitic Copepod, Clavella adunca on the black rockfish, Sebastes melanops at the Hatfield Marine Science Center Aquarium were studied. C. adunca was usually found on the base of fins, preferably on the pectoral fins. Seven specimens of black rockfish, Sebastes melanops were collected from Oregon Coast Aquarium. Copepods of ten Clavella adunca were present as ectoparasites attached to the fins in the black rockfish. The prevalence and relative density of Clavella adunca were 28.6% and 1.4 respectively. It is considered that the tissue of the fin membrane offers the most favorable conditions toy the attachment of C. adunca.

제주도 북부 연안해역에서 채집된 도치과 (Cyclopteridae) 한국미기록종, Lethotremus awae (New Record of a Lumpfish, Lethotremus awae (Scorpaeniformes: Cyclopteridae) from Korea as a Filling of Distributional Gap in the Western North Pacific)

  • 김병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53-158
    • /
    • 2015
  • 수중 집어등에 의한 제주도 북부 연안역 자치어 조사 과정에서 2004년부터 2007년 사이에 채집된 도치과 어류 5개체 (표준체장 9.8~ 17.9 mm)에 근거로 Lethotremus awae를 한국미기록종으로 기재하였다. 이들의 체형은 구형으로 두부에 3개의 수염과 유사한 관상 돌기가 있는 점, 제1등지느러미가 기조수를 세기 어려울 정도로 두꺼운 피부로 덮혀 있는 점, 등지느러미 기조수 VIII-9, 뒷지느러미 기조수 8~ 9, 가슴지느러미 기조수 22~23인 특징이 있다. 본 종의 신한국명으로는 크기가 작은 점에서 '엄지도치'라 명명한다.

제주도에서 채집된 촉수과 어류 1미기록종, Upeneus tragula (First Record of the Freckled Goatfish, Upeneus tragula (Mullidae, Perciformes) from Korea)

  • 김병엽;김맹진;송춘복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44-248
    • /
    • 2013
  • 촉수과에 속하는 Upeneus tragula 2개체가 제주도에서 채집되어 한국 미기록종으로 기재한다. 이종은 가슴지느러미 연조 수 13개, 측선 비늘 수 29개, 새파수 19개를 갖고 있다. 그리고, 첫 번째와 두 번째 등지느러미에 다소 불규칙한 무늬가 있으며 몸의 측면에는 작은 크기의 점들이 비교적 넓게 분포하였고, 특히 꼬리지느러미의 상엽과 하엽에 여러 개의 짙은 줄무늬가 뚜렷하게 존재하여 우리나라에 현재 보고된 Upeneus속 3종과 형태적으로 쉽게 구분된다. 따라서, 이 종의 새로운 국명은 "검은줄촉수"로 제안한다.

수조(水槽)에서 사육(飼育)한 남해산(南海産) 쑤기미, Inimicus japonicus의 난발생(卵發生)과 부화자어(孵化仔魚)의 형태(形態) (Egg Development and Morphology of Larvae of South Sea Devil Stinger Inimicus japonicus (Cuvier et Valenciennes) Reared in the Aquarium)

  • 명정구;김종만;김용억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권1_2호
    • /
    • pp.1-8
    • /
    • 1989
  • 1989년(年) 8월(月), 경남(慶南) 진해만(鎭海灣), 자란만(紫蘭灣)에서 채포(採捕)된 성숙한 친어(親魚)를 사용한 수조내(水槽內)에서의 쑤기미의 난발생(卵發生) 및 부화자어(孵化仔魚)의 형태(形態)에 대한 관찰(觀察) 결과(結果)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정난(受精卵)은 직경이 1.2~1.3 mm인 분리부성난(分離浮性卵)으로, 유구(油球)가 없다. 수온(水溫) $24.9{\sim}26.5^{\circ}C$에서 E+26~29시간만에 부화하였다. 2. 부화직후(孵化直後) 자어(仔魚)는 전장(全長)이 2.47~3.10 mm였으며, 입과 항문(肛門)이 열리지 않으며, 몸 전체에 황색소포(黃色素胞)가 산재하여 있고, 난황(卵黃)을 위로하여 떠있다. 근절수(筋節數)는 13+16~17=29~30개였다. 3. 부화(孵化) 후(後) 2일째 전장(全長) 3.61~4.16 mm의 자어(仔魚)는 가슴지느러미가 부채형으로 크게 발달하여, 그 위에 3~4개의 커다란 흑색반점(黑色斑點)이 나타났다. 4. 부화(孵化) 3일째 전장(全長) 3.97~4.29 mm의 자어(仔魚)는 난황(卵黃)을 완전히 흡수하였으며, 가슴지느러미 줄기가 4~5개 발달하였다. 5. 부화(孵化) 6일째 자어(仔魚)는 전장(全長)이 4.07~5.46 mm 범위이며, 가슴지느러미에 11개의 줄기가 발달하였고, 흑색반점(黑色斑點)은 줄기끝부분에서 8~9개로 증가하였다.

  • PDF

Design and Dynamic Analysis of Fish-like Robot;PoTuna

  • Kim, Eun-Jung;Youm, Young-Il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3년도 ICCAS
    • /
    • pp.1580-1586
    • /
    • 2003
  • This paper presents the design and the analysis of a "fish-like underwater robot". In order to develop swimming robot like a real fish, extensive hydrodynamic analysis were made followed by the study of biology of the fishes especially its maneuverability and propel styles. Swimming mode is achieved by mimicking fish-swimming of carangiform. This is the swimming mode of the fast motion using its tail and peduncle for propulsion. In order to generate configurations of vortices that gives efficient propulsion yawing and surging with a caudal fin has applied and in order to submerge and maintain the body balance pitching and heaving motion with a pair of pectoral fin is used. We have derived the equation of motion of PoTuna by two methods. In first method, we use the equation of motion of underwater vehicle with the potential flow theory for the power of propulsion. In second method, we apply the method of the equation of motion of UVM(Underwater Vehicle-Manipulator). Then, we compare these resul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