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ctoral fin

검색결과 165건 처리시간 0.027초

New Record of Nomeus gronovii (Pisces: Nomeidae) from Korea

  • Lee, Soo Jeong;Kim, Jin-Koo;Lee, Won-Chan;Kim, Jeong Bae;Kim, Hyung Chul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8권3호
    • /
    • pp.317-320
    • /
    • 2015
  • A new record of Nomeus gronovii is described here based on a single specimen collected off the Jeju Island, Korea. The species has a blotched and spotted pattern on the body, 41 vertebrae, and a large pectoral fin with a white lower part. A molecular analysis of the partial (500 bp)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gene showed that this specimen is closely related to specimens of N. gronovii collected in South Africa (Kimura-two-parameter distance = 0.006-0.012). A new Korean name, "Ga-neun-dong-gang-yeon-chi", is proposed for this species.

한국 숭어과(Mugilidae) 어류 1 미기록종, Moolgarda seheli (First Record of Bluespot Mullet, Moolgarda seheli (Mugiliformes: Mugilidae) from Jeju Island, Korea)

  • 권혁준;김진구;권선만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97-301
    • /
    • 2012
  • 2010년 10월, 제주도 남부연안에서 Moolgarda seheli 3개체가 처음 채집되었다. 본 종은 비늘 가장자리에 부드러운 막이 있고, 가슴지느러미 기저의 등쪽 기점에 뚜렷한 어두운 반점과 초승달 모양의 꼬리지느러미를 가지며, 측선비늘은 39개, 척추골은 24~25개를 가진다. 본 종의 국명으로 속명은 "초승꼬리숭어속"을 새롭게 제안하며, 종명은 "초승꼬리숭어"이다.

한국산 양쥐돔과 어류 1 미기록종, Acanthurus nigricauda (One Unrecorded Species of Acanthurus nigricauda (Acanthuridae, Perciformes) from Korea)

  • 김진구;박정호;황강석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64-167
    • /
    • 2007
  • 농어목 양쥐돔과(Acanthuridae)에 속하는 Acanthurus nigricauda 1개체(체장 213.5 mm)가 부산시 기장군 동암 앞바다에서 정치망으로 처음 채집되었다. 본종은 가슴지느러미 상부와 미병부의 측면 중앙에 1개씩의 선명한 검은 반문이 있는 것이 특징이며, "양쥐돔"이라 명명하였다.

한국산 망둑어과 어류 1 미기록종 Istigobius hoshinonis (A New Record of the Gobiid Fish Istigobius hoshinonis from Korea)

  • 이용주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7권1호
    • /
    • pp.39-44
    • /
    • 1991
  • 1986년 8월 2일 제주도 한림읍에서 채집한 망둑어과 어류 1개체가 한국 미기록종인 Istigobius hoshinonis로 동정되었기에 이를 기재하였다. 본 종은 가슴지 느러미에 유리전조가 없고 둥지느러미전방 비늘이 12개 이상, 횡렬린수가 7-9개, 뺨과 새개부에 비늘이 없는점 등에서 동일속의 다른 종들과 잘 구분된다. 본 종의 한국명은 '비단망둑'이라 명명한다.

  • PDF

양식산 강도다리(Platichthys stellatus)에서의 비정형 Aeromonas salmonicida 분리 (Isolation of atypical Aeromonas salmonicida in cultured starry flounder (Platichthys stellatus))

  • 김위식;권민수;김휘진;오명주;공경희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47-250
    • /
    • 2022
  • About 6.7% mortality was reported in a starry flounder (Platichthys stellatus) aquaculture farm in 2022. Most of the diseased fish showed a loss of pectoral fin, hemorrhages on muscle and gills, pale gills, enlarged spleen, and nodules on kidney. Parasites, fungi or viruses (viral hemorrhagic septicemia virus and hirame novirhabdovirus) were not detected from diseased fish. However, numerous bacteria were isolated from liver, spleen and kidney. Nucleotide sequences of the A-protein-encoding virulence array protein gene (vapA) of the bacteria showed 99.93% identity with Aeromonas salmonicida subsp. masoucida. This study is the first report of isolation of atypical A. salmonicida in cultured starry flounder in Korea.

실고기, Syngnathus schlegeli 난(卵)의 형태(形態) 및 산출(産出) 자치어(仔稚魚)의 형태(形態) 발달(發達) (The Egg Morphology and Larval Development of the Pipefish, Syngnathus schelegeli Kaup)

  • 김용의;한경호;안건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93-98
    • /
    • 1994
  • 1991년(年) 5월(月)과 6월(月)에 부산시 강서구 명지동에 위치한 낙동강 하구역(河口域)에서 실고기 수컷어미 5마리를 채보(採補)하여, 이들 수컷어미의 육아낭(育兒囊)에서 인위적(人爲的)으로 채란(採卵)하여 난(卵)의 형태(形態)를 관찰하였고, 육아낭(育兒囊)에서 산출(産出) 자어(仔魚)를 사육하면서 형태(形態) 발달(發達)을 관찰하였다. 1. 수정란(受精卵)은 거의 구형 또는 타원형이며, 난경(卵徑) 0.72~1.01 mm로 많은 소유구(小油球) 가지고 있고, 난황(卵黃)은 황색(黃色)을 띤다. 2. 육아낭(育兒囊)에서 갓 산출(産出)한 자어(仔魚)는 평균(平均) 체장(體長)이 10.9 mm로 입과 항문이 열려 있으며, 주둥이를 제외한 부분이 성어(成魚)의 체형(體形)과 닮아있고, 근절(筋節)은 59~60개로 각 근절 표면에 체륜(體輪) (골판(骨板))이 형성(形成)되기 시작한다. 3. 산출후(産出後) 6일(日)째의 후기자어(後期仔魚)는 평균(平均) 체장(體長)이 13.8 mm로 아래턱이 더욱 커져 발달하고, 아가미뚜껑 부분이 발달하여 열려 있다. 4. 산출후(産出後) 8일(日)째의 개체(個體)는 평균(平均) 체장(體長) 14.1 mm로 등지느러미에 40~42개, 꼬리지느러미에 9개, 가슴지느러미에 13~14개의 줄기가 완전하게 형성되어 치어기(稚魚期)에 달한다. 5. 산출후(産出後) 10일(日)째의 추어(推魚)는 평균(平均) 체장(體長) 14.7 mm로 주둥이는 더욱 길어지며, 아가미와 꼬리지느러미가 더욱 발달하여 성어(成魚)의 체형(體型)과 거의 유사(類似)해진다.

  • PDF

연어 Fillet 부산물인 가슴지느러미 부근 근육의 식품성분 특성 (Food Component Characterization of Muscle around Pectoral Fin, Salmon Fillet Processing By-products)

  • 허민수;이동호;강경태;김형준;윤민석;박권현;김진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70-75
    • /
    • 2009
  • 연어 가공 부산물인 연어 가슴지느러미 부근 근육의 식품성분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고, 아울러 연어 fillet 근육과 비교 검토하였다. 연어 가슴지느러미 근육의 일반성분은 수분함량이 64.4%, 조단백질 함량이 17.2%, 조지방 함량이 16.2%, 조회분 함량이 1.4%이었고, pH 및 휘발성염기질소 함량은 각각 6.73 및 7.8 mg/100 g이었으며, fillet 처리 근육을 기준으로 한 수율은 7.4%이었다. 연어 가슴지느러미 부근 근육의 TCA 가용성 질소 함량은 479 mg/100 g으로, fillet 근육의 612 mg/100 g에 비하여 낮았고, 명도, 적색도, 황색도 및 색차는 각각 54.86, 22.08, 22.41 및 52.35로, fillet 근육에 비하여 차이가 없었다. 연어 가슴지느러미 부근 근육의 아미노산 총 함량은 17.1 g/100 g이었고, 주요 아미노산은 aspartic acid, glutamic acid, leucine 및 lysine 등이었으며, 주요 구성 지방산은 16:0, 18:1n-9 및 18:2n-6, 20:5n-3 및 22:6n-3 등으로, fillet 근육의 그것과 차이가 없었다. 연어 가슴지느러미 근육의 칼슘과 인의 함량은 각각 19.1 mg/100g 및 211.7 mg/100 g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연어 가슴지느러미 부근 근육은 수산가공품 재자원으로 이용 가능하리라 판단되었다.

줄납자루, Acheilognathus yamatsutae (잉어과)의 골격 발달 (Osteological Development of Korean Striped Bitterling, Acheilognathus yamatsutae (Cyprinidae))

  • 송호복;손영목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9-28
    • /
    • 2005
  • 줄납자루, Acheilognathus yamatsutae (Cyprinidae)의 골격형성과 연골의 골화 과정에 대하여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장 $6.82{\pm}0.08mm$ 에 부설골 (parasphenoid), 치골 (dentary), 익상골 (pterygoid), 각설골 (ceratohyal), 새궁(branchial arch) 등과 미골 (caudal skeleton)의 일부 등이 생성되었다. $7.76{\pm}0.09mm$에는 전두골 (frontal)과 두정골 (parietal)의 발달이 현저하였고, 주상악골 (maxillary)이 나타났으며, 흉대 (pectoral girdle)의 방사기골(proximal), 견갑골 (scapula), 오훼골 (coracoid)이 형성되었다. 또한 신경극 (neural spine)과 혈관극 (hemal spine)이 미추(caudal vertebrae)에 생성되기 시작하였다. $9.68{\pm}0.14mm$에 내장골 (vesceral skeleton)의 주새개골(opercle)과 새조골 (branchiostegals)이 나타났으며, 12.94 mm에는 흉대의 후측두골 (post temporal)이 생성되었다. 골격의 골화는 $9.68{\pm}0.14mm$를 전후하여 일어났으며, 부설골, 인두골 (pharyngeal bone), 치골, 전상악골(premaxillary), 주상악골, 주새개골 등과 늑골 (pleural rib), 신경극, 혈관극이 골화되었으며, 흉대의 의쇄골(cleithrum)과 상의쇄골 (supracleithrum) 그리고 미골의 미부봉상골 (urostyle)과 꼬리지느러미 (caudal fin)가 골화되었다. $11.52{\pm}0.13mm$에는 척추골이 생성되면서 골화되었고, $15.30{\pm}0.68mm$에 두부의 전두골, 전새개골(preopercle), 하새개골 (subopercle), 설악골 (hyomandibular)등이 경골화되었다. 본 종의 골격 형성과 골화는 다른 어종에 비하여 비교적 늦게 발달하였다.

볼락, Sebastes inermis의 초기생활사에 관한 연구 -2. 산출 자치어의 외부형태 및 골격발달- (The Early Life History of the Rockfish, Sebastes inermis -2. Morphological and Skeletal Development of Larvae and Juveniles-)

  • 김용억;원경호;변순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465-476
    • /
    • 1993
  • 1992년 10월부터 부산, 경상남도 거제도 등에서 낚시, 주낚 및 어시장에서 채집한 친어들을 육상수조로 운반하여 사육하던 중, 1993년 1월 부터 5마리의 친어에서 자연 산출한 자어를 사육하면서 성장에 따른 외부형태와 골격 발달과정을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산출직후 자어의 평균전장은 6.05mm로 아직 난황은 완전히 흡수되어 있지 않으나, 입과 항문은 열려 있으며, 근절수는 $8+18{\sim}19=26{\sim}27$개이다. 2. 산출후 7일째 후기자어는 평균전장 7.10mm로 난황과 유구한 완전하게 흡수되고, 골격 중 섭이활동과 관련된 악골이 가장 먼저 골화하기 시작한다. 3. 산출후 21일째 후기자어는 평균전장 8.50mm 두개부에 한쌍의 극이 형성되며, 척색말단이 위로 굽어지기 시작한다. 4. 지느러미의 분화는 꼬리, 가슴, 등, 뒷, 배지느러미 순으로 이루어진다. 5. 산출후 $65{\sim}69$일째 개체는 전장 $17.60{\sim}20.80mm$로 모든 지느러미가 완전하게 형성되어 치어기로 이행하며, 모든 골격의 골화가 완료되어 완전한 골격의 형태를 갖춘다.

  • PDF

쏨뱅이 Sebastiscus marmoratus 초기생활사에 관한 연구 2. 산출 자치어의 외부형태 및 골격 발달 (The Early Life History of the Rockfish, Sebastiscus marmoratus 2. Morphology and Skeletal Development of Larvae and Juvenile)

  • 김용억;한경호;강충배;김진구;변순규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86-194
    • /
    • 1997
  • 부산, 통영, 거문도 및 완도에서 낚시, 주낚 및 어시장에서 채집한 친어들을 육상수조로 운반하여 사육하던 중 1997년 3월에 자연산출한 자어를 사육하면서 성장에 따른 외부 형태와 골격 발달과정을 관찰하였다. 1. 쏨뱅이의 산출 직후 자어의 평균 체장은 2.95 mm로 입과 항문은 이미 열려 있지만, 난황과 유구가 아직 남아있으며, 막지느러미는 물방울 모양의 포말상 구조이다. 2. 산출 후 5일째 자어의 평균 체장은 3.10 mm로 난황과 유구는 완전히 흡수되어 후기 자어기로 이행하며, 골격 중 섭이 활동과 관련된 악골 및 유영과 관련된 쇄골이 먼저 골화하기 시작한다. 3. 산출 후 11일째 자어의 평균 체장은 4.22 mm로 두정부에 1개의 가시가 출현하며, 척색의 말단부가 굽기 시작하고 근절은 9+15~17=24~26개로 정수에 달한다. 4. 산출후 22일째 자어의 평균 체장은 5.46 mm로 꼬리지느라미가 6~7개, 가슴지느러미가 2~3개로 각각 분화하기 시작하며 눈의위쪽에 1개의 안상극이, 척추골에는 14개의 추체가 골화된다. 5. 산출 후 35일째 자어의 평균 체장은 9.90 mm로 뒷지느러미가 정수에 달하며, 머리의 주둥이 앞부분, 아가미 뚜껑부, 등지느러미 및 뒷지느러미 기저부, 체측의 중앙을 따라 흑색소포가 출현한다. 6. 산출 후 39일째 자어의 평균 체장은 14.36 mm로 각 부위의 골격이 완성되어 치어기로 이행하며, 머리의 안하골 부위와 뺨에 새롭게 나뭇가지 모양의 흑색소포가 발달하기 시작하며, 꼬리지느러미 기저에는 점모양의 혹색소포가 나타난다. 또한 복부에는 별모양 혹은 점모양의 흑색소포가 발달하여 전체적으로 검게 보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