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ak response

검색결과 1,254건 처리시간 0.038초

운동부하 심전도를 이용한 중년 남성들의 걷기 운동이 ST/HR 경사 및 QRS 벡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Walking Exercise on ST/HR Slope and QRS Vector in the Middle-Aged Men)

  • 김덕중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71-76
    • /
    • 2010
  • 본 연구는 중년 남성들을 대상으로 3년간 1년에 1회씩 3차례에 걸쳐 운동부하 검사 시 심전도 반응을 측정하여 야외 및 트레드밀 걷기 운동 참여 여부에 따라 부하 심전도의 변화에 어떠한 양상이 나타나는지를 규명하고자, 안정 시 신체조성 분석, 운동부하 검사 시 심전도 반응을 측정하였다. 안정 시 신체조성 분석은 체지방율과 BMI를 측정하였고, 안정 시 및 운동부하 검사 시 심전도 반응은 ST/HR 경사 및 QRS 벡터를 측정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ST/HR 경사의 변화에 있어서 운동 6분부터 통제 집단은 감소하기 시작하여 운동 9분과 peak시에 $2.4\;{\mu}V/bpm$ 이하로 감소하여 허혈 증상이 나타났다. 2. QRS 벡터의 축 각도에 있어서 안정 시 전면 축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통제 집단이 우측으로 유의하게 편향되었고, 안정 시 수평면 축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통제 집단이 등 쪽으로 유의하게 향하였다. 안정 시 수평면 파고의 길이에 있어서 통제 집단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걷기 운동 집단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비 활동의 중년 남성들은 운동 중 심근 허혈 유발, QRS 벡터의 편향 등이 현저하게 나타난 반면, 규칙적인 야외 및 트레드밀 걷기 활동에 참여한 중년 남성들은 심혈관계 질환 위험 요소의 감소로 심장기능이 향상된 결과를 알 수 있었다.

FDS와 GIS를 이용한 교량 화재 위험도의 정량적 평가 및 적용방안 (Quantitative Fire Risk Assessment and Counter Plans Based on FDS and GIS for National Road Bridges)

  • 안호준;박철우;김용재;장영익;공정식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1권6호
    • /
    • pp.185-195
    • /
    • 2017
  • 최근 교통과 물류의 발달과 함께 위험물 수송의 증가와 교통량의 증가로 인하여, 주요한 사회기반시설물 중 하나인 교량에 대하여 예상하지 못한 화재사고 화재 발생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또한, 교량 하부 공간의 효율적인 사용에 대한 요구가 늘어남에 따라, 하부에 유조차 및 화물차 등의 위험물질이 적치되는 비율이 증가하고 있으며, 앞서 기술한 이유들로 인하여 최근 교량의 화재 발생 위험성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교량에 대한 화재 위험도 평가가 수행된 사례가 있으나, 사용자의 관점에서 안전성을 고려한 실용적으로 위험도를 평가할 수 있는 모델이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도교량에 적용 가능한 정량적인 위험도 평가모델을 제시하였다. 교량의 화재위험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형하고, 화재강도, 교량의 재료, 소방차량 도착시간 등을 주요인자들로 선정하였으며, 선정된 인자들을 FDS에 반영하여 화재강도와 지속시간에 따른 각 교량의 최고 온도를 산출하였다. FDS 해석결과와 위험도 등급기준, 소방차량 도착시간을 반영한 화재 위험도 평가 모델과 위험도에 따른 대응방안을 수립하였다. GIS의 네트워크 분석기능을 통해 소방서에서 교량까지의 도착시간을 예시적으로 산출하였으며, 이를 통해 예시적인 교량의 위험도 등급을 평가하고, 그에 따른 대응방안을 제안하였다.

1-(2-Pyridylazo)-2-naphthol 수식전극을 사용한 Cu(II) 이온의 전압전류법적 정량 (Voltammetric Determination of Cu(II) Ion at a Chemically Modified Carbon-Paste Electrode Containing 1-(2-pyridylazo)-2-naphthol)

  • 배준웅;전희숙;장혜영
    • 대한화학회지
    • /
    • 제37권8호
    • /
    • pp.723-729
    • /
    • 1993
  • 탄소분말과 Nujol oil의 carbon paste 혼합물에 1-(2-pyridylazo)-2-naphthol (PAN)을 섞어서 Cu(Ⅱ)이온에 감응하는 수식전극을 제작하였다. Cu(II) 이온이 포함된 완충용액에 전극을 담구어 전위를 가하지 않고 PAN-수식전극의 표면에 Cu(II) 이온을 석출시킨 후, 전해액으로 옮겨 일정시간 동안 일정 전위에서 환원시켰다. 그런 다음 양의 방향으로 전위를 주사함으로써 좋은 전압전류파를 얻을 수 있었다. 전극표면을 산용액에 담금으로써 재생시킬 수 있었다. 전극의 재현성은 석출/측정/재생의 순으로 5회 반복실험하여 조사한 결과 상대표준편차는 6.1${\%}$였다. 시차펄스 전압전류법으로 조사한 경우 2.0 ${times}$ 10$^{-7}$M에서 1.0 ${times}$ 10$^{-6}$ M의 농도 범위에 걸쳐 직선성이 성립했으며, 검출한계는 6.0 ${times}$ 10$^{-8}$ M이었다. Cu(II) 이온을 정량하는데 있어서 EDTA와 oxalate 이온을 제외한 다른 공존이온의 영향을 별로 받지 않았다.

  • PDF

도파로 어레이 격자를 이용한 광섬유 브래그 스트레인 센서의 반사파장 신호 복원 기술 (Wavelength Interrogation Technique for Bragg Reflecting Strain Sensors Based on Arrayed Waveguide Grating)

  • 서준규;김경조;오민철;이상민;김영제;김명현
    • 한국광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68-72
    • /
    • 2008
  • 광섬유 브래그 격자(fiber Bragg grating: FBG)를 이용한 스트레인 센서는 출력 값으로 브래그 반사 파장의 변화를 제공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브래그 격자 스트레인 센서에서 출력되는 빛을 도파로 어레이 격자(arrayed waveguide grating: AWG)에 입력시켜서 파장의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FBG에 스트레인이 가해지게 되면 브래그 반사 파장이 이동하게 되어 AWG를 지나서 출력되는 채널별 광 파워가 변하게 되며, 이 값들의 조합으로 구해지는 centroid 값을 계산하면 브래그 반사 파장과 인가된 스트레인 값을 얻을 수 있다. 브래그 격자의 반사 스펙트럼의 대역폭이 centroid 값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3-dB 대역폭이 5.4 nm인 chirped FBG를 사용하였으며, 저항 측정방식의 기존 스트레인 센서와 비교하여 오차범위가 2% 이내인 결과를 확인 하였다. FBG 센서를 외팔보에 부착하여 진동에 따른 스트레인 값을 실시간으로 측정한 결과 진동 주파수 17.8 Hz, damping 시상수 0.96 초를 얻을 수 있었다.

In vivo Pharmacokinetics, Activation of MAPK Signaling and Induction of Phase II/III Drug Metabolizing Enzymes/Transporters by Cancer Chemopreventive Compound BHA in the Mice

  • Hu, Rong;Shen, Guoxiang;Yerramilli, Usha Rao;Lin, Wen;Xu, Changjiang;Nair, Sujit;Kong, Ah-Ng Tony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9권10호
    • /
    • pp.911-920
    • /
    • 2006
  • Phenolic antioxidant butylated hydroxyanisole (BHA) is a commonly used food preservative with broad biological activities, inclu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induced carcinogenesis, acute toxicity of chemicals, modulation of macromolecule synthesis and immune response, induction of phase II detoxifying enzymes, as well as its undesirable potential tumor-promoting activities. Understanding the molecular basis underlying these diverse biological actions of BHA is thus of great importance. Here we studied the pharmacokinetics, activation of signaling kinases and induction of phase II/III drug metabolizing enzymes/transporter gene expression by BHA in the mice. The peak plasma concentration of BHA achieved in our current study after oral administration of 200 mg/kg BHA was around $10\;{\mu}M$. This in vivo concentration might offer some insights for the many in vitro cell culture studies on signal transduction and induction of phase II genes using similar concentrations. The oral bioavailability (F) of BHA was about 43% in the mice. In the mouse liver, BHA induced the expression of phase II genes including NQO-1, HO-1, ${\gamma}-GCS$, GST-pi and UGT 1A6, as well as some of the phase III transporter genes, such as MRP1 and Slco1b2. In addition, BHA activated distinct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s), c-Jun N-terminal kinase (JNK),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protein kinase (ERK), as well as p38, suggesting that the MAPK pathways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early signaling events leading to the regulation of gene expression including phase II drug metabolizing and some phase III drug transporter genes. This is the first study to demonstrate the in vivo pharmacokinetics of BHA, the in vivo activation of MAPK signaling proteins, as well as the in vivo induction of Phase II/III drug metabolizing enzymes/transporters in the mouse livers.

다발근육염과 피부근육염에서 관찰된 중첩증후군 (Overlap Syndromes in Polymyositis and Dermatomyositis)

  • 박경석;김남희;홍윤호;성정준;남현우;박성호;이광우
    • Annals of Clinical Neurophysiology
    • /
    • 제9권1호
    • /
    • pp.11-15
    • /
    • 2007
  • Background: The term "overlap syndromes" designates a group of diseases in which polymyositis (PM) or dermatomyositis (DM) is associated with some other disorders of connective tissu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lineate the clinical features, laboratory findings, and outcome of treatment of "overlap syndromes" Methods: We analyzed the medical records of 16 patients (PM in 10, DM in 6) with well documented "overlap syndromes" between 1997 and 2004. The diagnosis was made when the criteria for two different disorders were fulfilled. Results: All patients were female. Age of onset ranged from 14 to 52 years (mean 29.8 years) with peak incidence in the third and fourth decades.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SLE) was associated in 10, systemic sclerosis in 7, and rheumatoid arthritis in 3 patients. Four of the patients had two different connective tissue diseases simultaneously. The characteristic clinical features were muscle weakness, arthralgia, Raynaud's phenomenon, and myalgia. In laboratory tests, creatine kinase (CK), lactic dehydrogenase (LDH), and transaminases were usually abnormal. Positive antinuclear antibody (ANA), rheumatoid factor (RF), and cryoglobulin were found in 100%, 69%, and 67% of the patients, respectively. Needle electromyography (EMG) showed abnormal findings compatible with myopathy in 15 patients. The pathology of muscle biopsy from 14 patients revealed findings compatible with inflammatory myopathy. Glucocorticoids were administered to 15 patients. The muscle strength improved in all the treated patients, which was well correlated with repeat CK level and EMG findings. Conclusions: The presence of autoantibodies such as ANA, RF, and cryoglobulin in patients with PM or DM highly suggests the possibility of an overlap syndromes. These syndromes reveal a strong female predominance. The myositis associated with them usually shows a good response to glucocorticoids treatment.

  • PDF

Electrochemical determination of chloramphenicol using a glassy carbon electrode modified with dendrite-like Fe3O4 nanoparticles

  • Giribabu, Krishnan;Jang, Sung-Chan;Haldorai, Yuvaraj;Rethinasabapathy, Muruganantham;Oh, Seo Yeong;Rengaraj, Arunkumar;Han, Young-Kyu;Cho, Wan-Seob;Roh, Changhyun;Huh, Yun Suk
    • Carbon letters
    • /
    • 제23권
    • /
    • pp.38-47
    • /
    • 2017
  • In this study, magnetite ($Fe_3O_4$) nanoparticles were electrochemically synthesized in an aqueous electrolyte at a given potential of -1.3 V for 180 s.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revealed that dendrite-like $Fe_3O_4$ nanoparticles with a mean size of < 80 nm were electrodeposited on a glassy carbon electrode (GCE). The $Fe_3O_4/GCE$ was utilized for sensing chloramphenicol (CAP) by cyclic voltammetry and square wave voltammetry. A reduction peak of CAP at the $Fe_3O_4/GCE$ was observed at 0.62 V, whereas the uncoated GCE exhibited a very small response compared to that of the $Fe_3O_4/GCE$. The electrocatalytic ability of $Fe_3O_4$ was mainly attributed to the formation of Fe(VI) during the anodic scan, and its reduction to Fe(III) on the cathodic scan facilitated the sensing of CAP. The effects of pH and scan rate were measured to determine the optimum conditions at which the $Fe_3O_4/GCE$ exhibited the highest sensitivity with a lower detection limit. The reduction current for CAP was proportional to its concentration under optimized conditions in a range of $0.09-47{\mu}M$ with a correlation coefficient of 0.9919 and a limit of detection of $0.09{\mu}M$ (S/N=3). Moreover, the fabricated sensor exhibited anti-interference ability towards 4-nitrophenol, thiamphenicol, and 4-nitrobenzamide. The developed electrochemical sensor is a cost effective, reliable, and straightforward approach for the electrochemical determination of CAP in real time applications.

공진형 전력부이의 상하변위증폭 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for the Resonance Effect of the Power Buoy Amplitude)

  • 권혁민;고혁준;김정록;최영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3권2호
    • /
    • pp.585-594
    • /
    • 2013
  • 공진형 파동에너지 추출시스템은 권혁민 등(2010)에 의해 최초로 제안되었다. 본 시스템은 계류장치와 직렬발전기 그리고 발전기를 가진하는 부이로 구성되어 있으며 직렬발전기의 운동자는 부이의 수직운동에 의해 내부 진동하는 시스템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와 같이 파랑에너지가 비교적 적은 지역에서는 가진체인 부이의 수직운동 크기를 증폭시킬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발전기를 탑재한 부이가 공진할 수 있도록 제원을 조절하고 이의 증폭효과를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모형부이는 공진주기 1.96 sec에 해당하는 흘수를 확보하도록 제원을 조절하였다. 부이공진 실험은 최대수심 6.0 m, 폭 8 m, 길이 110 m인 대형수조에서 규칙파 및 불규칙파에 대하여 수행되었다. 실험파는 평상파의 파형경사에 해당하는 약 0.01에 상응하도록 파를 선택하였다. 부이의 수직변위 관측시계열 자료는 규칙파의 진폭증폭율과 불규칙파의 스펙트럼 면적비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규칙파실험은 모형 전력생산부이의 공진주기 1.96 sec에서 최대 진폭증폭율 5.66을 얻었으며 불규칙파의 경우는 첨두주기가 1.96 sec보다 약간 짧은 1.85 sec에서 최대 스펙트럼면적비 20.73을 얻었다. 본 실험성과로부터 부이의 공진설계가 전력생산의 증대에 유효하며 우리나라와 같이 비교적 파랑에너지가 적은 지역에서 상업적 전력생산을 위하여 필수불가결함을 알았다.

NADPH oxidase 저해제인 diphenyleneiodonium의 p53 발현 및 암세포의 성장억제에 대한 연구 (NADPH oxidase inhibitor diphenyleneiodonium induces p53 expression and cell cycle arrest in several cancer cell lines)

  • 조홍재;김강미;송주동;박영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6호통권86호
    • /
    • pp.778-782
    • /
    • 2007
  • Diphenyleneiodonium (DPI)는 NADPH oxidase 같은 flavoenzymes의 저해제로써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간 대장암 세포주 HCT-116 (wild-type p53)와 HT-29 (p53 mutant) 및 인간 유방암 세포주인 MCF-7(wild-type p53)의 세포성장 과정에서의 DPI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DPI는 농도 및 시간 의존적으로 암세포주의성장을 막았으며 G2/M phase에서 cell cycle arrest를 일으켰다. Cell cycle arrest의 가장 높은 값은 DPI 처리후 12 시간에서 관찰할 수 있었다. 한편 DPI는 아폽토시스 그리고 cell cycle arres 에 관여하는 유전자 발현에 관여하는 p53의 표현을 크게 증가시켰으며, 이는 DPI처리 후 6시간 후 부터 관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NADPH oxidase의 조합을 억제하는 catechol 계인 apocynin은 p53의 발현을 유도하지 못하였다. 이것은 DPI에 의해 유도되는 p53의 발현증가는 NADPH oxidase활성의 저해와 관련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DPI는 HCT-116, HCT-15 및 MCF-7 암세포주에서 ROS에 비 의존적으로 wild-type p53 발현의 증가를 유도하며, 이 증가된 p53은 DPI에 의해 유도되는 성장 억제 및 C2/M phase에서의 cell cycle arrset과정의 조절기전에 관여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식후 정상 한국인의 혈장 gastrin 농도 (Plasma Gastrin Concentration after a Carbohydrate Meal and a Protein Meal in Normal Human Subjects)

  • 김명석;박형진;조양혁;권경옥;이윤렬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15권2호
    • /
    • pp.83-89
    • /
    • 1981
  • 한국 정상 성인에서 탄수화물 음식물(쌀밥)과 단백질 음식물(햄버거)의 섭취가 혈장 gastrin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평균 연령이 28세($20{\sim}40$세)되는 정상 성인 남녀 8명이 실험에 참가하였다. 15시간 이상 절식한 이들에게 쌀밥(250 g) 및 햄버거(200 g)의 섭취전 30분, 섭취직전, 섭취후 15, 30, 45, 60, 90 및 120분에 각각 말초 정맥에서 채혈한 다음 방사면역 측정방법(radioimmunoassay)으로 혈장 gastrin 농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쌀밥 및 햄버거의 섭취로 인하여 혈장 gastrin 농도가 공복시의 값에 비하여 각각 유의하게 상승하였다. 2) 햄버거의 섭취로 인한 혈장 gastrin 농도의 상승은 쌀밥에 의한 상승값에 비하여 유의하게 더 많았다. 3) 햄버거의 섭취후 gastrin 분비가 많았던 개인은 쌀밥의 섭취후에도 그 분비가 많아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 주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단백질 음식물의 섭취가 gastrin 분비에 촉진적 영향을 미침과 아울러 탄수화물 음식물의 섭취도 gastrin 분비에 촉진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