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ak identification

검색결과 280건 처리시간 0.022초

감마선 조사된 바질과 정향의 전처리방법에 따른 ESR Spectra 판별 특성 (ESR-based Identification of Radiation-Induced Free Radicals in Gamma-Irradiated Basil and Clove Using Different Sample Pre-Treatments)

  • 곽지영;안재준;카시프 아크람;권중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0호
    • /
    • pp.1454-1459
    • /
    • 2012
  • 섬유소 식품 중 바질과 정향의 방사선 조사처리 여부 확인을 위한 전자스핀공명분석법(ESR)의 개선을 위해 동결건조(FD), 상압건조(OD), 알코올건조(AE), 알코올세척건조(WAE) 처리하여 cellulose radical을 확인하였다. 비 조사 시료는 모두 singlet signal($g_0$=2.006)을 나타내었고, 조사된 시료의 경우는 모두 singlet signal을 중심으로 두 개의 side peak($g_1$=2.023 and $g_2$=1.986)가 6 mT 간격으로 나타나 cellulose 유래의 signal을 확인할 수 있었다. AE, WAE 처리한 정향의 경우, 조사유래의 cellulose radical의 ESR intensity가 증가하였으며, central peak와 side peak의 비율도 판별에 매우 적합하였다. 그러나 FD 처리한 바질의 경우 ESR intensity는 가장 크게 나타났으나, signal ratio는 AE, WAE 처리하였을 때 더 이상적이었다. 또한 $Mn^{2+}$ signal 유래의 radical은 AE, WAE 처리한 시료에서 크게 감소하여, FD 및 OD에 비해 매우 명확한 조사여부 판별이 가능하였다. 따라서 AE, WAE 처리는 바질과 정향의 조사여부 판별방법을 크게 개선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기타 향신료에 대해서도 ESR spectra 분석에 적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경기도 소방재난본부에 소속된 두 구급대의 출동수요 분석 (An Analysis of Call Demands of Two Squads In Kyonggi Provincial fire and Disaster Headquarters)

  • 엄태환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77-86
    • /
    • 2002
  •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which was conducted by surveying lost/added unit hours reports, unit hour demand analysis worksheets from prehospital care reports of two squads in Kyonggi Provincial Fire and Disaster Headquarters for 20 weeks (January 1, 2002 - May 20, 2002) are to get Unit Hour Utilizations. Call Demands such as Unit Hour Demand, Simple Average Demand, High Average Demand, Peak Average Demand, the High Actual Demand. The conclusions from this analysi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By revealing Unit Hour Produced 3223.9, Call Volume 964, Unit Hour Utilization 0.299 at the Squad A and Unit Hour Produced 3328.4, Call Volume 901, Unit Hour Utilization 0.271 at the Squad B induced Korean Squads to chance identification, definition, direction of Unit Hour Utilization. (2) By revealing Simple Average Demand 7.4 on Monday Tuesday, High Average Demand 9.6 on Tuesday Friday. Peak Average Demand 11.5 on Tuesday, the High Actual Demand 12 on Tuesday Wednesday at the Squad A and Simple Average Demand 6.8 on Sunday, High Average Demand 10.4 on Monday, Peak Average Demand 11.5 on Monday, the High Actual Demand 13 on Monday at the Squad B enabled Korean Squads to utilize System Status Management. (3) The Maximum Calls per Unit Hour were 115 for 23:00~23:59, the Minimum Calls per Unit Hour were 46 for 05:00~05:49 in two squads. The Maximum Calls per Unit Hour were 7.4 on Tuesday Saturday, the Minimum Calls per Unit Hour were 6.1 on Thursday at the Squad A. The Maximum Calls per Unit Hour were 7.3 on Monday Saturday, the Minimum Calls per Unit Hour were 5.6 on Thursday at the Squad B. (4) Analyzing demand for EMTs in the optimum emergency medical service of Korea, we have been able to utilize this Unit Hour Utilization in company with the established estimation methods such as international comparisons or the number of ambulances for scientific reasonable estimation. (5) These Call Demands which were limited to the demand time in this study will make us expect some following studies including demand time, demand time, demand map for Strategic Deployment.

  • PDF

Identification of backside solar proton events

  • 박진혜;문용재;이동훈
    • 천문학회보
    • /
    • 제35권1호
    • /
    • pp.34.1-34.1
    • /
    • 2010
  • Solar proton events, whose fluxes are larger than 10 particles cm-2 sec-1 ster-1 for >10 MeV protons, have been observed since 1976. NOAA proton event list from 1997 to 2006 shows that most of the events are related to both flares and CMEs but a few fraction of events (5/93) are only related with CMEs. In this study, we carefully identified the sources of these events. For this, we used LASCO CME catalog and SOHO MDI data. First, we examined the directions of CMEs related with the events and the CMEs are found to eject from the western hemisphere. Second, we searched a major active region in the front solar disk for several days before the proton events occurred by taking into account two facts: (1) The location of the active region is consistent with the position angle of a given CME and (2) there were several flares in the active region or the active region is the largest among several candidates. As a result, we were able to determine active regions which are likely to produce proton events without ambiguity as well as their longitudes at the time of proton events by considering solar rotation rate, $13.2^{\circ}$ per day. From this study, we found that the longitudes of five active regions are all between $90^{\circ}W$ and $120^{\circ}W$. When the flare peak time is assume to be the CME event time, we confirmed that the dependence of their rise times (proton peak time - flare peak time) on longitude are consistent with the previous empirical formula. These results imply that five events should be also associated with flares which were not observed because they occurred from back-side.

  • PDF

HPHT(고온고압)에 의해 처리된 type IIa 천연 다이아몬드의 감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dentification of type IIa natural diamonds treated by the HPHT method)

  • 김영출;최현민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1-26
    • /
    • 2004
  • HPHT(고온고압) 처리된 type IIa 다이아몬드의 분광분석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HPHT 처리된 다이아몬드 spectrum의 특성을 이와 유사한 color와 type을 가진 처리되지 않은 다이아몬드와 비교하였다. 325nm 에서 여기된 He/Cd laser로는 HPHT 처리된 다이아몬드와 처리되지 않은 다이아몬드에 현저한 변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는데 이는 HPHT 처리된 다이아몬드의 spectrum에서 H3, H4에 관련된 peak가 제거되고 N3 system에 관련된 peak의 emission이 증가함을 보여 주었다. 또한 514nm에서 여기된 Ar-ion laser로 측정된 spectrum은 575nm와 637.1 nm에서 Nitrogen과 vacancy가 관련되어있는 N-V center가 발견 되었는데 이러한 center가 존재하고 있을 경우 637.1 nm의 FWHM의 값은 HPHT 처리된 다이아몬드와 처리되지 않은 다이아몬드를 구분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본 실험에서 측정된 HPHT 처리된 다이아몬드의 637.1nm $(N-V)^-$의 FWHM 값은 $19.8{\textrm}{cm}^{-1}$에서$32.1{\textrm}{cm}^{-1}$였다.

인터디지털-커패시터 구조를 이용한 Chipless RFID용 고감도 소형 공진기 설계 (Design of High-Sensitivity Compact Resonator using Interdigital-Capacitor Structure for Chipless RFID Applications)

  • 여준호;이종익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5권1호
    • /
    • pp.90-95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chipless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용 고감도 소형 공진기의 설계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고감도 소형 공진기는 기존의 전계-결합(ELC; electric field-coupled) 공진기에서 커패시터 모양의 스트립 구조 대신에 인터디지털-커패시터(IDC; interdigital-capacitor) 구조를 사용하였다. IDC 구조의 극판 길이가 기존의 커패시터 모양 구조 보다 더 길어 공진기의 등가 커패시턴스가 더 커지고, 이로 인해 레이다 단면적(RCS; radar cross section)의 공진 피크 주파수를 낮출 수 있다. 정사각형 루프의 길이와 스트립의 폭이 같은 두 공진기를 두께 0.8 mm의 RF-301 기판에 제작하였다. 실험 결과, ELC 공진기는 bistatic RCS의 공진 피크 주파수와 값은 4.305 GHz와 -30.39 dBsm이었다. 제안된 IDC 공진기의 경우 bistatic RCS의 공진 피크 주파수와 값은 3.295 GHz와 -36.91 dBsm이었다. 따라서 측정 공진 피크 주파수를 기준으로 공진기 크기가 23.5% 정도 소형화되었다.

전계-결합 유도-용량성 공진기를 이용한 Chipless RFID 태그 설계 (Design of Chipless RFID Tags Using Electric Field-Coupled Inductive-Capacitive Resonators)

  • 여준호;이종익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530-535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전계-결합 유도-용량성(ELC; electric field-coupled inductive-capacitive) 공진기를 이용한 chipless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 설계 방법을 제안하였다. 공진 피크 주파수가 다른 ELC 공진기 3개와 인터디지털-커패시터(IDC; interdigital-capacitor) 구조의 소형 공진기 1개를 2×2 배열 구조로 배치하여 4-비트 chipless RFID 태그를 설계하였다. IDC 공진기의 bistatic 레이다 단면적(RCS; radar cross section)의 공진 피크 주파수는 3.125 GHz이고, ELC 공진기의 공진 피크 주파수는 커패시터 모양의 스트립의 간격을 이용하여 각각 4.225 GHz, 4.825 GHz, 5.240 GHz로 조정하였다. 공진기 사이의 간격은 1 mm이다. 제안된 4-비트 태그를 두께 0.8 mm의 50 mm×20 mm 크기의 RF-301 기판에 제작하였다. 실험 결과, 제작된 4-비트 chipless RFID 태그의 공진 피크 주파수는 3.290 GHz, 4.295 GHz, 4.835 GHz, 5.230 GHz로 -2.3% ~ 0.2% 범위의 오차를 나타내며 시뮬레이션 결과와 유사하게 측정되었다.

Thermoluminescence, DNA Comet 및 DEFT/APC 분석에 의한 방사선처리 건고추의 저장 중 검지 특성 (Identification Characteristics of Irradiated Dried Red Pepper during Storage by Analysis of Thermoluminescence, DNA Comet, and DEFT/APC)

  • 김병근;권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851-856
    • /
    • 2004
  • 통고추의 열발광 특성(TL)분석에서 2.5 kGy 이상의 조사 시료에서 분리된 미네랄 시료는 $150^{\circ}C$ 부근에서 TL glow curve ($TL_1$)를 나타내었고, 조사선량이 증가할수록 peak intensity가 증가하였다. 재조사(1 kGy) 방법에 의한 TL ratio($TL_1/TL_2$)는 TL 분석의 신뢰도를 높여주었다. DNA comet assay에서 비조사 시료(씨)는 전형적인 intact cell을 나타내었으나 감마선 조사 시료에서는 long tail을 가진 comet을 나타내면서 선량 의존적으로 tail length가 증가되었다. 미생물학적 방법으로써 DEFT/APC값 측정에서는 조사선량에 따라 분말고추와 통고추에서 비교적 높은 상관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DNA comet assay와 DEFT/APC 방법은 방사선 조사 건고추의 screening 방법으로서, TL은 확인방법으로서 적용가능성이 확인되었다.

공명 산란 이론을 이용한 단일층 원통형 껍질 내부 물질의 음향 식별 (Acoustic Identification of Inner Materials in a Single-layer Cylindrical Shell with Resonance Scattering Theory)

  • 조영태;김완구;윤석왕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57-263
    • /
    • 2015
  • 음향 공명 이론을 이용하여 단일층 원통형 껍질 속 내부 물질의 음향 식별을 연구하였다. 원통형 껍질의 이론적인 공명 피크 주파수들은 내부 물질의 밀도 변화에 의해서는 거의 영향을 받지 않으나, 음속 변화에 의해서는 두드러지게 변화를 보인다. 이와 같은 음향 의존성을 원통형 껍질 속 내부 물질을 식별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단일층 원통형 껍질에 대한 음향 공명 스펙트로그램을 정규화 주파수 및 내부 물질 음속의 함수로서 이론적으로 작성한다. 이 스펙트로그램에 측정한 후방 산란 음압장의 음향 공명 피크들을 중첩함으로써 내부 물질을 음향학적으로 식별할 수 있다. 이를 실험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물, 기름 또는 에틸렌글리콜을 넣은 원통형 껍질의 후방 산란 음압장을 수조 안에서 측정하였다. 단일 송수신 방식으로 중심주파수 1.05 MHz인 음파 변환기로 측정한 후방 산란 음압장의 음향 공명 피크로 내부 물질을 식별할 수 있었다.

Genome-wide identification of long noncoding RNA genes and their potential association with mammary gland development in water buffalo

  • Jin, Yuhan;Ouyang, Yina;Fan, Xinyang;Huang, Jing;Guo, Wenbo;Miao, Yongwang
    • Animal Bioscience
    • /
    • 제35권11호
    • /
    • pp.1656-1665
    • /
    • 2022
  • Objective: Water buffalo, an important domestic animal in tropical and subtropical regions, play an important role in agricultural economy. It is an important source for milk, meat, horns, skin, and draft power, especially its rich milk that is the great source of cream, butter, yogurt, and many cheeses. In recent years, long noncoding RNAs (lncRNAs) have been reported to play pivotal roles in many biological processes. Previous studies for the mammary gland development of water buffalo mainly focus on protein coding genes. However, lncRNAs of water buffalo remain poorly understood, and the regulation relationship between mammary gland development/milk production traits and lncRNA expression is also unclear. Methods: Here, we sequenced 22 samples of the milk somatic cells from three lactation stages and integrated the current annotation and identified 7,962 lncRNA genes. Results: By comparing the lncRNA genes of the water buffalo in the early, peak, and late different lactation stages, we found that lncRNA gene lnc-bbug14207 displayed significantly different expression between early and late lactation stages. And lnc-bbug14207 may regulate neighboring milk fat globule-EGF factor 8 (MFG-E8) and hyaluronan and proteoglycan link protein 3 (HAPLN3) protein coding genes, which are vital for mammary gland development.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the first genome-wide identification of water buffalo lncRNAs and unveils the potential lncRNAs that impact mammary gland development.

주요(主要) 과수(果樹)에 대(對)한 흡수(吸收)나방류(類)의 종류(種類), 유충(幼蟲)의 기주범위(寄主範圍) 및 피해상(被害相)에 관(關)하여(전남(全南) 과수지대(果樹地帶) 중심(中心)) (Identification, Larval Host Plant Range, and Damage of the Fruit Sucking Moths to the Major Fruit in Cheonnam Province)

  • 김규진;이태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83-190
    • /
    • 1986
  • 전남지방(全南地方)의 주요(主要) 과수(果樹) 수종(樹種)인 배, 자두, 복숭아, 사과, 포도의 성숙기(成熟期)에 피해(被害)가 큰 과실(果實) 흡수(吸收)나방류(類)의 분류(分類), 유충(幼蟲)의 기주범위(寄主範圍) 및 피해(被害)에 관(關)하여 1982년(年)부터 1983년(年) 2개년(個年)에 걸쳐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본(本) 조사(調査)에서 분류(分類)된 흡수(吸收)나방류(類)는 총(總) 31종(種)이었으며 이 중(中) 회색붉은뒷날개나방, 우단태극나방, 왕흰줄태극나방, 스투포사밤나방, 박각시나방, 세줄박각시나방, 분홍등줄박각시나방(복숭아박각시나방), 무늬뾰쪽날개나방, 흰제 비불나방, 곧은띠수염나방 등(等) 10종(種)이 새로이 밝혀졌다. 2. 과수원(果樹園) 주위(周圍)에 분포(分布)된 흡수(吸收)나방류(類) 유충(幼蟲)의 주요(主要)한 기주식물(寄主植物)로는 청미래덩굴, 자귀나무, 댕댕이덩굴, 꿩의다리, 검양옻나무, 개굴피나무, 가래나무, 나무딸기, 가지, 배추 등(等)이었다. 3. 주요(主要) 과수(果樹)의 품종별(品種別) 피해(被害)를 보면 자두는 Santa Rosa>Beauty>Soldam, 복숭아에서는 조생백도(早生白桃)${\geq}$황도(黃桃)>백도(白桃), 사과는 축(祝)>홍옥(紅玉), 포도는 Campbell Early>Neo Muscat>Golden Queen 순(順)으로 피해(被害)가 컸다. 4. 흡수(吸收)나방류(類)의 발생량(發生量)과 주요(主要) 과수(果樹)의 숙기(熟期)와의 관계(關係)를 보면 자두와 복숭아 숙기(熟期)인 7월(月) 초순(初旬)${\sim}$하순경(下旬頃)과 사과 및 포도의 숙기(熟期)인 8월(月) 하순(下旬)${\sim}$9월(月) 중순경(中旬頃)에 발생량(發生量)이 많았다. 5. 주요(主要) 과수별(果樹別) 가장 피해(被害)를 많이 주고 있는 흡수(吸收)나방류(類)는 자두의 경우 무궁화밤나방, 으름밤나방, 복숭아에서 태극나방, 작은갈고리밤나방, 포도에 작은갈고리밤나방, 태극나방, 그리고 사과에서는 태극나방이었다. 6. 흡수(吸收)나방류(類)의 비래시간(飛來時間)은 일몰후(日沒後) 6시(時)부터 시작(始作)되어 새벽 2시(時)까지였으며 그 Peak 는 밤 10${\sim}$12시(時)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