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aches

검색결과 107건 처리시간 0.019초

Amygdalin Contents in Peaches at Different Fruit Development Stages

  • Lee, Suk-Hee;Oh, Angela;Shin, Seo-Hee;Kim, Ha-Na;Kang, Woo-Won;Chung, Shin-Kyo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22권3호
    • /
    • pp.237-240
    • /
    • 2017
  • Amygdalin contents of the seeds, endocarps, and mesocarps from three peach cultivars (i.e., Stone Peach, Hikawa Hakuho, and Bakhyang) were measured at three stages of fruit development (stone-hardening, fruit enlargement, and ripening). The peach samples were dried and defatted with a Soxhlet apparatus, reflux extracted with methanol, and analyzed using reverse phase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During all fruit development stages, the amygdalin contents in the seeds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endocarps and mesocarps. The amygdalin contents of the Stone Peach were comparatively higher than the Hikawa Hakuho and Bakhyang (P<0.05). Further, the amygdalin contents during ripening were very low or not detected. Overall, the amygdalin contents of the three peach cultivar samples (seed, endocarp, and mesocarp) increased until the fruit enlargement stage and either remained constant or decreased during ripening.

복숭아의 재배 및 저장기간 중 Procymidone, Chlorpyrifos 및 Cypermethrin의 잔류량 변화 (Residue Patterns of Procymidone, Chlorpyrifos and Cypermethrin in Peaches During Cultivation and Storage Period)

  • 이용재;고광용;원동준;길근환;이규승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20-226
    • /
    • 2003
  • 복숭아의 생산단계에서 잔류허용 기준과 최종 소비단계에서의 잔류양상 평가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복숭아에서의 procymidone, chlorfyrifos 및 ccypermethrin의 포장상태에서와 실온($20^{\circ}C$) 및 저온($4^{\circ}C$) 저장시 잔류양상을 알아보았다. Procymidone의 포장상태에서의 반감기는 표준량 3.1, 배량 3.4일로 나타났고, chlorpyrifos는 포장상태에서 표준량 7.2, 배량 5.8일로 나타났으며, cypermethrin은 표준 10.1, 배량 14.4일로 나타났다. 약제 살포 후 초기 부착량이 MRL 이하로 내려갈 때까지의 시간을 계산해 본 결과 배량으로 살포 할 경우 procymidone과 chlorpyrifos는 안전사용기준 보다 시간이 오래 걸렸지만, 표준량으로 사용할 경우 별다른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장기간 중의 procymidone, chlorpyrifos, cypermethrin의 반감일수는 $20^{\circ}C$에서 4.6, 10.2, 12.9일 이며, $4^{\circ}C$에서는 16.1, 14.3, 13.1일로 저온에서의 반감기가 실온에서보다 더 긴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세척방법에 의한 잔류농약의 제거율은 수돗물에서는 최고 procymidone 82.9%, chlorpyrifos 27.0%, cypermethrin 24.0%로 나타났고, 세제를 사용 할 경우 procymidone 88.8%, chlorpyrifos 59.0%, cypermethrin 59.4%의 제거율을 보였다.

사과, 복숭아, 딸기 품종에 따른 비타민 B1, B2 및 나이아신 함량 비교 (Comparison of Vitamin B1, B2, and Niacin Contents According to the Cultivars of Apple, Peach and Strawberry)

  • 윤성란;류정아;정남혁;장길수;김종수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1119-1127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다소비 농산물인 사과, 복숭아, 딸기의 품종에 따른 수용성 비타민 B군 중 B1, B2 및 나이아신을 분석하여 함량 차이를 비교하고, 식품성분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품종에 따른 사과의 비타민 B1 함량은 0.063-0.208 mg/100g, 비타민 B2 함량은 0.006-0.031 mg/100g의 범위의 값으로 검출되었으나, 나이아신은 검출되지 않았다. 품종에 따른 복숭아의 비타민 B1 함량은 0.014-0.276 mg/100g, 비타민 B2 함량은 0.019-0.042 mg/100g, 나이아신 함량은 0.298-1.096 mg/100g 범위의 값으로 검출되었다. 품종에 따른 딸기의 비타민 B1 함량은 0.112-0.394 mg/100g, 비타민 B2 함량은 0.001-0.027 mg/100g, 나이아신 함량은 0.388-0.809 mg/100g 범위의 값으로 검출되었다. 따라서 사과, 복숭아, 딸기 등의 과일의 영양성분 분석 데이터베이스 구축시 품종 요인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이와 더불어 과일의 수확시기, 재배방법, 환경적인 요인에 따른 차이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그에 따른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복숭아 일차가공품(一次加工品)의 저장성(貯藏性)에 관한 연구(硏究) (Storage Trial of Preliminary Processed Peach)

  • 이동선;구영조;신동화;로이소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19-226
    • /
    • 1981
  • 수확시기가 아주 짧은 복숭아의 가공기간(加功其間)을 연장(延長)하기 위하여 수확시기에 일차가공품으로 대량 처리 저장하는 방법을 정립코자 복숭아를 반절(半切)솔리드팩으로 가공하였다. 침지 전처리방법, 살균방법, 포장방법 및 저장조건이 저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 완제품 복숭아 통조림으로 가공하여 관능적으로 품질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구연산 및 비타민 C침지에 의한 플라스틱 필름 파우치 포장저장 6개월에서의 품질은 3 겹파우치는 비타민C 처리구가 좋았고 2 겹파우치는 구연산처리구가 양호하였다. 2. 포장후 살균 및 고온충진 등 살균방법이 솔리드팩 저장중 색택 및 조직에 미치는 영향은 컸으나 최종 완제품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았다. 3. 포장방법 이 솔리드 팩 저장 및 완제품 가공적성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관(罐) 및 3 겹파우치 포장이 2 겹파우치 포장보다 양호하였다. 4. 저장중 품질보존 및 완제퓸 가공적성으로는 상온$(20^{\circ}C)$ 보다 저온$(5^{\circ}C)$ 저장이 효과적이었다.

  • PDF

토양 및 기후정보 통합 최대저해인자법에 의한 복숭아와 포도의 적지 평가 (The maximum limiting characteristic method-based land suitability assessment for peaches (Prunus persica) and grapes (Vitis vinifera L.) using rasterized data of soil and climate on agricultural land in South Korea)

  • 김호정;구경아;심교문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86-296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남한지역을 대상으로 토양학적 그리고 기후학적 적지 기준을 통합하여 최대저해인자 방법으로 과수 2종(복숭아와 포도)에 대해서 재배적지를 구분하였다. 복숭아는 최적지 2.21%, 적지 19.21%, 가능지(저위생산지 포함) 12.07%, 부적지 66.52%로 구분되었고, 포도는 최적지 3.65%, 적지 17.98%, 가능지(저위생산지 포함) 11.85%, 부적지 66.52%로 구분되었다. 토양과 기후 조건의 통합에 의해 구분한 복숭아와 포도의 적지는 토양 조건만으로 구분한 적지와 유사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토양 조건에 의한 구분한 적지(최적지 포함) 면적이 기후 조건에 의해 구분한 면적보다 적은 것으로 분석되어서 토양 조건이 적지구분의 저해인자로 확인되었다. 어떤 행정구역(도)에서 적지(최적지 포함)로 구분된 면적이 많으면 많을수록 더많은 과수가 재배될 것이라는 가정 하에, 행정구역별 복숭아와 포도의 실재 재배면적 비율과 토양 및 기후 조건 통합의 최대저해인자법에 의해 구분한 적지면적과 비교하였을 때, 실재 과수 재배면적의 비율이 적은 행정구역에서는 해당 과수의 재배면적 확대를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다만, 과수 적지구분의 정확도 향상을 위해서는 분석적 계층화법(AHP)과 같은 개선된 방법과 농장단위의 과수 생산량과 수익자료를 추가하여 비교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복숭아 전통발효식초 원료로서의 복숭아즙 유용성 연구 (A study on the Usefulness of Peach-juice as a Raw Material for Traditional Fermented Peach Vinegar)

  • 성지연;김지윤;황소윤;이경현;김민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345-352
    • /
    • 2022
  • 복숭아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과잉 생산된 복숭아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형태로 복숭아 원료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4종류 즙(생과원액, 냉장생즙, 중탕즙, 냉동퓨레)으로 제조한 4종류 전통발효식초의 특성을 비교·분석하여 식초 원료로서 즙의 활용가치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 제조한 4종류 발효식초의 당도(6.20~6.50°Brix), 총산도(5.25~5.61%), 산도pH(3.42~3.74) 및 초산 함량(48.81~54.29 mg/mL)은 기존 전통발효식초들과 유사하였다. 그러나 총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냉장생즙 및 중탕즙으로 제조한 식초가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복숭아 전통발효식초를 제조하기 위한 원료로 중탕즙 및 냉장생즙이 매우 적합하며, 특히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은 중탕즙은 고부가가치 기능성 식품 소재로도 활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고부가가치 복숭아 원료를 개발하는데 중요한 지침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모의수송 중 진동피로에 의한 복숭아의 손상 (Damage at the Peach Due to Vibrational Stress During Transportation Simulation Test)

  • 최승렬;이영희;최동수;김만수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5권3호
    • /
    • pp.182-188
    • /
    • 2010
  • Post-Harvest processing engineering is a field that studies prevention of the quality change of agricultural products during sorting, packaging, storage, and distribution after harvested. In distribution steps, agricultural products could be damaged by physical force, it is the main reason of low quality and they lost value of commoditi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find the vib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peach, and to find the extent of the damage on the peach by fatigue stress. The vibration data was obtained on expressway and the vibration characteristics of peach was used to find the damage on the peach. To analyze the vibration characteristics of peach, the resonance frequency and vibration transmissibility were measured.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peach was 167.98 Hz and the transmissibility was 4.06 at resonance point. It was 150 ~ 250 Hz that the transmissibility was more than 1. And the transmissibility in simulated test was measured. When the trasmissibility was more than 1, the range was 15 ~ 65 Hz, and when it was less than 1, the range was 65 ~ 175 Hz. When the transmissibility was about 1, the range was 5 ~ 15 Hz. The damage and the vibration cycle numbers of peaches were compared with input frequency and acceleration. More damage and less cycle number happened in 30 Hz than in 62.5 Hz. The reason was that the transmissibility of 30 Hz was higher and the vibration displacement in lower frequency was more. The more acceleration and cycle number increased, the more the bruising volume of peaches increased. The bruising volume ratio for vibration fatigue was measured according to input acceleration and cycle number. Using measured data, regression models for bruising volume ratio(BVR) was developed as a function of the acceleration(A) and cycle number(CN) as follows. BVR = a * $A^b*$ $(CN)^c$

과일의 형태적 특성에 따른 농약의 잔류성과 분포 (Residue characteristics of hexaconazole and chlorothalonil in several fruits)

  • 이희동;경기성;권혜영;임양빈;김진배;박승순;김장억
    • 농약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07-111
    • /
    • 2004
  • 농약의 특성 및 과일별 농약의 잔류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복숭아, 포도 및 배 등 과수를 시험작물로 하여 침투성 살균제인 hexaconazole 2% SC와 비침투성 살균제인 chlorothalonil 53% SC를 혼용 희석하여 시험과수의 지상부에 1회 살포한 후 2시간, 3, 7, 14, 21일 째에 과일을 시료로 채취하였고, 시험기간 중 과일의 증체량을 조사하였다. 또한 경시적으로 농약 잔류량과 과육 및 과피 중 잔류농약의 분포비율을 조사하였다. 과일의 증체량은 털이 있는 복숭아는 약제 살포 21일 후에 약 57%, 털이 없는 천도복숭아는 약 40% 증가되었고, 포도와 배는 변화가 거의 없었다. 농약살포 직후와 대비한 21일 후의 잔류량을 비교한 결과 hexaconazole의 경우 복숭아에서는 13%, 포도에서는 24%, 배에서는 36% 농약이 잔류하였고, chlorothalonil의 경우에는 각각 11%, 27% 및 44%의 농약이 잔류하였다. 과일의 과피와 과육 등 부위별 잔류량을 조사한 결과 과육에서는 모든 시험구에서 검출한계 미만으로 검출되지 않았다.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시판(市販) 수종과실류(數種果實類)의 유리당정량(遊離糖定量) (Determination of Free Sugars in Some Fruits by Liquid Chromatography)

  • 이응호;구재근;이종수;하진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7권3호
    • /
    • pp.158-162
    • /
    • 1984
  • 우리나라에서 가을에 수확되는 과실의 가공적성(加工適性)에 대한 자료를 얻을 목적으로 사과, 배, 복숭아, 포도 및 감귤중의 유리당을 HPLC법으로 정향하였다. 감귤류에 있어서 함량이 많은 것은 sucrose, fructose 및 glucose순이었으며, 품종에 따라 유리당함량의 차이가 심하였고, sucrose는 품종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총유리당 함량의 약 $53{\sim}65%$를 차지하였다. 복숭아도 감귤과 마찬가지로 함량이 많은 것은 sucrose, fructose, glucose순이었다. 포도와 배의 경우는 fructose, glucose sucrose순으로 함량이 많았고, 특히 장십랑의 fructose함량은 다른 품종보다 2배이상 높았다. 사과의 경우 태양과 홍옥은 fructose, glucose, sucrose순으로 함량이 많았으나, 골덴, 부사, 인도, 육오는 fructose, sucrose, glucose순으로 함량이 많았다.

  • PDF

과일 통조림의 팽창원인에 관한 연구 (Causes of Can Swelling of Commercially Canned Fruits)

  • 문은주;김형용;경규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89-94
    • /
    • 1985
  • 팽창된 과일 통조림을 수집하여 팽창된 원인이 화학적 반응에 의한 수소팽창 때문인지 또는 미생물에 의한 부패인지를 조사하였고 미생물에 의한 부패로서 효모가 부패 미생물로 밝혀졌을 때는 속 종까지 동정하였다. 전체적으로 볼 때 깐포도 통조림은 수소팽창에 의해 팽창된 비율이 88%였으나 복숭아 통조림은 24% 뿐이었고, 미생물에 의한 부패율이 76%로서 같은 산성 식품이라고 하더라도 이들 두 제품의 주요 팽창원인이 현저히 다르게 나타났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이 판단된다. 깐포도 통조림의 정상적인 pH범위(3.1-3.4)는 복숭아 통조림의 pH범위(3.6-4.3)에 비해 낮기 때문에 수소팽창이 잘 일어나고 이와같이 복숭아 통조림의 높은 PH가 미생물 번식에 유리함은 물론 기타의 다른 복숭아 통조림의 제품특성이 가열 살균효과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가장 흔히 발견된 부패효모는 Saccharomyces속과 Torulopsis속의 효모로 밝혀졌고 기타 Candida속이나 Pichia 속의 효모도 낮은 빈도로 발견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