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ckA

검색결과 173건 처리시간 0.023초

초등학교 교사의 과학 PCK에 대한 학업 열정 수준 및 영향 요인 탐색 (An Exploratory Study on Level and Influencing Factors of Academic Passion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Science PCK)

  • 강훈식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1권3호
    • /
    • pp.553-568
    • /
    • 2022
  •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의 과학 PCK에 대한 학업 열정 수준과 그 열정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 소속 초등학교 교사 161명을 선정한 후, 과학 내용학 및 과학 교육학에 대한 학업 열정 검사를 시행하였다. 또한 일부 교사를 대상으로 개별적인 심층 면담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 내용학 및 과학 교육학 학습에 대해 '중요함'과 '조화열정'은 높은 수준, '시간/에너지 투자'와 '강박열정'은 보통보다 약간 높거나 낮은 수준이었다. 과학 내용학 학습에 대한 '좋아함'은 비교적 높은 수준이었지만, 과학 교육학 학습에 대한 '좋아함'은 보통보다 약간 높은 수준이었다. 교직 경력보다 학부 과학 심화전공 여부에 따른 과학 내용학 및 과학 교육학에 대한 학업 열정의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났다. 초등학교 교사는 과학 PCK에 대한 열정에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 '개인의 관심 및 흥미', '고등학교 계열', '학부 과학 심화전공 여부', '과학 관련 대학원 진학 여부', '초등학교에서 과학을 가르친 경험', '영재교육원에서 과학을 가르친 경험', '과학 전담 교사 담당 경험', '과학 관련 교사 연수', '과학 관련 교수-학습 자료 개발 경험', '과학 및 과학영재 관련 업무 담당 경험', '과학 관련 교사공동체 참여 경험' 등을 골고루 선택하였다. 그러나 그 선택 비율에서는 학부 과학 심화전공 여부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교사의 과학 PCK에 대한 학업 열정을 높이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과학기술 관련 사회쟁점 교육을 위한 교과교육학적 지식(SSI-PCK) 요소에 대한 탐색 (Conceptualization of an SSI-PCK Framework for Teaching Socioscientific Issues)

  • 이현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539-550
    • /
    • 2016
  • 본 연구는 교사들의 SSI 교수를 돕기 위해 SSI 교수를 위한 PCK 요소를 도출하여 이론적으로 개념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기존 PCK의 틀 내에서 SSI 교수와 관련된 문헌분석을 통해 SSI-PCK의 요소를 도출하였고, 관련 선행 연구 자료의 재분석을 통해 그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SSI-PCK에는 6개 주요 요소, 즉 SSI 교수지향, SSI 교수 방법에 관한 지식, 교육과정에 관한 지식, 학생의 SSI 학습에 관한 지식, SSI 학습 평가에 관한 지식, 학습 환경에 관한 지식이 도출되었다. 첫째, SSI 교수지향은 교사가 학생들에게 SSI를 가르치는 목적 및 목표를 의미하는 것으로, 학생 중심 활동, 지식과 고등사고능력, 실생활과의 연결, 과학 및 기술의 본성, 시민역량 및 인성, 사회적 실천의 6가지 하위 요소들이 있다. 둘째, SSI 교수 방법에 관한 지식은 SSI 수업을 운영하는데 필요한 교수 학습 방법론적 지식을 의미하며, SSI 수업 설계, 진보적 교수전략, 협력적 수업 환경 조성의 3가지 하위 요소들이 있다. 셋째, 교육과정에 관한 지식은 SSI와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과의 연관성에 관한 지식을 의미하며, 과학 교육과정과의 수평적/수직적 연계성, 타교과와의 연계성의 2가지 하위 요소들을 포함한다. 넷째, 학생의 SSI 학습에 관한 지식은 SSI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특성 및 학습 과정에 대한 지식으로, SSI 학습 경험, SSI 학습 시 겪는 어려움, SSI 추론의 특성에 관한 지식의 3가지 하위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다섯 번째, SSI 학습 평가에 대한 지식은 SSI 수업에서는 어떠한 영역에 평가의 초점을 두어야 하며 어떠한 평가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지식으로, 평가 영역과 평가 방법에 대한 지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학습 환경에 관한 지식은 SSI 교수를 위한 학습 환경에 관한 지식으로, 교실 환경, 학교 환경과 지역사회 환경의 3가지 하위 요소들이 있다. 본 연구는 SSI를 도입하는 교사들의 전문성과 자신감을 함양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기초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과학교사의 과학의 본성 수업에 대한 교과교육학 지식(NOS-PCK) 탐색 -과학탐구실험을 중심으로- (An Exploration of Science Teachers' NOS-PCK: Focus on Science Inquiry Experiment)

  • 김민환;신해민;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99-413
    • /
    • 2020
  • 이 연구에서는 과학탐구실험 수업에서 나타나는 과학교사의 NOS-PCK를 분석하였다. 수도권에 소재한 고등학교에서 과학탐구실험을 담당하고 있는 4명의 과학교사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이들의 NOS 수업을 관찰하였고, 교수학습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NOS-PCK의 다섯 가지 요소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NOS와 관련된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와 고려가 부족한 경우가 있었다. 그리고 주어진 탐구 활동이나 교과서의 구성이 NOS 교수에 효과적이지 않다고 생각하여 교육과정을 적극적으로 재구성하였다. 교수전략의 측면에서 교사들의 수업은 명시적인 접근에 가까웠으나 반성적인 접근은 대체적으로 부족하였다. 교사들은 NOS에 대한 견해가 개인의 주관적인 것이라거나 NOS가 인지적 학습의 영역이 아니라는 등의 이유를 들어 NOS에 대한 평가에 소홀한 모습을 보였다. 교사들은 평가 결과에 기반하기보다는 자신의 경험에 의존하여 학생들의 상태를 추측하였다. 마지막으로 NOS 교수에 대한 의지는 교사의 수업 전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교사들은 NOS 학습의 가치 중 특정 측면에 주목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NOS 교수에 대한 과학교사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Impact of Teachers’ Overcoming Experience of Threshold Concepts in Chemistry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Development

  • Park, Eun Jung
    • 대한화학회지
    • /
    • 제59권4호
    • /
    • pp.308-319
    • /
    • 2015
  • As a follow-up study to identify references for threshold concepts in science, 20 high school chemistry teachers were interviewed. Seven concepts were identified as threshold concepts. The data revealed that teachers overcome the thresholds while they are teaching as well as learning during their school years. This explains that the mastery experience of threshold concepts involve not only the process of creating subject matter knowledge of a learner but also the reflection on or preparation for teaching. Hence, the current study proposes that a strong relationship exists between the mastery experience of threshold concepts and the development of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In this regard, findings from this study will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to understand the nature of threshold concepts and suggests the value of mastery experience of threshold concepts in terms of PCK development.

CoRe 개발 과정을 통한 과학교사의 PCK 변화에 관한 사례 연구 -중학교 1학년 "분자의 운동"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cience Teachers PCK through development of Content Representation (CoRe) -Focusing on "Molecular Motion" for 7th grade class-)

  • 장효순;최병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870-885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숙련된 전공 교사와 비전공 교사가 공동 작업으로 중학교 1학년 "분자의 운동"에 관한 CoRe를 개발하면서, 개발 과정에서 연구 참여자들이 경험하는 것은 무엇이며, 개발 과정 경험 후 이들이 수업에서 나타나는 PCK 변화는 무엇인지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 연구는 도구적 사례 연구이며, 연구 참여자를 의도적 표본 추출하였다. CoRe 개발 과정 녹음과 수업 관찰 녹화, 면담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모든 자료는 전사 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참여자들이 CoRe 개발 논의 과정을 통해 교과 내용 지식과 이전 수업에 대해 반성하고, 교사 자신의 오개념을 수정하고 개념을 명료화했으며, 교수 내용과 목표를 분명히 인식하고, 학생들의 선개념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경험을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비전공 연구 참여자들은 전공 교사와의 논의를 통해 이전의 수업에서 입자적 관점이 부족했었던 면을 확인하고, "분자의 운동"에서 무엇을 왜 가르쳐야 할지를 명확히 인식하게 되었음을 강조했다. CoRe 개발 경험 후 비전공 연구 참여자들은 PCK의 구성 요소 중 과학 교육과정에 대한 지식에 가장 큰 영향을 받아, 수업에서 입자성과 분자의 운동을 강조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 CoRe에서 논의된 새로운 교수 전략을 도입했다. 비전공 연구 참여 교사들의 PCK가 변하는 정도는 자신의 지식과 이전 수업에 대한 반성적 사고 정도와 교사의 정의적 특성에 따라 달랐다. 이 연구를 통해 CoRe 개발 과정이 교사의 전문성 신장에 필수적인 반성적 사고를 촉진시키고, PCK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전공자와 비전공자가 공동으로 CoRe를 개발하는 논의 과정을 통해 통합 교과에서 비전공자들이 보이는 일종의 결여를 확인하고 보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인식이 곧바로 실천으로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내면화되기까지는 시간과 노력이 요구된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Synthesis of Blue-green Naphthoxy, Chloro Derivative Zinc-phthalocyanines with LCD Requirements

  • Kumar, Rangaraju Satish;Min, Kyeong Su;Son, Young-A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59-167
    • /
    • 2018
  • Here we designed and synthesized new zinc phthalocyanines and structures were fully confirmed by spectral and elemental analysis. All phthalocyanines have a very good solubility in industrial solvents like chloroform, dichloromethane, dimethyl sulfoxide, N,N-dimethyl formamide, 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acetate (PGMEA), acetone, tetrahydrofuran and acetonitrile. UV-Visible absorption and transmittance in PGMEA showed that these dyes have suitable spectral properties for LCD color filters. By Triton X surfactant study, we confirmed that these dyes are not showing any aggregation in PGMEA. We dissolved the all phthalocyanines in LCD fabricating solvent (PGMEA), and all phthalocyanines showed more than 8 wt% of solubility. Finally, all of these results concluded that PCK1, PCK2 and PCK3 are fit for LCD green color filter.

집단적 PCK 관점에서 학생들의 지구과학 개념 이해에 대한 질적 메타 분석: 온실 효과, 지구 온난화, 기후변화 개념을 중심으로 (Qualitative Meta-analysis on Students' Understanding of Earth Science Concepts from the Perspective of Collective PCK: Focusing on the Concepts of Greenhouse Effect, Global Warming, and Climate Change)

  • 김권중;최의선;김호준;박재용;이기영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39-259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지구과학 교육 연구 논문들을 대상으로 질적 메타 분석을 통해 집단적 PCK (cPCK) 중 '특정 과학 주제(온실 효과, 지구 온난화, 기후변화)에 대한 학생 이해 지식'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온실 효과, 지구 온난화, 기후변화에 대한 학생 대체 개념(오개념)과 관련된 지구과학 교육 연구 논문 22편을 선정하여 각각의 정의, 원인(매커니즘), 그리고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종합하기 위해 언어 네트워크 분석, 정신모형틀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온실 효과에 대한 학생들의 개념 이해를 메타 분석한 결과, 온실 효과와 지구 온난화를 같은 의미로 사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온실 기체의 종류를 제한적으로 알고 있고, 온실 기체의 역할을 이해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온실 효과의 발생을 환경오염이나 오존층의 변화와 관련지어 생각하고, 지표-대기의 열수지 평형과 온실 효과를 관련짓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2) 지구 온난화에 대한 학생들의 개념 이해를 메타 분석한 결과, 지구 온난화를 해수면 상승과 같은 의미로 사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지구 온난화의 발생을 환경오염, 오존층의 변화, 빙하의 융해와 관련지어 생각하고, 지표-대기의 열수지 평형이 깨져 지구 온난화가 나타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또한 지구 온난화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잘못 알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3) 기후변화에 대한 학생들의 개념 이해를 메타 분석한 결과, 기후변화를 지구 온난화, 기상 변화, 기상 이변과 같은 의미로 사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기후변화의 발생을 대기오염, 오존층의 파괴와 관련지어 생각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기후변화가 우리 생활과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잘못 알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대한 분석 결과를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종합한 결과, 집단적 PCK로서 3가지 정신모형(범주적 오해, 기제적 오해, 위계적 오해)을 표현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지구과학 교사 PCK 개발을 위한 함의를 논의하였다.

불간섭주의와 교사협력 - 과학수업을 위한 두 초등교사의 교사협력 사례 연구 - (Noninterference and Teacher Collaboration - The Case Study of Two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llaboration for Science Classes -)

  • 신채연;송진웅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9권1호
    • /
    • pp.100-116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teraction of science PCK between two elementary school teachers by the teacher collaboration within the school. We chose the case that two teachers collaborated spontaneously in the 5th-grade science classes. Even though they had similar teaching experiences, one of them had the science PCK while the other did not. As a result of this study, two teachers began to collaborate to avoid comparisons of science classes between them. They shared the same teaching plan but practiced science teaching individually. During they taught science, they usually collaborated on the instructional sequences, student's activities, and the content of assessments. They had an in-depth collaboration when the teacher who lacked the science PCK asked help to teach problem-centered learning by science inquiry. During the collaboration, their science PCK components, especially the knowledge of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teaching science, shared and it affected the teacher's science practices who lacked the science PCK. However, they did not usually share the knowledge of teaching for their everyday science classes because two teachers had the perception of noninterference about their science classes. This case has the limitation that it is hard to generalize the results but teacher collaboration shows the possibility to develop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cience professionalism by having peers in the school who can help them in science classes.

예비과학교사의 비유 사용 수업에 대한 PCK 분석 (An Analysi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PCK for Lessons Using Analogies)

  • 김민환;김성훈;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441-456
    • /
    • 2019
  • 이 연구에서는 예비과학교사의 비유 사용 수업 설계를 PCK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사범대학에서 교육 실습에 참여한 3명의 예비과학교사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과학교육에서의 비유에 대한 워크숍을 실시한 후 교육 실습에서 비유 사용 수업을 실행하도록 하였다. 교육 실습에 참관하며 예비교사들의 수업을 관찰하였고, 예비교사들이 교수학습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반구조화된 면담을 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은 수업에서 비중 있게 다루는 비유에서만 대응 관계와 비공유 속성을 다루었고, 이 과정이 교사 중심적으로 이루어졌다. 예비교사들이 교육과정을 벗어나는 개념을 포함한 비유를 수업에서 적절히 다루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다. 예비 교사들은 비공유 속성이 학생들의 오개념과 관련이 크다고 생각하였으나 비공유 속성을 다룰 때는 학생들의 의견에 폐쇄적인 모습을 보였다. 비유를 활용한 평가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이해는 높지 않았고, 물리적 비유나 역할놀이 비유와 같은 학생 중심의 비유를 사용할 때 평가가 상대적으로 원활히 이루어졌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 과학교사 교육과정과 관련된 함의를 논의하였다.

Epigenetic regulation of key gene of PCK1 by enhancer and super-enhancer in the pathogenesis of fatty liver hemorrhagic syndrome

  • Yi Wang;Shuwen Chen;Min Xue;Jinhu Ma;Xinrui Yi;Xinyu Li;Xuejin Lu;Meizi Zhu;Jin Peng;Yunshu Tang;Yaling Zhu
    • Animal Bioscience
    • /
    • 제37권8호
    • /
    • pp.1317-1332
    • /
    • 2024
  • Objective: Rare study of the non-coding and regulatory regions of the genome limits our ability to decode the mechanisms of fatty liver hemorrhage syndrome (FLHS) in chickens. Methods: Herein, we constructed the high-fat diet-induced FLHS chicken model to investigate the genome-wide active enhancers and transcriptome by H3K27ac target chromatin immunoprecipitation sequencing (ChIP-seq) and RNA sequencing (RNA-Seq) profiles of normal and FLHS liver tissues. Concurrently, an integrative analysis combining ChIP-seq with RNA-Seq and a comparative analysis with chicken FLHS, rat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and human NAFLD at the transcriptome level revealed the enhancer and super enhancer target genes and conservative genes involved in metabolic processes. Results: In total, 56 and 199 peak-genes were identified in upregulated peak-genes positively regulated by H3K27ac (Cor (peak-gene correlation) ≥0.5 and log2(FoldChange) ≥1) (PP) and downregulated peak-genes positively regulated by H3K27ac (Cor (peak-gene correlation) ≥0.5 and log2(FoldChange)≤-1) (PN), respectively; then we screened key regulatory targets mainly distributing in lipid metabolism (PCK1, APOA4, APOA1, INHBE) and apoptosis (KIT, NTRK2) together with MAPK and PPAR signaling pathway in FLHS. Intriguingly, PCK1 was also significantly covered in up-regulated super-enhancers (SEs), which further implied the vital role of PCK1 during the development of FLHS. Conclusion: Together, our studies have identified potential therapeutic biomarkers of PCK1 and elucidated novel insights into the pathogenesis of FLHS, especially for the epigenetic perspect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