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cbs

검색결과 495건 처리시간 0.025초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자어의 원시생식소와 신장의 발달에 미치는 Polychlorinated Biphenyls (PCBs)의 영향 (Effect of PCBs on the Primitive Gonad and Kidney Development of the Larval Stage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in Culture Farm)

  • 김재원;김성길;강주찬;최정화;김봉석;이정식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40-244
    • /
    • 2003
  • 양식산 넙치를 대상으로 아치사 만성농도의 PCBs가 자어기의 원시생식소와 신장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원시생식소 발달 과정은 4단계; 원시생식세포(primodial germ cell, PGC) 단계, 생식융기 (genital ridge type, GRT) 단계, 원시생식소 I형(primitive gonad type I, PGT I) 단계 및 원시생식소 II형(primitive gonad type II, PGT II) 단계로 구분할 수 있었다. 시원생식세포는 부화 후 3일에 발견되었고, 원시 생식소는 대조구에서 부화 후 24일에 나타나며 처리구에서는 부화 후 22일에 나타났다. 신장 발달과정은 4단계; 단일관형 중신관(unitubular type of mesonephric duct, UTMD) 단계, 분지형 중신관(the branched mesonephric duct, BMD) 단계, 세뇨관 형성(convoluted tubule formation CTF) 단계 및 사구체 출현(glomerulus appearance, GA) 단계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신장의 구조적 완성시기는 대조구와 처리구 모두 부화 후 25∼30일로 나타났다. 하지만 원시 생식소와 신장 모두 대조구와 처리구에서 유의한 차를 보이지 않았다 (P>0.05). 그러므로, 넙치 자어기의 원시 생식소와 신장의 발달에 따른 PCBs(3.0 $\mu\textrm{g}$/L)의 영향은 없었다.

낙동강 유역에 서식하는 붕어와 황소개구리 체내의 Polychlorinated biphenyls의 축적도와 분포특성 (Accumulation Levels a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Polychlorinated Biphenyls in Crucians and Leopard Frogs from the Nakdong River Basin)

  • 문지용;이성인;송희영;이경진;최경희;정기호
    • 분석과학
    • /
    • 제17권4호
    • /
    • pp.347-354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과 그 유역에 서식하는 붕어와 황소개구리 체내의 polychlorinated biphenyls (PCBs)의 축적도와 분포특성을 조사하였다. 낙동강의 구미부터 하구언까지 모두 5개 지점에서 붕어와 황소개구리를 채집하였으며, 이들의 근육 부분을 최종 분석시료로 하였다. PCBs의 정량분석은 GC-MSD 시스템으로 처리하였으며, PCBs 총농도를 대변할 수 있는 62개 congener를 분석항목으로 선정하였다. 붕어에서는 모두 24개의 congener가 검출되었고 총 PCBs 농도는 0.74~5.41 ng/g wet weight 범위로 나타났다. 황소개구리에서는 낙동강 하구언 1개 지점에서 단지 2개의 congener가 검출되었고 그 농도도 0.24 ng/g wet weight로서 붕어보다 약 22배 정도 낮게 검출되었다. 전체적으로, PCB 153이 가장 높게 검출된 congener이고, penta- 및 hexa-CBs가 총 PCBs의 78%를 차지하였다.

당근 Phytoalexin 6-Methoxymellein 생합성에 미치는 Polychlorinated Biphenyls 및 Phenol의 영향 (Effects of Polychlorinated Biphenyls and Phenols on the Biosynthesis of 6-Methoxymellein, a Phytoalexin)

  • 임도형;임다솜;금영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16-222
    • /
    • 2016
  • Polychlorinated biphenyl은 잔류성 환경 오염물질로서, 다양한 생리 독성 때문에 인축에 대한 세부적 연구가 수행된 바 있다. 한편 포유동물을 대상으로 진행된 연구에서 hydroxy PCBs, PCB quinones, 및 methylsulfonyl PCBs 등의 대사물이 발견되었으며, 이들은 모화합물과는 상이한 독성을 나타낸다고 보고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동물에 대한 연구와 비교하여, 식물 및 토양 미생물에 대한 영향, 독성 등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다. 일반적으로 식물의 경우, 농약 등과 같은 외래 물질 또는 자외선, 병원균 등의 외래 스트레스원의 작용을 받게되면, 특이 생물활성을 지닌 파이토알렉신 등의 이차 대사산물을 생합성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 종의 PCB 및 hydroxy PCB, phenol류 등을 화학적으로 합성하고, 이들의 처리에 따른 당근 중, 파이토알렉신인 6-메톡시멜레인 생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증류수를 처리한 대조구의 경우, 파이토알렉신의 농도는 처리 후 2일에 최대치까지 증가하였으며,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한편 2-hydroxy/4-hydroxybiphenyl의 경우, 처리 후 3일까지 증대한 반면, 비교적 지용성이 높은 PCB-126 및 3,5-dichloro-2-hydroxybiphenyl 처리구에서는 처리 1일 후, 최대치를 나타내어 화합물의 구조 또는 지용성 등에 따라 다른 유도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 따라, 환경 오염물질의 성상에 따라, 토양 중, 재배 농작물의 생리 활성 2차 대사물질의 생합성이 다양하게 변화됨을 알 수 있었다.

동해남부 대마난류계에서의 염소화 Biphenyls의 분포특성 (Distribution Chara Cteristics of Polychlorinated Biphenyls in the Southern Korea)

  • 이동인;옥곤;양한섭;장윤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679-686
    • /
    • 1997
  • 본 연구조사는 동해남부 대마난류계에서의 PCBs의 분포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1996년 8월과 10월에 걸쳐 5개 정점을 선정하여 각 정점의 수심별의 수온, 염분 및 용존산소를 측정하여 수괴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또한, 각 정점별, 수심별의 PCBs의 분석을 실시하였다. 수괴의 분포특성을 조사한 결과 수온 및 염분약층은 수심 30m부분에 존재하고 있었으며, 대마난류 중층수는 30m이하로 간주되었으며, 대마난류의 표층수는 한국근해에서 대마도쪽으로 확장되는 양상을 보였다. PCBs의 분석결과 표층수는 8월의 경우 대마도쪽으로 갈수록 농도가 약간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다가, 대마도쪽에서 다시 약간의 증가경향이 관찰되었다. 표층 해수중에서의 PCBs의 평균농도는 $0.29\;ng/\ell$정도 였으며, 중층에서의 평균농도는 $0.31\;ng/\ell$정도로 표층에 비교하여 중층에서의 농도가 약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수중 PCBs의 농도는 부유물질의 농도변화 경향과 유사성을 나타났으며, 농도의 수평 및 연직변화는 그다지 크게 나타나지 않아 비교적 균일한 농도분포를 나타내고 있었다. 해수의 수심별 PCBs의 상대농도 조성비는 표층에서 Di- 및 Tri-PCBs의 비율이 높았지만, 심층으로 갈수록 Peta-PCBs의 상대농도 조성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수심의 변화에 따른 PCBs의 구성비와 소실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충격형 분쇄기 에 의한 폐프린트배선기판(PCBs) 중 금속성분의 분쇄 특성 (The Grinding Characteristics of the Metal Components in Printed Circuit Boards(PCBs) Scrap by the Swing-Hammer Type Impact Mill)

  • 이재천;길대섭;남철우;최철준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1권2호
    • /
    • pp.28-35
    • /
    • 2002
  • 충격형 분채기에 의한 폐프린트배선기판(PCBs)의 분쇄과정에서 일어나는 금속성분의 분쇄특성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PCBs로부터 금속성분들을 단체분리하기 위하여 -3 mm로 파쇄한 다음 충격형 분쇄기를 사용하여 분쇄하였으며 햄머의 회전속도가 금속성분의 분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동과 땜납 등과 같은 금속성분들의 입도분포 및 단체분리도를 조사하였다. 경사진동판을 사용하는 PCBs 분쇄물로부터 금속입자들의 형상분리에서 햄머의 회전속도와 입자크기가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61.3 m/s 햄머속도에서 동 성분은 +297$\mu$m 입자가 80% 이었지만 땜납성분은 -297$\mu$m 입자가 90%에 달했다. 형상분리법에 의한 금속입자의분리 시 햄머의 회전속도가 클수록 회수위치가 짧았으며 +297 $\mu$m 입자의 회수위치가 -297~+149$\mu$m 입자보다 짧았다. 회수위치가 짧을수록 금속입자의 구형도가 좋았으며 KI 값은 KI=1 로 증가하고, $\phi_{c}$ 값은 $\phi_{c}$ =1로 감소하였다.

토양 중 dioxin-like PCBs의 분석 (Analysis of dioxin-like PCBs in Soil samples)

  • 김교근;신선경;김태승;장준영;김정규
    • 분석과학
    • /
    • 제15권5호
    • /
    • pp.466-474
    • /
    • 2002
  • 토양에 잔류하는 화학물질로서 지속적으로 토양 환경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PCBs에 대한 분석을 위해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유기화합물질 중 coplanar PCBs 분석을 위한 용매별 용출패턴 특성을 조사하였고, 이화학적 특성이 다른 우리나라 토양 중 PCBs 분석에 미치는 용매별 추출효율을 조사하였다. 토양 중 14종의 coplanar PCBs 용매별 추출효율은, 톨루엔의 경우 토양 A, 토양 B 및 토양 C에 대하여 평균회수율은 각각 84.25%, 56.09% 및 44.69%로 나타났다. 아세톤 : 헥산 (1:1)의 경우에는 토양에 따라 각각 52.56%, 81.42% 및 58.53%로 나타났으며, 디클로로메탄의 경우에는 각각 55.94%, 71.33% 및 61.05%로 나타났다. 추출효율에 대한 염화물의 치환수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 및 질소화합물 등 이온성 물질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토양에는 극성이 큰 용매인 아세톤:헥산 혼합용매가 가장 높은 회수율을 나타났으며, 반면에 토양 A와 같이 인 및 질소화합물의 함량이 작고 점토질인 토양에는 톨루엔과 같은 비극성용매의 추출효율이 우세하게 나타났다. 또한, 정제컬럼별 용출효율은 실리카겔, 플로리실 및 알루미나가 49.99%, 69.65% 그리고 65.23%로 나타났다.

HCB와 PCBs에 노출된 나일틸라피아, Oreochromis niloticus의 혈액성분의 변화 (Changes of Haematological Constituents in the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Exposed to HCB and PCBs)

  • 조규석;민은영;강주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10-114
    • /
    • 2002
  • 유용 양식어류인 틸라피아를 대상으로 어체중당 1일 0.05, 0.25 및 0.50mg/kg의 HCB와 PCBs의 경 구투여에 의해 30일 동안 혈액성상 및 혈액화학적 변동을 조사하였다. HCB의 투여에 의한 틸라피아의 RBC 수는 20일 이후 0.50mg/kg, 30일째는 0.25mg/kg의 농도, hemoglobin 농도와 hematocrit 값은 20일 이후 0.50mg/kg 농도에서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다. PCBs의 투여에 의한 틸라피아의 RBC 수, hemoglobin 농도 및 hematocrit 값은 20일 이후 0.25mg/kg 이상의 농도에서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다. 혈청 무기성분인 calcium, magnesium 및 inorganic phosphorus 농도는 HCB를 투여한 모든 실험에서 뚜렷한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또한, PCBs를 투여한 모든 실험에서도 magnesium과 inorganic phosphorus 농도의 변동은 관찰되지 않았으나, calcium 농도는 20일 이후 0.50mg/kg 농도, 30일째는 0.25mg/kg 이상의 농도에서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다 HCB의 경구투여에 의한 혈청 total protein 농도는 30일째 0.50mg/kg 농도에서, PCBs의 경구투여에 의해서는 20일 이후 0.25mgfg 이상의 농도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HCB 및 PCBs의 경구투여에 의한 glucose 농도는 20일 이후 0.25mg/kg 이상의 농도에서 유의한 증가를 나타냈다. HCB 및 PCBs의 경구 투여에 의한 GOT와 GPT 활성은 20일 이후의 0.50mg/kg에서 유의한 증가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HCB 및 PCBs의 경구투여에 의한 틸라피아의 혈액화학적 변동은 0.25 mg/kg 농도 이상에서 적어도 20일 후부터 영향을 받을 것으로 생각된다.

수동 및 자동화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칼럼에 의한 PCDDs/Fs 및 다이옥신과 유사한 PCBs의 용출 패턴 비교 (Comparison of the elution patterns for polychlorinated dibenzo-p-dioxins/dibenzofurans (PCDDs/Fs) and dioxin-like polychlorinated biphenyls (PCBs) by manual open columns and automatic parallel LC columns)

  • 안윤경;신정화;유선영;김지형;홍종기
    • 분석과학
    • /
    • 제18권1호
    • /
    • pp.13-22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다이옥신류의 정제과정으로 수동 및 자동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칼럼을 이용하여 PCDDs/Fs 17종과 다이옥신과 유사한 PCB 12종의 용출 패턴을 비교, 분석하였다. 수동 알루미나 칼럼에서는 29종의 화합물이 같이 용출되어 분리되지 않았으나 자동화 칼럼의 경우 mono-ortho-PCB로부터 PCDDs/Fs 및 non-ortho PCB를 분리할 수 있었다. PAR (Precision And Recovery) 표준용액으로 조사한 다이옥신류와 PCB의 회수율은 각각 수동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칼럼에서 61.9 ~ 96.0%, 70.4 ~ 79.0%였으며, 자동화 칼럼의 경우는 71.8 ~ 104.5%, 61.3 ~ 120.3% 이었다. DB-5MS 칼럼에서 분리되지 않는 #169-HxCB와 1,2,3,7,8-PeCDD은 EPA 1613 방법 중 선택이온의 비를 M+2/M+4 대신 M/M+2로 변경하여 HRGC/HRMS 분석에서 1,2,3,7,8-PeCDD와 #169-HxCB의 구분이 가능하도록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