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ttern generator

검색결과 272건 처리시간 0.029초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SiC thin film charge trap memory with barrier engineered tunnel layer

  • Han, Dong-Seok;Lee, Dong-Uk;Lee, Hyo-Jun;Kim, Eun-Kyu;You, Hee-Wook;Cho, Won-Ju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0년도 제39회 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255-255
    • /
    • 2010
  • Recently, nonvolatile memories (NVM) of various types have been researched to improve the electrical performance such as program/erase voltages, speed and retention times. Also, the charge trap memory is a strong candidate to realize the ultra dense 20-nm scale NVM. Furthermore, the high charge efficiency and the thermal stability of SiC nanocrystals NVM with single $SiO_2$ tunnel barrier have been reported. [1-2] In this study, the SiC charge trap NVM was fabricated and electrical properties were characterized. The 100-nm thick Poly-Si layer was deposited to confined source/drain region by using low-pressure chemical vapor deposition (LP-CVD). After etching and lithography process for fabricate the gate region, the $Si_3N_4/SiO_2/Si_3N_4$ (NON) and $SiO_2/Si_3N_4/SiO_2$ (ONO) barrier engineered tunnel layer were deposited by using LP-CVD. The equivalent oxide thickness of NON and ONO tunnel layer are 5.2 nm and 5.6 nm, respectively. By using ultra-high vacuum magnetron sputtering with base pressure 3x10-10 Torr, the 2-nm SiC and 20-nm $SiO_2$ were successively deposited on ONO and NON tunnel layers. Finally, after deposited 200-nm thick Al layer, the source, drain and gate areas were defined by using reactive-ion etching and photolithography. The lengths of squire gate are $2\;{\mu}m$, $5\;{\mu}m$ and $10\;{\mu}m$. The electrical properties of devices were measured by using a HP 4156A precision semiconductor parameter analyzer, E4980A LCR capacitor meter and an Agilent 81104A pulse pattern generator system.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memory effect, program/erase speeds, operation voltages, and retention time of SiC charge trap memory device with barrier engineered tunnel layer will be discussed.

  • PDF

반도체 제조 이온주입 공정의 이온 임플란타 장치에서 엑스레이 발생 특성 (Characterization of X-ray Emitted in the Ion Implantation Process of Semiconductor Operations)

  • 박동욱;조경이;김소연;이승희;정은교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439-446
    • /
    • 2023
  • Objectives: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how X-rays are emitted to surrounding parts during the ion implantation process, to analyze these emissions in relation to the properties of the ion implanter equipment, and to estimate the resulting exposure dose. Eight ion implanters equipped with high-voltage electrical system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Methods: We monitored X-ray emissions at three locations outside of the ion implanters: the accelerator equipped with a high-voltage energy generator, the impurity ion source, and the beam line. We used a Personal Portable Dose Rate and Survey Meter to monitor real-time X-ray levels. The SX-2R probe, an X-ray Features probe designed for use with the RadiagemTM meter, was also utilized to monitor lower ranges of X-ray emissions. The counts per second (CPS) measured by the meter were estimated and then converted to a radiation dose (𝜇Sv/hr) based on a validated calibration graph between CPS and μGy/hr. Results: X-rays from seven ion implanters were consistently detected in high-voltage accelerator gaps, regardless of their proximity. X-rays specifically emanated from three ion implanters situated in the ion box gap and were also found in the beam lines of two ion implanters. The intensity of these X-rays did not show a clear pattern relative to the devices' age and electric properties, and notably, it decreased as the distance from the device increased. Conclusions: In conclusion, every gap, in which three components of the ion implanter devices were divided, was found to be insufficiently shielded against X-ray emissions, even though the exposure levels were not estimated to be higher than the threshold.

소형 모사 장비의 데이터를 이용한 선박용 전기 추진 모터의 고장 유형별 진동 신호의 분류 (Classification of Vibration Signals for Different Types of Failures in Electric Propulsion Motors for Ships Using Data from Small-Scale Apparatus)

  • 유승열;장준교;전민성;이재철;강동훈;이순섭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60권6호
    • /
    • pp.441-449
    • /
    • 2023
  • With the enforcement of environmental regulations by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the market for eco-friendly ships is expanding, and ships using electric propulsion devices are emerging as a promising solution.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predict the failure of ships, but most of them are mainly research on the main diesel engine of ships. As the ship's propulsion method changes, new data is needed to predict the failure of electric propulsion ships. In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failure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ic propulsion system in consideration of the difference in the type of failure between the internal diesel engine and the electric propulsion system. The ship's propulsion unit assumed a DC motor and a signal pattern for normal conditions and general failure modes, but the failure record of the electric propulsion device operated on the actual ship was not available, so it generated a failure signal for small electric motor equipment to identify the failure signal. Assuming unbalance, misalignment, and bearing failure, which are the primary failure modes of the ship's electric motor, a failure signal was generated using a "rotator vibration data generator," and the frequency band, size, and phase difference of the measured vibration signal were analyz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failure condition. Finall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failure condition were identified so that the signals according to the failure type could be classified.

웹 사용 정보 마이닝 기반의 동적 사용자 프로파일 생성 (Generator of Dynamic User Profiles Based on Web Usage Mining)

  • 안계순;고세진;정준;이필규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9B권4호
    • /
    • pp.389-390
    • /
    • 2002
  • 동적 웹 컨텐츠 제공에서 고객을 위한 추천서비스에 이르는 인터넷 기반의 전자상거래 애플리케이션에서는 고객이 어떤 성향을 가지고 있는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중요하다. 웹 개인화의 대표적인 기술인 협력적 석과는 사용자의 정보를 정적인 프로파일 형태로 저장하여 사용자의 성향 변화를 빨리 획득할 수 없다. 또한 사용자의 명시적 평가 의존성, 확장성 부족, 다차원 공간 데이터에 대한 적용 어려움 둥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해결 방안으로 웹 사용 정보 마이닝(web usage mining)이 쓰이고 있다. 웹 사용 정보 마이닝은 서버에 축적된 웹 사용 데이터(web usage data)를 이용하여 패턴을 발견하는 기술이다. 특히 연관 규칙 생성 알고리즘으로 웹 사용 패턴(web usage pattern)을 찾고 패턴을 클러스터링하는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연관 규칙 생성 알고리즘은 많은 수의 패턴들을 찾고 또 유용하지 못한 패턴을 발견하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검증된 웹 사용 패턴을 이용한 동적 사용자 프로파일 생성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패턴 발견을 위해 연관 규칙 생성 알고리즘인 Apriori를 이용하고 사용자 프로파일을 위한 클러스터를 생성하기 위해 ARHP를 채택하였다. 클러스터를 생성하기 전에 Dempster-Shafer 이론을 이용하여 유용하지 못한 패턴을 제거하는 패턴 검증 과정을 수행한다. 검증된 패턴을 이용하여 클러스터를 생성하고 사용자의 현재 활성화된 세션에 따라 동적으로 사용자 프로파일이 생성된다

부품 내장 공정을 이용한 5G용 내장형 능동소자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Embedded Active Device for Ka-Band using the Component Embedding Process)

  • 정재웅;박세훈;유종인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7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Bare-die Chip 형태의 Drive amplifier를 Ajinomoto Build-up Film (ABF)와 FR-4로 구성된 PCB에 내장함으로써 28 GHz 대역 모듈에서 적용될 수 있는 내장형 능동소자 모듈을 구현하였다. 내장형 모듈에 사용된 유전체 ABF는 유전율 3.2, 유전손실 0.016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Cavity가 형성되어 Drive amplifier가 내장되는 FR4는 유전율 3.5, 유전손실 0.02의 특성을 가진다. 제안된 내장형 Drive amplifier는 총 2가지 구조로 공정하였으며 측정을 통해 각각의 S-Parameter특성을 확인하였다. 공정을 진행한 2가지 구조는 Bare-die Chip의 패드가 위를 향하는 Face-up 내장 구조와 Bare-die Chip의 패드가 아래를 향하는 Face-down내장 구조이다. 구현한 내장형 모듈은 Taconic 사의 TLY-5A(유전율 2.17, 유전손실 0.0002)를 이용한 테스트 보드에 실장 하여 측정을 진행하였다. Face-down 구조로 내장한 모듈은 Face-up 구조에 비해 Bare-die chip의 RF signal패드에서부터 형성된 패턴까지의 배선 길이가 짧아 이득 성능이 좋을 것이라 예상하였지만, Bare-die chip에 위치한 Ground가 Through via를 통해 접지되는 만큼 Drive amplifier에 Ground가 확보되지 않아 발진이 발생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Bare-die chip의 G round가 부착되는 PCB의 패턴에 직접적으로 접지되는 Face-up 구조는 25 GHz에서부터 30 GHz까지 약 10 dB 이상의 안정적인 이득 특성을 냈으며 목표주파수 대역인 28 GHz에서의 이득은 12.32 dB이다. Face-up 구조로 내장한 모듈의 출력 특성은 신호 발생기와 신호분석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신호 발생기의 입력전력(Pin)을 -10 dBm에서 20 dBm까지 인가하여 측정하였을 때, 구현한 내장형 모듈의 이득압축점(P1dB)는 20.38 dB으로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측정을 통해 본 논문에서 사용한 Drive amplifier와 같은 Bare-die chip을 PCB에 내장할 때 Ground 접지 방식에 따라 발진이 개선된다는 것을 검증하였으며, 이를 통해 Chip Face-up 구조로 Drive amplifier를 내장한 모듈은 밀리미터파 대역의 통신 모듈에 충분히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한우의 신경내분비학적 연구 : 시상하부의 체외배양 조직에서 맥동적 LHRH분비 양상에 관하여 (Neuroendocrine Study of the Korean Native Cattle: Pulsatile LHRH Release from Hypothalamic Tissues Superfused in vitor)

  • 김경진;유선경;안혜영;이병주;강해묵;조완규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75-280
    • /
    • 1989
  • 본 연구는 한우에서 적출한 시상하부조직을 superfusion 하여 체외배양 하면서 in vitro LHRH의 내인성 분비양상을 조사하였으며, 한우의 in vitro LHRH 분비양상과 수입소인 홀스타인 젖소의 LHRH 분비양상을 비교하였다. 시상하부의 median eminence조직을 적출하여 조각을 내어서 superfusion chamber에 넣은 후 37$^{\circ}C$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superfusion은 4시간동안 계속되었으며, 10분간격으로 분획을 받아내어 LHRH 분비능을 LHRH방사면역 측정법으로 측정하였다. LHRH 분비 양상의 특성은 PULSAR algorithm으로 분석하였다. 한우와 수입 젖소에 있어서 내인성 LHRH분비는 맥동적인 양상을 보였다. 한우에 있어서 LHRH 분비의 평균분비, 펄스의 진폭과 그 간격은 11.08 $\pm$ 1.50 pg/min/mg x 10-$^2$, 21.43 1 7.28 pg/mg x 10-$^2$, and 39.42 $\pm$ 3.08 min이었고 이 값은 홀스타인 젖소에서의 측정치와 거의 유사하였다. 이와 같은 한우의 펄스 발신기의 기본적인 특징은 한우의 신경내분비적 연구에 중요하리라 사료된다.

  • PDF

초음파를 이용한 어.패류 탐지와 패턴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attern Recognition for Searched Fish.seashell on Seabed Using Ultra Sonic)

  • 김재갑;김원중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0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410-418
    • /
    • 2000
  • 기존의 어군탐지기는 송·수파기를 통해서 초음파 신호를 송신한 후 수심에 따라 서로 다른 파장의 주파수를 사용하여 해저 목표물의 존재여부와 그 밀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이러한 정보는 어군뿐만 아니라 바다 속 플랑크톤의 수직이동(빛에 민감하여 낮에는 수심 깊은 곳, 밤에는 해수면에 존재), 선박 스크루의 와류현상, 해저면, 해초 온도 경계선(수온차가 서로 다른 해수가 만날 때 형성되는 층) 등의 존재에 의해 잘못된 해독 결과를 제공하고 있다. 더구나 현재 패류를 발견하는 외국 제품은 없으며, 단지 어군탐지기 뿐인데 이것으로는 해저의 뻘에 있는 패류 등을 알아낼 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위의 모든 상황 요소들을 고려하여 해저목표물에 대한 신호패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 후, 어군탐지기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컴퓨터에서 처리하여 정확한 목표물 인식이 가능하도록 하는 분석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지금 까지 연구한 결과를 바탕으로 많은 실험을 거치게 되면 정확히 알아랠 수 있다. 수중에서는 어종별로 어패에서 반사되는 초음파 특성과, 해저면에서는 뻘과 딱딱한 패류 껍질 등에서 반사되는 초음파 특성 등을 세밀히 분석한 값 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해 두고, 어·패류별 고유 초음락로 반사 되어오는 간과 비교하여 어 ·패류의 서식 상태 및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어·패류 관독용 초음파 탐지기를 본 연구개발을 통하여 개발 할 수 있다. 중점적으로 추후 연구해야 할 분야는 초음파의 특성과 산란에 따른 문제점을 보완할 것이다.

  • PDF

충전가스의 $CO_2$ 함량 및 노출기간의 변화가 방울토마토의 품질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n Quality Change of Cherry Tomato by $CO_2$ Concentration of Flushed Gas and Storage Period)

  • 이승연;이승재;최동수;허선진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200-21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방울토마토를 이용하여 다양한 온도와 저장기간(0, 7, 그리고 14일) 및 포장재의 기체조성을 달리하여 품질 변화 및 대장균, 곰팡이 그리고 효모와 같은 미생물의 오염도에 관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5^{\circ}C$, $10^{\circ}C$ 그리고 $15^{\circ}C$의 상태에서 0일 7일 그리고 14일간 저장하여 pH, 색도 변화 및 미생물의 성장패턴을 확인하였다. 방울토마토의 pH의 변화에서는 기간에 따른 증가를 확인하였지만,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또한, 색도를 측정하였을 때도 기체조성과 온도에 독립적으로 밝기와 적색도 그리고 황색도에서 불규칙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미생물은 총균수, 대장균군수, 곰팡이 및 효모를 측정하였다. 혼합가스로 $5^{\circ}C$, $10^{\circ}C$ 그리고 $15^{\circ}C$의 상태에서 저장한 방울토마토의 미생물도 불규칙적인 생장패턴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산소함량에 비해 이산화탄소 함량이 많은 포장재에서 평균적으로 균의 생장 속도를 늦출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저장이 우수한 최적의 기체조성 및 온도 등의 확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Neuroendocrine Control of Gonadotropin Secretion during the Menstrual Cycle

  • Ryu, Kyung-Za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57-75
    • /
    • 1987
  • Two modalities of gonadotropin secretion, pulsatile gonadotropin and preovulatory gonadotropin surge, have been identified in the mammals. Pulsatile gonadotropin secretion is modulated by the pulsatile pattern of GnRH release and complex ovarian steroid feedback actions. The neural mechansim that regulates the pulsatile release of GnRH in the hypothalamus is called "GnRH pulse generator". Ovarian steroids, estradiol and progesterone, appear to exert thier feedback effects both directly on the pituitary to modulate gonadotropin release and on a hypothalamic site to modulate GnRH release; estradiol primarily affects the amplitude while progesterone decreases the frequency of the pulsatile GnRH. Steroid hormones are known to affect catecholamine transmission in brain. MBH-POA is richly innervated by NE systems and close apposition of NE terminals and GnRH cell bodies occurs in the MBH as well as in the POA. NE normally facilitates pulsatile LH release by acting through ${\alpha}-receptor$ mechanism. However, precise nature of facilitative role of NE transmission in maintaining pulsatile LH has not been clearly understood. Close apposition of DA and GnRH terminals in ME might permit DA to influence GnRH release. Action of DA transmission probably is mediated by axo-axonic contacts between GnRH and DA fibers in the ME. Dopamine transmission does not normally regulate pulsatile LH release, but under certain conditions, increased DA transmission inhibit LH pulse. Endogenous opioid acts to suppress the secretion of GnRH into hypophysial portal circulation, thereby inhibiting gonadotropin secretion. However, an interaction between endogenenous opioid peptides and gonadotropin release is a complex one which involves ovarian hormones as well. LH secretion appears to be most suppressed by endogenenous opioids during the luteal phase, at a time of elevated progesterone secretion. The arcuate nucleus contains not only cell bodies for GnRH and ${\beta}-endorphin$ but also a dense aborization of fibers suggesting that GnRH release is changed by the interactions between GnRH and ${\beta}-endorphin$ cell bodies within the arcuate nucleus. The frequency and amplitude of pulsatile LH release seem to be increased during the preovulatory gonadotropin surge. Estradiol exerts positive feedback action on the hypothalamo-pituitary axis to trigger preovulatory LH surge. GnRH is also crucial hormonal stimulus for preovulatory LH surge. It is unlikely, however, that increased secretion of GnRH during the preovulatory gonadotropin surge represents an obligatory neural signal for generation of the LH discharge in primates including human. Modulation of preovulatory LH surge by catecholamines has been studied almost exclusively in rats. NE and E may be involved in distinct way to accumulate GnRH in the MBH and its release into the hypophysial portal system during the critical period for LH surge on proestrus in rats. However, the mechanisms whereby augmented adrenergic transmission may facilitate the formation and accumulation of GnRH in the ME-ARC nerve terminals before the LH surge have not been clearly understood.

  • PDF

HSPF-EFDC 모델을 연계한 홍수조절댐 수질 변화 예측 (Water Quality Modelling of Flood Control Dam by HSPF and EFDC)

  • 이영기;황상철;황현동;나진영;유나영;이한진
    • 환경영향평가
    • /
    • 제27권3호
    • /
    • pp.251-266
    • /
    • 2018
  • 본 연구는 홍수조절댐의 운영패턴 변화에 따른 수질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것이다. 홍수조절댐은 홍수시 하천유량을 일시적으로 담수하여 홍수를 지체시키는 한편, 평상시에는 자연하천 흐름상태를 유지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댐 건설 후 담수시 수질변화는 유역모델(HSPF)과 댐 내 수리 수질변화모델(EFDC)을 연계하여 예측하였다. 강우시 유역에서 유출되는 비점오염원의 유출특성을 반영하기 위하여 HSPF 유역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HSPF의 분석된 자료를 EFDC 모델의 입력 자료로 적용하였다. 수질모의 결과 댐 건설 후 수몰로 인한 오염원 감소와 강우시 일시적 저류로 인하여 수질이 향상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또한 홍수조절댐의 특성상 담수되는 기간이 짧으므로(2~3일) 부영양화 등 수질 악영향은 거의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계획 중인 댐의 환경영향평가 단계에서는 모델의 충분한 보정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정확한 모의에 일부 한계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향후 실측자료 확보를 통하여 모델의 신뢰도를 향상시킨다면, 이를 활용하여 신규 홍수조절댐의 환경영향평가 시 다양한 운영조건에 따른 수환경의 영향을 검토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