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thogen clearance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4초

Flagellin Administration Protects Respiratory Tract from Burkholderia cepacia Infection

  • Zgair, Ayaid Khadem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2권7호
    • /
    • pp.907-916
    • /
    • 2012
  • Burkholderia cepacia is an important pathogen that often causes pneumonia in immunocompromised individuals. Here,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TLR5 agonist flagellin could locally activate innate immunity. This was characterized by rapid expressions of IL-$1{\beta}$, TNF-${\alpha}$, and iNOS mRNA and a delay in the expression of IL-10 mRNA. A significant elevation in the IL-$1{\beta}$, TNF-${\alpha}$, and nitric oxide levels was also noted. In the respiratory tract, flagellin induced neutrophil infiltration into the airways, which was observed by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and confirmed by the neutrophil count and level of myeloperoxidase activity. This was concomitant with a high activity of alveolar macrophages that engulfed and killed B. cepacia in vitro. The flagellin mucosal treatment improved the B. cepacia clearance in the mouse lung. Thus, the present findings illustrate the profound stimulatory effect of flagellin on the lung mucosal innate immunity, a response that needs to be exploited therapeutically to prevent the development of respiratory tract infection by B. cepacia.

Evaluation of the Frequency of the IL-28 Polymorphism (rs8099917) in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C Using Zip Nucleic Acid Probes, Kerman, Southeast of Iran

  • Iranmanesh, Zahra;Mollaie, Hamid Reza;Arabzadeh, Seyed Alimohammad;Zahedi, Mohammad Javad;Fazlalipour, Mehdi;Ebrahimi, Saeede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5호
    • /
    • pp.1919-1924
    • /
    • 2015
  • Polymorphisms in the region of the interleukin IL-28 gene on chromosome 19 have been related with clearance of hepatitis C virus (HCV), a major human pathogen responsible for chronic hepatitis, cirrhosis and hepatocellular carcinoma. About 3% of the world's population is infected with HCV. The long-term response to therapy is influenced by many host and viral factors, and recent evidence has indicated that some host genetic polymorphisms related to IL-28 are the most powerful predictors of virological response in patients with HCV. This study assessed frequency of the IL-28 polymorphism (rs8099917) in 50 patients (39 men and 11 women) with chronic hepatitis C using ZNA probe real time PCR new method. All patients were tested for genotype of HCV and the HCV viral load. In parallel, the levels of SGOT, SGPT and ALK enzymes were assessed. Treatment using Peg-interferon alpha with ribavirin was conducted for patients and subsequently samples were collected to detect any change in viral load or liver enzyme rates. The overall frequency of the TT allele is 74%, TG allele 20% and GG allele 6% and the percent of patients who had T allele was 84%. Clear reduction in viral load and liver enzymes was reported in patients with the T allele. Especially for genotype 1 which is relatively resistant to treatment, these alleles may have a role in this decline. In conclusion, we showed that IL-28 polymorphism rs8099917 strongly predicts virological response in HCV infection and that real-time PCR with Zip nucleic acid probes is a sensitive, specific and rapid detection method for detection of SNPs which will be essential for monitoring patients undergoing antiviral therapy.

Enhancement of Antigen-specific Antibody and $CD8^+$ T Cell Responses by Codelivery of IL-12-encapsulated Microspheres in Protein and Peptide Vaccination

  • Park, Su-Hyung;Chang, Jun;Yang, Se-Hwan;Kim, Hye-Ju;Kwak, Hyun-Hee;Kim, Byong-Moon;Lee, Sung-Hee;Sung, Young-Chul
    • IMMUNE NETWORK
    • /
    • 제7권4호
    • /
    • pp.186-196
    • /
    • 2007
  • Background: Although IL-12 has been widely accepted to playa central role in the control of pathogen infection, the use of recombinant IL-12 (rIL-12) as a vaccine adjuvant has been known to be ineffective because of its rapid clearance in the body. Method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ustained release of IL-12 in vivo in the peptide and protein vaccination models, rIL-12 was encapsulated into poly ($A_{DL}$-lactic-co-glycolic acid) (PLGA). Results: We found that codelivery of IL-12-encapsulated microspheres (IL-12EM) could dramatically increase not only antibody responses, but also antigen-specific $CD4^+\;and\;CD8^+$ T cell responses. Enhanced immune responses were shown to be correlated with protective immunity against influenza and respiratory syncytial virus (RSV) virus challenge. Interestingly, the enhancement of $CD8^+$ T cell response was not detectable when $CD4^+$ T cell knockout mice were subjected to vaccination, indicating that the enhancement of the $CD8^+$ T cell response by IL-12EM is dependent on $CD4^+$ T cell "help". Conclusion: Thus, IL-12EM could be applied as an adjuvant of protein and peptide vaccines to enhance protective immunity against virus infection.

CRIP1결손조건 하에서 Salmonella Typhimurium 감염에 의해 유도되는 면역반응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Immune Responses Induced by Salmonella Typhimurium Infectionin CRIP1-Deficient Condition)

  • 서동주;이세희;박선;김혜윤;양진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48-58
    • /
    • 2024
  • 살모넬라는 일반적으로 식품에 의해 전파되고 심각한 공중보건 문제를 야기하는 병원성 미생물로, 살모넬라에 대한 숙주의 감수성을 결정하는데 숙주의 유전적 요소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Cysteine-rich intestinal protein1 (CRIP1)은 LIM/double zinc finger protein family에 속하는 단백질로, 인간의 소화관과 폐, 비장을 포함한 인체 전반적인 부위에서 폭넓게 발현된다. 최근 CRIP1은 여러 면역 질환의 핵심적인 마커로서 보고되고 있지만, 숙주의 세균 감염에 대한 CRIP1의 영향은 아직 알려진 바가 없다. 살모넬라는 CRIP1 유전자를 굉장히 높은 수준으로 발현하는 소장의 파이엘반 내로 침입한다고 잘 알려져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살모넬라 감염과 CRIP1 결핍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우리는 ex vivo 분화 실험을 통해서 CRIP1 결핍은 골수-유래 대식세포의 식세포작용과 골수-유래 수지상세포의 보조자극 인자의 활성을 변화시키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게다가, 유세포 분석 데이터를 통해 야생형 마우스와 CRIP1 유전자 결핍 마우스 간의 MHCII+CD11b+ CD11c+ 수지상세포 및 MHCII+F4/80+CD11b+ 대식세포가 비슷한 수준을 나타낸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흥미롭게도, 비장의 단핵구와 장간막 림프절의 호중구의 기저 수준은 야생형 마우스보다 CRIP1 유전자 결핍 마우스에서 더욱 풍부하게 나타났다. 요약하자면, 우리는 CRIP1이 Salmonella Typhimurium 감염에 대한 숙주의 감수성과 골수성 세포의 활성에 불필요한 유전자임을 명확하게 증명하였다. 또한, 항원에 노출되지 않은 CRIP1 유전자 결핍 마우스에서 나타난 면역세포의 각기 다른 비율은 CRIP1 유전자의 발현 조절이 다양한 감염성 질환에 대한 새로운 면역치료 접근법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사람의 피부상피세포에서 황색포도상구균의 독소인자인 Staphylococcal Protein A의 염증반응 촉진효과 (Stimulatory Effect of Staphylococcal Protein A on Inflammatory Response in Human HaCaT Keratinocytes)

  • 권현진;김연정;장성희;배보경;윤화영;이희우
    • 미생물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348-355
    • /
    • 2011
  • 황색포도상구균은 사람에게서 염증을 동반한 다양한 형태의 국소적 또는 전신적 감염을 일으키는 주요 병원균이며, 황색포도상구균에서 풍부하게 발현되는 Staphylococcal protein A (SPA)는 염증의 활성화나 면역 반응의 회피와 관련된 균력인자로서 작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람의 HaCaT 피부상피세포에서 재조합 SPA 단백질을 이용하여 염증반응에 대한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서 pET-28a 발현벡터시스템을 이용하여 성공적으로 재조합 SPA 단백질을 제작하였고, 이 단백질(2 ${\mu}g$/ml)을 6, 12 및 24시간 처리한 HaCaT 피부상피세포에서 RT-PCR 및 ELISA를 이용하여 염증관련 부착인자 및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분석하였다. SPA 처리 후 6시간에서 24시간까지 E-selectin, ICAM-1, MCP-1, IL-6 및 IL-8의 발현이 현저하게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SPA는 HaCaT 피부상피세포에 대한 U937 단핵구의 부착력을 증진시켰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SPA가 HaCaT 피부상피세포의 염증반응을 촉진시킨다는 사실을 보여주었으며, 황색포도상구균에 의한 피부염증질환에 있어서 중요한 병원성인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는 사실을 시사해준다.

Bovine Herpesvirus Type 1 정량 검출을 위한 Real-Time PCR (Real-Time PCR for Quantitative Detection of Bovine Herpesvirus Type 1)

  • 이동혁;정효선;이정희;김태은;이정숙;김인섭
    • 미생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4-21
    • /
    • 2008
  • 소의 혈액, 세포, 조직, 기관 등은 생물의약품과 조직공학제제, 세포치료제의 원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소유래 물질을 원료로 사용한 제제의 경우 소유래 원료 물질에 다양한 바이러스가 오염된 사례가 있기 때문에 바이러스 안전성 검증이 필수적이다. Bovine herpesvirus type 1 (BHV-1)은 소에게 가장 흔하게 감염되는 바이러스중의 하나이다. 소유래 물질을 원료로 하는 생물의약품, 조직공학제제, 세포치료제 등에서 BHV-1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원료물질, 제조공정, 완제품에서 BHV-1을 정량적으로 검출하고, 제조공정에서 BHV-1 제거 검증을 위한 시험법으로 활용이 가능한 BHV-1 real-time PCR 시험법을 확립하였다. BHV-1에 특이적인 primer를 선별하였으며, 형광염료 SYBR Green I을 사용하여 BHV-1 DNA 정량 검출 시험법을 최적화하였다. 세포배양법에 의한 감염역가와 비교한 결과 real-time PCR 민감도는 $2\;TCID_{50}/ml$이었다. 확립된 시험법의 신뢰성(reliability)을 보증하기 위해 시험법 검증을 실시한 결과 특이성(specificity)과 재현성(reproducibility)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확립된 real-time PCR을 생물의약품 제조공정 검증에 적용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인위적으로 BHV-1을 오염시킨 Chinese hamster ovary (CHO) 세포주와 소유래 콜라겐에서 BHV-1 검출 시험을 실시하였다. BHV-1을 감염시킨 CHO 세포에서 세포변병효과를 관찰할 수 없었지만, 세포와 세포배양 상청액에서 BHV-1을 정량적으로 검출할 수 있었다. 소유래 콜라겐에서도 $10\;TCID_{50}/ml$까지 정량적으로 검출할 수 있었다. 위와 같은 결과에서 확립된 BHV-1 real-time PCR 시험법은 생물의약품 안전성 보증을 위한 세포주 검증, 생물의약품생산공정 검증, 바이러스 제거 공정 검증 등에서 감염역가 시험법과 같은 생물학적 시험법을 대신할 수 있는 신속하고, 특이성과 민감성이 우수한 시험법임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