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th volume construction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19초

실차의 거동한계를 고려한 굴착기의 굴착 경로설계 연구 (A Study on Excavation Path Design of Excavator Considering Motion Limits)

  • 신대영
    • 드라이브 ㆍ 컨트롤
    • /
    • 제18권2호
    • /
    • pp.20-31
    • /
    • 2021
  • An excavator is a construction machine that can perform various tasks such as trenching, piping, excavating, slope cutting, grading, and rock demolishing. In the 2010s, unmanned construction equipment using ICT technology was continuously developed. In this paper, the path design process was studied to implement the output data of the decision stage, and the path design algorithm was developed. For example, the output data of the decision stage were terrain data around the excavator, excavator mechanism information, excavator hydraulic information, the position and posture of the bucket at key points, the speed of the desired bucket path, and the required excavation volume. The result of the path design was the movement of the hydraulic cylinder, boom arm, bucket, and bucket edge. The core functions of the path design algorithm are the function of avoiding impact during the excavation process, the function to calculate the excavation depth that satisfies the required excavation volume, and the function that allows the bucket to pass through the main points of the excavation process while maintaining the speed of the desired path. In particular,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last function, the node tracking method expressed in the path design table was newly developed. The path design algorithm was verified as this path design satisfied the JCMAS H02 requirement.

강섬유의 길이 및 혼입률에 따른 시멘트 복합체의 전기전도도와 차폐효과의 상관관계 (Correlation between Electrical Conductivity and Shielding Effectiveness of Cementitous Composites according to length and volume fraction of steel fiber)

  • 이예찬;김규용;유하민;최병철;사수이;남정수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2년도 가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13-214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effect of the length and volume fraction of smooth steel fiber on the electrical conductivity and shielding effectiveness of cementitious composites. As the length and volume fraction of the fiber increase, the movement of electrons becomes active and the formation of a conductive path becomes advantageous, thereby increasing electrical conductivity. Accordingly, the electrical conductivity and the shielding effectiveness showed a very close relationship. Thereafter, it is judged that research is needed to increase the shielding effect.

  • PDF

이상적 C&R 환경에서의 궤적자료를 이용한 동적 OD 구축에 관한 연구 (A Dynamic OD Construction Methodology using Vehicle Trajectory in Ideal C&R Communication Environment)

  • 이정우;최기주;박상욱;손범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1권3D호
    • /
    • pp.355-361
    • /
    • 2011
  • 최근 차세대 ITS로서 도로공사 주관 하에 스마트하이웨이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며, 스마트하이웨이에서 교통 분야 서비스의 효과평가 입력 자료로 신뢰성 높은 동적 OD를 요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스마트하이웨이의 핵심 기술인 WAVE 통신 기술로 대표되는 C&R 통신에서 수집되는 노드 정보와 차량정보를 이용할 경우 노드정보와 차량정보를 활용하여 궤적자료 및 표본경로교통량을 산출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동적 OD를 구축하였다. 이에 대한 검증을 위해 연속류의 토이네트워크에서 1시간 OD를 임의 분포하여 수집된 정보를 통해서 5분 단위의 동적 OD를 산출한 결과 15분단위의 교통량, 통행시간 측면에서 교통량 오차율이 20% 이내에 들어오는 경우가 전체의 84.79%, 통행시간 오차율이 20% 이내로 들어오는 경우가 전체의 85.42%로 신뢰성 있는 동적 OD를 구축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섬유 종류에 따른 섬유 보강 시멘트 복합체의 전기적 특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Correlation between Electrical Conductivity and Shielding Effectiveness of Cementitous Composites according to Length and Volume Fraction of Steel Fiber)

  • 이예찬;김규용;한승현;최윤성;김문규;남정수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3년도 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83-184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effect of type and volume fraction of fiber on the electrical conductivity and shielding effectiveness of cementitious composites. The large specific surface area of amorphous metallic fiber, as well as the high number of fibers per unit weight, provided an advantage in the formation of conductive path. As the result,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amorphous metallic fiber was evaluated to be higher, and the shielding effectiveness was also higher. However, the shielding effectiveness according to electrical conductivity was confirmed to have a threshold point, and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improve it.

  • PDF

Enhanced UV-Visible Absorbance Detection in Capillary Electrophoresis Using Modified T-Shaped Post-Column Flow Cell

  • Lim, Kwan-Seop;Kim, Su-Hyeon;Hahn, Jong-Hoo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3권2호
    • /
    • pp.295-300
    • /
    • 2002
  • The construction of the T-shaped post-column flow cell has been changed to enhance the practicability as a UV-visible absorbance detector for capillary electrophoresis. In this new design, a rectangular cube-shaped inner structure is employed, which completely fits the outer rectangular tubing. This arrangement has greatly facilitated the fabrication of the T-cells. In addition, the volume for the auxiliary flow has been dramatically reduced down to 300 ${\mu}L$, and its volume flow rate is optimized at 4.2 ${\mu}L$/min. The short optical path length in the sheath flows (500 ${\mu}m$ on each side) minimizes background absorption, and thus enhances its performance in low-UV wavelengths. We have optimized the auxiliary flow rate at 50 ${\mu}m$/s, so that migration times are insensitive to the flow rate. This optimization has improved repeatabilities in migration times and peak heights. A double-beam detection scheme using a pair of photodiodes is employed to increase the signal-to-noise ratio.

역공학에서 측정경로생성을 위한 특징형상 인식 (Feature Recognition for Digitizing Path Generation in Reverse Engineering)

  • 김승현;김재현;박정환;고태조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1권12호
    • /
    • pp.100-108
    • /
    • 2004
  • In reverse engineering, data acquisition methodology can generally be categorized into contacting and non-contacting types. Recently, researches on hybrid or sensor fusion of the two types have been increasing. In addition, efficient construction of a geometric model from the measurement data is required, where considerable amount of user interaction to classify and localize regions of interest is inevitable. Our research focuses on the classification of each bounded region into a pre-defined feature shape fer a hybrid measuring scheme, where the overall procedures are described as fellows. Firstly, the physical model is digitized by a non-contacting laser scanner which rapidly provides cloud-of-points data. Secondly, the overall digitized data are approximated to a z-map model. Each bounding curve of a region of interest (featured area) can be 1.aced out based on our previous research. Then each confined area is systematically classified into one of the pre-defined feature types such as floor, wall, strip or volume, followed by a more accurate measuring step via a contacting probe. Assigned to each feature is a specific digitizing path topology which may reflect its own geometric character. The research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minimizing user interaction at the stage of digitizing path planning.

대규모 절성토 지역의 제척지를 고려한 최적화된 토량이동 경로 알고리즘 개발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Optimized Earthwork Transfer Path Algorithm Considering the Precluded Area of Massive Cutting and Banking)

  • 강태욱;조윤호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1-8
    • /
    • 2011
  • 도로 공사나 토지 공사에서 대규모 절성토 개발 시 설계되는 토량이동계획에서 호수나 습지와 같이 이동불가능한 제척지를 고려해 최적 토량이동 경로 계산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대규모 절성토 내 토량의 이동계획 수립은 운반단가에 많은 영향을 미치므로 사전에 토량이동계획을 수립해야한다. 선형계획법을 이용한 토량이동 최적화에 대한 연구는 있었으나 이동불가능한 제척지에 대한 영역을 고려한 토량이동 최적화에 대한 연구와 시스템 구현은 없었다. 대부분의 경우는 설계자가 제척지를 고려해 수작업으로 토량이동경로를 조정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모델은 먼저 제척지 영역을 평면다각형 위상정보로 변환한 후 $A^*$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여러 가시점 경로를 계산한다. 이 경로에 선형계획법을 이용하여 토량이동 최적화를 위한 최소비용 경로를 얻는다. 본 논문에서는 최적 토량이동 설계시스템을 실현함으로써 제시한 모델의 타당성을 입증한다.

건설프로젝트의 작업유형별 3차원 작업공간 생성 및 간섭 최적화 방안 (Workspace Generation and Interference Optimization Algorithm by Work-type using 3D Model Object in a Construction Project)

  • 김현승;문현석;김창학;강인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4권6호
    • /
    • pp.1911-1918
    • /
    • 2014
  • 건설공사 프로젝트에서 인력 및 장비 등의 투입자원 증가는 공정간의 작업공간 간섭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프로젝트의 생산성과 품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작업공간관련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나, 단순히 공정들의 기하학적 위치만을 고려하여 작업공간을 검증하거나, 작업공간의 형상을 세부 작업별 분리된 형상이 아닌 일괄적 하나의 객체 형태로 생성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공정의 특성과 자원의 투입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작업공간의 크기를 반영하지 못하므로 합리적인 작업공간 충돌의 분석이 어렵게 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공정과 자원의 특성에 적합한 작업공간의 형상과 크기를 생성할 수 있도록 작업공간의 3차원 모델 생성방법과 운용 시스템을 개발한다. 또한 이를 적용한 작업공간 간섭최적화 연계방안과 건설장비의 최적 이동경로 탐색 방법론을 개발하여 실무적 활용성을 검증한다.

수도권 도시철도 역사환승량 추정방안 -교통카드자료를 활용하여 - (Estimating Station Transfer Trips of Seoul Metropolitan Urban Railway Stations -Using Transportation Card Data -)

  • 이미영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8권5호
    • /
    • pp.693-701
    • /
    • 2018
  • 수도권 도시철도의 환승통행은 '노선간환승'과 '역사환승'으로 구분된다. 역사환승은 1) 교통카드 Tag-In 단말기 운영노선과 초승열차 운영노선이 다른 경우와 2) 최종 하차열차 운영노선과 교통카드 Tag-Out 단말기 운영노선이 다른 경우에 발생한다. 기존연구에서 주로 교통카드자료를 이용한 환승량 추정은 '노선간 환승량'을 의미하며 '역사환승량'은 제외되어 환승통로를 이용하는 보행에 대한 과소추정의 원인이 되었다. 본 연구는 수도권 대중교통카드자료를 이용해서 역사환승량을 추정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승객의 경로선택모형에 역사환승량 산정에 적합하도록 변형된 Big-Node 기반 네트워크 구축기법과 자료구조 방법론을 제시한다. 1일 약 800만 건의 수도권 도시철도 이용카드자료를 대상으로 사례분석을 시행한다.

Open path FT-IR spectrometer를 사용한 원거리의 VOCs 측정에 관한 연구 (The study for VOCs analysis in long path by open path FT-IR spectrometer)

  • 조남욱;조원보;김효진
    • 분석과학
    • /
    • 제27권2호
    • /
    • pp.108-113
    • /
    • 2014
  •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은 상온에서 가스 상태로 있거나 가스 상태가 되기 쉬운 화합물로써 유해화학물질관리법으로 관리되고 있는 유해물질이다. 이러한 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측정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측정자가 직접 현장에서 포집하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으나, 이 방법은 측정자가 위험에 노출될 수 있으며, 측정자의 접근이 제한적이거나 대공간일 경우 측정이 어려운 단점을 가진다. 특히 대공간에서 포집하는 경우 샘플링에서 오는 오차 및 대공간에서 샘플링의 대표성을 확보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지며, 넓은 공간을 연속하여 실시간 측정이 불가능한 점도 간과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주로 대기오염 등의 모니터링에 부분적으로 연구되어온 개방형적외선분광기(open path FT-IR spectrometer)를 사용하여 원거리에서 대용량, 실시간 측정을 시도하였다. 우선 VOCs 중 벤젠을 대상으로, 시스템과 VOCs 시료와의 분석 최적거리를 측정하였으며, 확인 결과 15 meter에서 가장 좋은 흡광강도(absorption intensity)를 확인하였다. 15 meter의 최적거리에서 휘발되는 7종의 VOCs를 원거리 정성분석하였으며, 벤젠을 대상으로 정량 분석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기존에 분석방법으로 불가능하였던 대공간 VOCs의 측정 및 상시 모니터링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