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ternal participation in child care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7초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와 사회적 지원이 후속출산계획에 미치는 영향: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매개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Paternal Participation in Child Care and Social Support on Planning for a Second Childbirth,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Maternal Parenting Stress)

  • 김종훈;양소영;성지현
    • 아동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87-102
    • /
    • 2013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aternal participation in child care and social support on planning for a second childbirth,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the mother's parenting stress. The 887 subjects studied in this paper were mothers who have a first child, and were selected from a sample of the 2nd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PSKC) by the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KICCE), conducted in 2009. Data was analyzed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to identify a structure and relationships among factors. The significance of indirect effects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maternal parenting stress was identified via bootstrapping. Results indicated that maternal parenting stres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 care and planning for a second childbirth, and absolut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planning for a second childbirth. The findings reveal the importance of reducing parenting stress, given its substantial impact on planning for a second childbirth.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역할만족도와 관련된 변인 연구 - 제주지역을 중심으로 - (Factors Associated with Role Satisfaction of Fathers' with Young Children - Based on Jeju Island -)

  • 김혜연;신유림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3권5호
    • /
    • pp.93-102
    • /
    • 2005
  • The present study examined how demographic, paternal, and children's variables were associated with role satisfaction of Korean fathers with young children. Subjects were 236 fathers of 3-5 year old children living in Jeju island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s. Among demographic variables, father's income is an only variable that effects on role satisfaction. Role satisfaction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child care, marital, job satisfaction, and child-rearing participation in terms of psychological variables. According to multiple regression, role satisfaction was positively predicted by income, gender, and adaptability of children. Moreover, day care, marital, job satisfaction and child-rearing participation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role satisfaction.

책임성을 중심으로 본 남성들의 자녀양육 참여 (Study on Paternal Involvement in Responsibility of Child Rearing)

  • 유지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0호
    • /
    • pp.45-61
    • /
    • 2017
  • 여성들의 경제활동 증가 및 생계부양 분담이 증가함에 따라 이제 남성들의 양육 참여는 필수불가결한 현상이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본 연구는 여성이 항상 일차적 양육의 책임자인 현실에 문제제기 하면서 우리나라 남성들의 양육 참여를 책임성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책임성이란 자녀를 위한 모든 사항에 대한 결정, 대비, 총괄하는 양육의 한 부분이다. 무엇보다 책임성은 성정치적 영역인 양육에서 진정한 양성 평등적 양육을 실현할 수 있는 지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 대기업에 재직하는 20-40대 남성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양육 중 책임성은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는지 통계적으로 분석한다. 분석결과 남성들은 책임성에 속하는 양육에는 상대적으로 덜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비책임성에 속하는 양육에는 참여도가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남성도 책임성을 중심으로 양육의 중심에 서야 한다는 필요성을 보임과 동시에, 관련 제도 및 정책에도 중요한 함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아버지의 미취학자녀 돌봄시간 변화 추이 분석(2004-2019) (Trend in Paternal Childcare Time for Preschool Children in Korea from 2004 to 2019)

  • 이정은;서지원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5권3호
    • /
    • pp.103-120
    • /
    • 2021
  • 본 연구는 맞벌이와 외벌이 아버지의 미취학자녀 돌봄시간의 변화를 파악하고 아버지의 자녀돌봄 활동의 특성 변화를 규명하기 위하여 돌봄의 하위활동영역을 각각 필수돌봄, 발달돌봄, 기타돌봄으로 분류하였다. 이를 위해 통계청 생활시간조사자료 중 2004, 2009, 2014, 2019년의 4개 연도 15년간의 자료를 사용하여 평일(근무일)의 아버지 자녀돌봄시간과 참여율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가 미취학자녀를 돌보는 시간은 증가 추이를 나타냈다. 특히, 맞벌이 아버지는 2004년과 비교하여 2019년에 자녀돌봄시간이 24분 증가하여 15년 동안 2배 가량의 증가를 보였다. 둘째, 아버지의 돌봄유형을 분석한 결과, 2004년에는 생존과 직결되지 않고 간헐적 참여가 가능한 발달돌봄 참여율이 자녀의 생존과 건강유지를 위한 필수돌봄에 참여율보다 적었으나, 2019년에는 외벌이 아버지는 필수돌봄과 발달돌봄 참여율이 유사하였고, 맞벌이 아버지는 필수돌봄 참여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아버지의 자녀돌봄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에는 아버지의 연령, 교육수준, 성평등의식, 시장노동시간, 출퇴근시간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특히, 시장노동시간은 모든 조사시기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였으며, 성평등의식은 외벌이 아버지 집단에서 최근까지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맞벌이 아버지와 외벌이 아버지 모두 자녀돌봄시간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특히 발달돌봄뿐아니라 필수돌봄에 사용하는 시간이 늘어났다는 점에서 부모의 공동양육 책임이 실현되는 방향으로의 긍정적 변화를 시사한다. 또한, 이는 지난 15년간의 아버지 자녀돌봄 행태의 변화에 대한 이해를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으며, 향후 가족친화 정책의 구체적 과제를 제안하고 지역사회 등에서 아버지 대상 자녀돌봄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근거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맞벌이 기혼남성의 직무자율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자녀양육참여의 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Dual-Income Married Men' Job Autonomy on Job Satisfaction: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Involvement)

  • 서종수;조희금;이재법
    • 벤처창업연구
    • /
    • 제13권5호
    • /
    • pp.119-129
    • /
    • 2018
  • 오늘날 벤처기업을 비롯한 많은 조직들은 훌륭한 인재의 확보 유치와 더불어, 조직구성원의 직무만족에 대한 관심을 집중하고 있다. 그러나 벤처기업을 비롯한 많은 조직에서는 일과 가정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가 미흡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일과 가정간의 상호작용을 알아보기 위해 진행되었으며, 구체적으로 맞벌이 기혼남성의 직무자율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녀양육참여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맞벌이 기혼남성을 대상으로 2014년 8월 29일부터 9월 22일 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577명의 설문이 분석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을 이용하여 빈도 및 기술통계분석을 통하여 각 변인별 특성을 파악하고, 상관관계 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하여 변인 간 상관관계와 인과관계 및 매개효과를 파악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맞벌이 기혼남성의 직무만족은 직무자율성과 생활지도, 여가활동공유, 월소득, 직종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자율성과 직무만족간의 관계에서 양육참여의 하위요인인 생활지도와 여가활동 공유는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벤처창업기업을 비롯한 노동현장에서는 남성의 직무만족 향상을 위하여, 직무자율성의 증대뿐만 아니라, 자녀양육참여 방안을 마련함으로써 직무만족을 향상시켜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