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m, Ji Eun;Kim, Ho Jun;Park, Soo Hyeon;Hong, Seung Pyo;Song, Yang-Eui;Lee, Yong Kyu
Annual Conference of KIPS
/
2015.10a
/
pp.87-90
/
2015
기존의 OTP(One-Time Password) 인증 시스템은 OTP 단말을 휴대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생성한 OTP 값을 그대로 OTP 단말에 출력하기 때문에 주변에 쉽게 노출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9자리 패턴 인식 방법은 같은 패턴 지점을 연속으로 인식시킬 수 없고 패턴을 그리는 경로에 다른 패턴 지점이 포함될 수 있다는 한계가 있어 제한적인 패턴 결과를 가진다. 따라서, 본 논문은 원형 배치된 패턴 지점 기반의 OTP 대칭 값 패턴 인증 시스템을 통해 OTP 단말을 휴대할 필요가 없게 하고, OTP의 각 자리 값을 대칭 값으로 표현함으로써 OTP 값의 노출을 막는다. 또한 모든 OTP 값으로 패턴 인식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패턴 지점을 원형 배치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는 직접적으로 OTP 값이 노출될 가능성을 감소시키고, OTP 인증을 위한 패턴 인식에서 패턴 지점을 원형 배치함으로써 모든 OTP 값이 패턴으로 변환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논문은 패턴 지점의 원형 배치와 대칭 값을 이용한 OTP 인증 시스템을 제안하여 새로운 OTP 인증 방법으로 패턴 인식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v.21
no.3
/
pp.177-182
/
2011
This paper introduces a possibility for attackers to acquire the keyboard scan codes through using the RESEND command provided by the keyboard hardware itself, based on the PS/2 interface that is a dominant interface for input devices. Accordingly, a keyboard sniffing program using the introduced vulnerability is implemented to prove the severeness of the vulnerability, which shows that user passwords can be easily exposed. As one of the intrinsic vulnerabilities found on the existing platforms, for which there were little considerations on the security problems when they were designed, it is required to consider a hardware approach to countermeasure the introduced vulnerability.
현재 타블렛PC, 전자칠판, 디지털 키오스크 단말, 은행 ATM기기 등에서 키보드 및 버튼이 아닌 터치패널을 이용해 사용자가 더욱 직관적인 입력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나아가 이러한 터치패널은 하나의 접점만 인식하는 것이 아닌 현재 기술로 여러 개의 접점을 인식하는 멀티터치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멀티터치 환경에서의 다중 입력을 통한 사용자 인증 방식에 대한 아이디어를 소개하고자 한다. 멀티터치 환경에서의 비밀 번호 입력으로 이전의 싱글터치 기반에서 1글자씩 입력되던 비밀번호가 멀티터치 기반에서는 2개 이상의 글자로 입력될 수 있다. 멀티터치 기반의 패스워드 입력은 단순히 [ 1, 2, 3, 4 ] 로 입력되던 패스워드를 [ (1,3), 2, (3,4), (1,2,3) ] 와 같은 방식으로 설정함으로써 사용자 패스워드의 암호화 강도를 높이고 패스워드 노출 위험을 줄이려 하였다. 본 연구는 나아가 멀티터치 기반에서 사용자 패스워드를 넘어 개인 인증을 위한 보안 기술 연구의 초석으로 활용 될 것이다.
텍스트를 기반으로 하는 패스워드는 다방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인증 수단이다. 하지만 이러한 패스워드는 사용자의 기억에 의존하기 때문에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기억하기 쉽게 '!iloveY0u'와 같은 암호를 사용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들의 패스워드 간에 규칙성이 생기게 되어 HashCat과 같은 크래킹 도구에 의해 해킹될 수 있다. 딥러닝을 통한 패스워드 예측의 경우, 일반적인 패스워드 크래킹 도구와 달리 패스워드 구조 및 속성에 대한 사전 지식 및 전문적 지식 없이도 패턴을 추출하고 학습할 수 있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딥러닝 모델 중에서도 순환 신경망을 사용하여 텍스트 기반의 패스워드를 예측하는 연구의 동향에 대해 알아본다.
Suwan Go;Seunghee Kwak;Junkwon Lee;Jaehyuk Lee;Kyungroul Lee
Annual Conference of KIPS
/
2023.05a
/
pp.176-177
/
2023
최근 USB 저장장치의 데이터 노출 및 탈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보안 USB 저장장치가 등장하였으나,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보안기술을 적용함에도 불구하고, 사용자 인증 우회나 비밀번호 노출과 같은 취약점으로 인하여, 보안 USB에 저장된 중요한 자료나 민감한 정보가 노출되는 문제점이 지속해서 발견되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보안 USB의 취약점 연구도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지만, 보안 USB 취약점을 분석하는 것은 수동적이고,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요되므로, 취약점을 자동으로 진단하고 분석하는 도구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자동화된 취약점진단 및 분석 도구를 제작하기 위하여, F 제품을 대상으로, 해당 제품에서 제공하는 비밀번호인증에서 발생하는 취약점을 분석하고 실증하며, 그 결과를 기반으로 최종적으로는 보안 USB 취약점 익스플로잇 도구 프로토타입을 개발한다.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v.24
no.11
/
pp.133-140
/
2024
The Online documents tracking using Quick Response Code is an online-based program that can be accessed anywhere provided with the presence of Internet connection. For the security, username and password will be provided to the user including the level of access. The study revealed that the school head and staff respondents assessment was Average on all dimensions of the existing Practices of Documents Tracking except in terms of functionality where the staff respondent gave an evaluation of Good. The school head respondents assessment on all dimensions of Quick Response Code for tracking of on line documents was Excellent except on Reliability where the rating was Good. The staff respondents had an gave a rating of Excellent on all dimensions. In terms of acceptability, the school head respondents evaluation was Highly Accepted while Accepted on performance. The staff respondents assessment was Highly Accepted on the dimensions towards Quick Response Code for tracking of on line documents. In terms of readiness, the school head respondents indicated that they are Ready to use the system while the staff were Very Ready as to information system faculty and user/technical personnel.
In a delegate authentication, a user can lend his/her own authentication data to the third parties to let them be authenticated instead of himself/herself. The user authentication schemes based on the memory of unique data such as password, are vulnerable to this type of attack. Biometric authentication could minimize the risk of delegate authentication since it uses the biometric data unique by each person. Group authentication scheme is used to prove that each group member belongs to the corresponding group. For applications such as an electronic voting or a mobile meeting where the number of group members is changing dynamically, a new group authentication method is needed to reflect the status of group in real time. In this paper, we propose biometric authentication based dynamic group signature scheme. The proposed scheme is composed of biometric key generation, group public key creation, group signature generation, group signature verification and member update protocols. The proposed member update protocol is secure against colluding attacks of existing members and could reflect group status in real time.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v.17
no.7
/
pp.107-115
/
2012
Recently, Li and Hwang scheme proposed a biometrics-based remote user authentication scheme using smart card. It is asserted that this scheme has very excellent benefits by the operation cost efficiency based on the smart card, one-way function and biometrics using random numbers. But this scheme cannot provide the properly authentication, especially, it is analyzed as the vulnerable security scheme for Denial-of-Service(DoS) attacks by impersonate attacks. The attacker controls the insecure channel, they can easily fabricate messages to pass the user's or server's authentication, and the malicious attacker can impersonate the user to cheat the server and can impersonate the server to cheat the user without knowing any secret information. This paper proposes the strong improved scheme which can respond to multiple attacks by supplementing the function of integrity check from the server which applied variable authenticator and OSPA without exposing the user's password information. It is supplemented pregnable of disguise attack and mutual authentication of Li and Hwang scheme.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v.24
no.12
/
pp.59-65
/
2019
Hospital Information System includes a wide range of information in the medical profession, from the overall administrative work of the hospital to the medical work of doctors. In this paper, we proposed a Vision-based Authentication and Registration of Facial Identity in Hospital Information System using OpenCV. By using the proposed security module program a Vision-based Authentication and Registration of Facial Identity, the hospital information system was designed to enhance the security through registration of the face in the hospital personnel and to process the receipt, treatment, and prescription process without any secondary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The implemented security module program eliminates the need for printing, exposing and recognizing the existing sticker paper tags and wristband type personal information that can be checked by the nurse in the hospital information system. In contrast to the original, the security module program is inputted with ID and password instead to improve privacy and recognition rate.
Digital accredited certificates issued under the Digital Signature Act provide essential functionalities for online service, so certificates are used for various services such as online banking, e-government. However, certificates can be stolen by hackers and users need to install separate software to use certificates. Recently FIDO, which aims to solve the problems of password-based authentication and the lack of interoperability between authentication methods, is used for biometric authentication and TrustZone, hardware-based secure environment, is used for safe smartphone usage. In this paper, the new service method is suggested which uses FIDO-based biometric authentication and stores certificates in TrustZone. This method can not only improve security and convenience but also be easily applied to the service because it uses built-in functionalities of new smartphones such as biometric sensors and TrustZone. It is expected that people can use certificates in a safe and convenient way with this method.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