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ticipation behavior

검색결과 749건 처리시간 0.028초

The Effects of Consumption Value and Consumer Trust on Crowdfunding Participation Intention

  • SHIN, Myoung-Ho;LEE, Young-Min
    • 유통과학연구
    • /
    • 제18권6호
    • /
    • pp.93-101
    • /
    • 2020
  • Purpose: While crowdfunding functions as a purchasing behavior, it is different from other purchasing behavior. It derives from non-existed idea and leads to production and purchase through continuous idea development with participants and participants' support is a proxy for future sales. This study researches on consumption value, customer's trust and consumer's innovativeness to reveal which constructs of consumption value and customer's trust should be considered.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Crowdfunding participation intentions were examined using consumer's consumption value and trust of platforms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consumer innovation as a control variable. A total of 175 surveys were used for analysis. The hypothesis was tested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showed economic, epistemic value and ability, benevolence consumer trust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in crowdfunding participation intentions. The moderating effect of innovation was shown to be significant in only economic value and benevolence. Conclusions: The economic and hedonic value of consumers should be emphasized, as well as the evaluation level of the project itself. Moreover, technology or system safety, competency, and product specific information, as well as user benefits for their ideas are core elements in attracting new participants.

The Effect of Good Governance on Financial Performance: An Empirical Study on the Siri Culture

  • SALEH, Haeruddin;ROSADI, Imran;MANDA, Darmawati;MAULANA, Zulkifli;IDRIS, Syahril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5호
    • /
    • pp.795-806
    • /
    • 2021
  • This study analyzes and assesses the effect of good governance consisting of accountability, transparency, and participation on the financial performance of Pare-Pare City local government moderated by the basic values of Siri culture in the form of Lempu (honesty), Amaccangeng (intelligence), and Awaraningeng (courage). The population of this research is 200 local government employees (respondents).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showed that accountability and participation variables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financial performance of the Pare-Pare City local government. However, the transparency variable has an influence on local government financial performance. It is hoped that all these 3 variables (accountability, transparency, and participation) wil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local government financial performance. To achieve this, it is necessary to apply cultural values that exist in society so that cultural values can provide greater guidance in the management of regional finances. The results provid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of Siri's cultural value in the implementation of public services to the community. With Siri's cultural values in the form of Lempu, Amaccangeng, and Awaraningeng embedded in their behavior, government employees can improve performance and avoid deviant behavior or corruption. The novelty of this research is a form of analysis by using local cultural values (the basic values of Siri culture) as the moderating variable.

폐경 후 여성의 참여 동기 및 성공적 노화, 건강행위, 우울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articipation Motives, Successful Aging, Health Behavior and Depression in Women after Menopause)

  • 양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499-508
    • /
    • 2020
  • 연구의 목적은 폐경기 이후 여성의 성공적 노화를 돕고 우울감을 낮추는 자가 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대상자의 참여 동기, 성공적 노화 수준, 건강행위 정도와 우울감 수준을 파악하고, 상관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의 방법은 폐경기 이후 여성 252명을 대상으로 빈도, 백분율 및 일원분류 분산분석(One Way ANOVA)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운동 참여 동기와 성공적 노화의 수준 차이는 건강수준, 운동 종류, 운동 도움 여부, 거주지 등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건강행위 수준과 우울감의 수준은 연령, 건강수준, 운동 종류, 운동 수행 기간 등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우울감의 수준은 동거가족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상관관계 분석결과 운동 참여 동기와 성공적 노화, 건강행동 간은 상관계수 .001 수준에서, 우울감과 건강행동 간은 상관계수 .05 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은 폐경기 이후 여성의 자가 관리 운동 프로그램 개발은 매우 중요하며, 이는 성공적 노화를 돕고 우울감을 낮출 수 있을 것이다.

소셜 러닝 커뮤니티에서 심리적 요인, 지식소싱 행태, 지식활용 성과 간의 영향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among Psychological Factors, Knowledge Sourcing Behavior and Knowledge Utilization Outcomes in Social Learning Community)

  • 한상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267-29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소셜 러닝 커뮤니티에서 학습자의 심리적 요인, 지식소싱 행태, 지식활용 성과 간의 영향 관계 및 소셜 러닝과 구성원간 관계 요인이 갖는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일부 학습자를 대상으로 심층 면접 인터뷰를 실시하여 소셜 러닝 및 지식소싱에 영향을 미치는 심층적 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3년 1학기에 수도권 소재 대학교의 사회과학분야 학부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학습자의 자기효능감은 소셜 러닝 활동참여에 영향을 미치고, 목표지향성은 그룹 지식소싱, 소셜 러닝 활동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셜 미디어의 이용경험은 그룹 지식소싱, 소셜 러닝 활동참여와 소셜 러닝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식활용의 측면에서 문서 지식소싱은 지식재이용, 지식응용, 지식혁신에 영향을 미치고, 개인 지식소싱은 지식재이용에 영향을 미치며, 그룹 지식소싱은 지식응용, 지식혁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셜 러닝 활동참여는 목표지향성이 그룹 지식소싱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와 소셜 미디어의 이용경험이 그룹 지식소싱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 모두 완전매개 효과를 갖고, 상호호혜성은 문서 지식소싱이 지식재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와 문서 지식소싱이 지식혁신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 완전매개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심층 면접 인터뷰 결과 학습자들은 전반적으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습득하는 정보가 신뢰할만하고 정보 습득에 용이하며, 여러 사람의 의견을 듣고, 그룹 활동을 통해 많은 지식을 습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Role of Virtual Community Participation and Engagement in Building Brand Trust: Evidence from Pakistan Business Schools

  • TABISH, Muhammad;BASHIR, Muhammad Adnan;ALAM, Muhammad Mansoor;LONG, Zalizah Awang;RAHMAT, Mohd. Khairil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9권3호
    • /
    • pp.399-409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ole of virtual community participation and engagement in the brand decision by building community and brand trust. In this study, two theories (Social Capital Theory and Theory of Collective Action) were tested. Both theories were linked based on existing literature, and empirical evidence was obtained through testing hypotheses. Students from five prestigious Pakistani business schools provided a total of 849 replies. The measurement model and structural model were both analyzed using the partial least square (PLS) method. The findings show that virtual community engagement and participation have a positive and significant impact on virtual community trust. Although virtual community engagement has a positive effect on brand trust, we found no evidence of a link between virtual community participation and brand trust. Later, these trusts positively influence brand choice. This study has several managerial implications. The suggested model of this study helps managers to get customers' insight, choose the right target market, and set 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 strategies besides social media marketing strategies. The study represents a new perspective of consumer behavior that helps to understand how a customer behaves in virtual communities to trust and take the final decision to purchase.

지체장애인의 사회적 지지와 지역사회참여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 능력의 매개효과 검증 - 개인요인과 환경요인의 융복합적 관점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the Community Participation with Moderating Effect of Stress Coping Behaviors for the Physically Disabled Persons - Focused on the convergence view of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factors)

  • 박해긍;배은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2호
    • /
    • pp.615-623
    • /
    • 2016
  • 본 연구는 지체장애인의 지역사회참여를 결정할 수 있는 요인으로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 대처 능력을 선정하고, 사회적 지지가 스트레스 대처 능력을 매개하여 지역사회참여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지체장애인의 지역사회통합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의 시각, 뇌병변, 발달 장애인 복지관을 제외한 장애인복지관 11개를 전수조사하여, 총 292부의 설문지를 회수․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지체장애인의 사회적 지지는 지역사회참여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밝혀졌다. 둘째, 사회적지지는 스트레스 대처 능력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스트레스 대처 능력은 지역사회참여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사회적지지는 스트레스 대처능력에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역사회참여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지체장애인의 지역사회참여를 위해 제언을 시도하였다.

안전문화가 제조업 종사자의 안전의식과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안전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Safety Culture on the Safety Consciousness and Safety Behavior of Manufacturing Workers -Focusing on the Mediation Effect of Safety Consciousness-)

  • 김지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151-163
    • /
    • 2019
  • 본 연구는 제조업 종사자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안전문화가 제조업 종사자의 안전의식과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 하여, 제조업 근로자들이 안전문화를 이해하고, 안전의식과 안전행동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산업단지공단에 등록된 서울·경기지역 176개 산업단지 중, 한국수출산업단지, 서울 온수단지 등 50개 산업단지 제조업체 근로자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본 조사의 실시는 2019년 8월 1일부터 31일까지 약 1개월에 걸쳐 제조업체의 중간관리자와 환경안전보건 관리자 등을 통해 설문지 300부를 배포하여, 불성실하게 응답되었다고 판단된 설문지 18부를 제외한 282부의 자료를 최종적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안전문화(안전풍토, 안전절차)는 제조업 종사자의 안전의식(중요성 인식, 관심도 및 참여유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안전문화(안전풍토, 안전절차)는 제조업 종사자의 안전행동(안전계획 수립, 안전점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안전의식(중요성 인식, 관심도 및 참여유도)은 제조업 종사자의 안전행동(안전계획 수립, 안전점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안전의식(중요성 인식, 관심도 및 참여유도)은 제조업 종사자의 안전문화(안전풍토, 안전절차)와 안전행동(안전계획 수립, 안전점검)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활동 참여 노인의 인지기능과 자기효능감, 건강행위와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Self Efficacy, Health Behavior of the Elderly Participation to Physical Activity)

  • 박경아;오명화
    • 재활복지
    • /
    • 제20권1호
    • /
    • pp.189-210
    • /
    • 2016
  • 본 연구는 신체활동 참여 노인의 인지기능과 자기효능감, 건강행위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는 2015년 11월부터 2016년 1월까지 실시하였으며, 건강타운을 방문하는 65세 이상 노인 61명을 대상으로 신체활동 참여노인의 일반적 특성과 한국판 몬트리올 인지평가(K-MoCA), 일반적 자기효능감 척도, 운동에 대한 자기 효능 도구, 한국 노인의 건강행위 사정도구를 이용하여 정보를 수집한 값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지기능과 운동자기효능감은 남성, 고학력, 배우자가 있고, 동거인이 있는 경우, 프로그램 참여기간이 오래된 경우 높은 수행을 보였으며(p <.05), 일반자기효능감은 남성, 70에서 74세 연령, 고졸, 경제적 어려움이 없고, 프로그램 기간이 오래된 경우 높은 수행을 보였고(p <.05), 건강행위는 남성, 고학력, 배우자가 있고, 함께 거주하며, 경제적인 어려움이 없고, 동적인 프로그램에 참여하며, 프로그램 참여 기간이 길수록 높은 수행을 보였다(p <.05). 인지기능과 운동자기효능감, 건강행위는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으며(p <.01), 중간정도의 정적방향 관계가 확인되었다. 일반자기효능감은 운동자기효능감, 건강행위와 운동자기효능감은 건강행위와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으며(p <.01), 높은 정적방향 관계가 확인되었다. 운동자기효능감은 인지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p <.01). 따라서 노인의 신체활동에 대한 지속적인 참여와 실천을 위한 활동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자조집단 참여여부에 따른 유방암 환자의 성생활 만족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Sexual Satisfaction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Participating in a Support Group and Non Support Group)

  • 전은영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67-76
    • /
    • 2005
  • Purpose: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sexual behavior, body image, social support, and other characteristics on sexual satisfaction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according to their participation in a support group. Method: Data was collected by self-report questionnaires. Participants included 63 patients attending a support group and 76 patients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support group. The questionnaire sections consisted of sexual satisfaction, sexual behavior, body image, social support and information on general characteristics, disease-related characteristics, and sexual life-related characteristics. Resul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exual behavior, body image and sexual satisfaction between the two groups. Social support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upport group. Sexual satisfaction was positively related with sexual behavior, post-op change of sexual intercourse frequency, body image, and patient's education level, and negatively related to age in the support group. Sexual satisfaction was positively related with sexual behavior, social support and body image in the non support group. Sexual behavior is predictable 37.0% of sexual satisfaction in the support group. Sexual behavior, body image, and social support is predictable for 38.0% of the sexual satisfaction in non support group participants. Conclusion: Implications point to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programs that focus specifically on sexual life issues for breast cancer patients, as well as further research measuring the effects of such intervention programs. Continuous education and counseling through participation in support groups can contribute to promote and affirm a healthy sexual life for patients with breast cancer.

  • PDF

어머니의 자녀양육행동이 아동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The Relationships between Mother's Child caring Behavior and Child behavioral Problems)

  • 문영숙;한진숙
    • 부모자녀건강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61-176
    • /
    • 2002
  • Among the causes of childhood behavioral problems - that is, physiological, psycholog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 the common element of non-organic psycholog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is influences from the parents. Roles of mother who does the biggest emotional exchange with the child after birth may have substantial association with the childhood behavioral problems. In this connection, the present explanatory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the causal structural relationship in which mother's child caring behaviors affect child behavioral problems.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July 2 - 7, 2001. The subject was 4th, 5th, 6th graders' mothers in 4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Daejoen city and 299 surveys were used in the analysis. As for the tools used in this study to assess the mother's child caring Behavior Scale by Park, Seong-Yeon and Yi, Sook (1990) was used to measure the mother's behaviors. The child behavioral problems were measured with the Korean-Child Behavior Checklist (K-CBCL), standardized into the Korean version by O, Gyung-Ja, Yi, Hye-Ryon, Hong, Gang-Eui, and Ha, Eun-Hye. For the data processing, the frequency and the percentage were calculated, and the analyses of variance, correlation were carried out.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xamination of the effect of mother's general characteristics on the mother's caring behavior shows that significant differences are made by the active participation (p=0.020) in the occupation, affection(p=0.000), authority control(p=0.013), achievement(p=0.030), active participation(p=0.032) in the education level, consistency regulation(p=0.007) in the religion. Second, the examination of the effect of mother's caring behaviors on the child behavioral problems shows that significant differences are made by some child behavioral problems in the affection, achievement, consistency regulation, authority control, over protection caring behaviors. Third, as for the correlation between mother's child caring behavior and child behavioral problems, a significant correlation is revealed between the negative child caring behavior and child behavioral problems.

  • PDF